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시

Search Result 4,70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한국기업의 M&A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 Lee, Yu-Tae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255-27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인수 합병(M&A)과 관련하여 풍문 설이 유포되었을 때 사건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조회공시를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분석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의 결과는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정확하지만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공시 전에는 주가의 상승정도가 미미하여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적지만 공시내용의 확인을 거치면서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여 부인공시의 수익률을 초월하여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이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은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항상 낮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풍문이 사실과 거리가 있을수록 관련된 투자자들이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비합리적인 주장을 뒷받침 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M&A의 풍문에 대하여 사실무근이라는 유권해석이 투자자의 초과수익률에 나쁜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DF

The Efficiency of Disclosure of Inquiry to Koreas Equity Offerings: The Shareholders Perspective (한국기업의 증자 조회공시의 효율성: 일반 투자자들의 관점)

  • Lee, You-Tay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8 no.1
    • /
    • pp.157-1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증자와 관련하여 풍문설이 유포되었을 때 그에 대한 조회공시의 내용을 확인, 부인, 혹은 검토의 유형별로 나누고, 사건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공시의 정확성과 효용성(정보전달 효과)을 살펴보고, 공시가 적시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르면 조회공시는 대체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우선 공시의 적시성에 있어서는 조회 공시일 이전에 주가 수익률이 급격하게 상승함으로 미루어 증권시장에 풍문이 난무하여 공시가 충분히 신속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공시의 정확성과 그 효용성 측면에서 보면 부인공시 후에도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 현상은 결코 합리적이지 못하다. 즉, 부인공시는 조회공시 후에 번복되는 경우가 없어 정확하지만 시장이 이를 자본화(Capitalize)하지 않아 정보로서의 효용성이 없다. 그런데,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는 조금씩 차이가 있어 일반 투자자들에게