• Title/Summary/Keyword: 공시효과

Search Result 1,19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주식배당의 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Woo, Chun-Sik;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15-13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주식배당 예고제도가 도입된 1990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주식배당 지급을 공시한 기업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295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한편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설명하는 제 가설 중에서 유보이익가설과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표본(259건)을 대상으로 공시일 전후의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공시기간(0일, +1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0.847%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주식배당 공시가 주주들의 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의 주식배당 효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서 유보이익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표본을 EPS의 증감 및 주식배당률의 크기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하여 공시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검토한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유보이익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또 다른 하나의 가설로서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을 상대적 평균 PER의 크기 및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모든 하위표본에서 일관되게 주의환기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Management Performance and Announcement Effect of Seasoned Equity Offering (기업의 경영성과가 유상증자 공시효과에 미치는 영향)

  • Yoon, Hong-Geun;Lee, Young-Hwan;Park, Kwang-Su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2
    • /
    • pp.101-114
    • /
    • 2013
  •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announcement effect of seasoned equity offering is affected by management performance. We used Korean stock market data from 2000 to 2007 to analyze the possible relation between net income and seasoned equity offerings announcement effect. The sample of 308 firms are selected for the study from the original population of 750 seasoned equity offering announcements. and We analysis this article through event studty of Brown and J.Warner. We divide the data into two groups. - the previous offerings year's positive net income group and negative income group. Both positive and negative net income samples affect stock price positively. However, the CAR for the negative net income offerings becomes zero around 25days after the announcement date. To analyze the impact of accounting income on the seasoned equity offering announcement effects fully, we introduce a cross-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as a dependant variable and net income as an explanatory variable. The beta coefficient of the net income shows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as an evidence to support our hypothesis.

Effect of Dividend Policy on the New Issue Announcement Effects (배당정책에 따른 유상증자 공시효과)

  • Lee, Young-Hwan;Yoon, Hong-Geun;Ahn, Byung-Hw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3
    • /
    • pp.149-160
    • /
    • 2014
  • This paper analyses whether change in corporate dividend policy affects the new issue announcement effects. By conducting an event study using 683 new equity announcements data from year 2000 to year 2009, we find firms paying more dividends experience relatively negative announcement effects of seasoned equity offerings comparing with firms paying less dividend. The cross 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nfirm our findi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rporate dividend policy change may interact with forthcoming new equity announcement decision, which may result in a negative signal to the capital markets.

한국기업의 M&A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 Lee, Yu-T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255-27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인수 합병(M&A)과 관련하여 풍문 설이 유포되었을 때 사건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조회공시를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분석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의 결과는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정확하지만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공시 전에는 주가의 상승정도가 미미하여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적지만 공시내용의 확인을 거치면서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여 부인공시의 수익률을 초월하여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이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은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항상 낮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풍문이 사실과 거리가 있을수록 관련된 투자자들이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비합리적인 주장을 뒷받침 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M&A의 풍문에 대하여 사실무근이라는 유권해석이 투자자의 초과수익률에 나쁜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DF

The Efficiency of Disclosure of Inquiry to Koreas Equity Offerings: The Shareholders Perspective (한국기업의 증자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 Lee, You-Tay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1
    • /
    • pp.157-1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증자와 관련하여 풍문설이 유포되었을 때 그에 대한 조회공시의 내용을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나누고, 사건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 후에도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 현상은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조회공시 후에 번복되는 경우가 없어 정확하지만 시장이 이를 자본화(Capitalize)하지 않아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주가의 상승정도는 다른 조회공시에 비하여 약하지만 공시 당일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t=0때 2.12%)을 기록하여 확인공시의 효과가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검토 중 공시나 부인 공시의 경우, 확연하게 조회의 내용이 즉각적으로 시장에 전달이 되지는 못하지만, 소문이나 풍문의 진위가 추후에 지연되면서 시장에 반영이 되는 듯하여(특히 무상 증자설 부인의 경우)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이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막연한 풍문이 오히려 투자자들의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증권가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증자에 대한 풍문은 그 진위여부나 실시시기에 관계없이 사후적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에 음(-)의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DF

유상증자의 공시효과

  • 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2 no.1
    • /
    • pp.75-9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1993년까지의 기간동안 유상증자를 공시한 총 1,529건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548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유상증자의 공시시점에서의 주가반응효과와 이러한 주가반응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원천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유상증자의 공시시점에서 정(+)의 주가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정(+)의 주가반응은 우리나라에서만 존재하는 유상증자의 제도적인 특성으로 인해 기존주주들이 독점적으로 부를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인 구주주이익가설로 설명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발견된 투자기회가설에 대한 유의적인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The Impact of M&A of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on Merger Disclosure Effect and Long-Term Operating Performance (중소기업의 M&A가 합병 공시효과와 장기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Byoung_jin;Jung, Jin-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6
    • /
    • pp.49-6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SMEs on M&A activity on the disclosure effect of mergers and long-term business performance after mergers. From 2000 to 2012, we examine 717 cas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the merger announcement effect is the same as the previous study on the Korean capital market listed companies except for the effect of diversification, listing effect, and cross-border effect. In addition, we have found that firms with higher performance in the past have higher excess returns in the disclosure effect of mergers and acquisitions. Second,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at non-related merg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perating performanc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MEs with lower market competitiveness than that of average listed companies, SMEs merging with same industry group compan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long-term operating performance. This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merger and acquisition of SME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M&A announcement and long-term performance.

  • PDF

The Amendments of 'Securities and Exchange Act' and the Announcement Effects of M&A (증권거래법 개정과 합병공시효과)

  • Chiang, Bong-Gyu;Jung, Doo-Si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1 no.1
    • /
    • pp.59-86
    • /
    • 2004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M&A announcement before and after the 1998 amendments of 'Securities and Exchange Act' through the event study. The M&A firms turned out to gain the abnormal returns during the entire periods. The cumulative average abnormal returns of M&A firms was 1.38%(market adjusted model) or 5.37%(industry-adjusted model) higher after the 1998 amendments than before. The differences of performance of M&A were significant also in case of the related M&A, vertical or horizontal M&A, M&A in booms. In regression analysis, the 1998 amendments of Act was the significant factor to explain th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 PDF

Seasoned Equity Offering announcement and Market Efficiency (유상증자공시와 시장효율성)

  • Chung, Hyun-Chul;Jeong, Young-Wo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5 no.3
    • /
    • pp.79-109
    • /
    • 2008
  • According to asymmetric information hypothesis (for example, Ross (1977), Myers and Majluf (1984)), the impact of seasoned equity offering (SEO) announcement on the stock price depends mainly on the informational market efficiency.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this fact, most of the previous SEO-related studies have done under the assumption of equal informational market efficiency among sample firms. This study intends to solve this problematic assumption and explores the real impact of SEO announcement on the stock prices. For this purpose, we divide 122 SEO firms into two subgroups; one with firms from KOSPI200 and the other including firms from the rest of KOSPI, assuming the former is more informationally efficient than the latter. Different from the US market-based study demonstrating short-and long-term negative price impacts of SEO announcement, most of the Korean market-based ones show price increases up until the announcement and decreases just after the announcement and in the long run. These previous studies attribute this difference to the different market system and regulation between them.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discrepancy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degree of market efficiency as well as the different market system and regulation.

  • PDF

Axial Behavior of Concrete Cylinders Confined with FRP Wires (FRP 와이어 보강 콘크리트 공시체의 압축거동)

  • Cho, Baiksoon;Lee, Jong-Han;Choi, Eun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5
    • /
    • pp.1765-1775
    • /
    • 2013
  • The application of FRP wire as a mean of improving strength and ductility capacity of concrete cylinders under axial compressive load through confinement i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volves axial compressive test of three confining amounts of FRP wire and thre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s. The effectiveness of FRP wire confinement on the concrete microstructure were examined by evaluating the internal concrete damage using axial, circumferential, and volumetric strains. The axial stress-strain relations of FRP wire confined concrete showed bilinear behavior with transition region. It showed strain-hardening behavior in the post-cracking region. The load carrying capacity was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amount of FRP wire. The ultimate strength of the 35 MPa specimen confined with 3 layer of FRP wire was increased by 286% compared to control one. When the concrete were effectively confined with FRP wire, horizontal cracks were formed by shearing. It was developed from sudden expansion of the concrete due to confinement ruptures at one side while the FRP wire was still working in hindering expansion of concrete at the other side of the crack. The FRP wire failure strains obtained from FRP wire confined concrete tests were 55~90%, average 69.5%, of the FRP wire ultimate uniaxial tensile strain. It was as high as any other FRP confined method. The magnitude of FRP wire failure strain was related to the FRP wire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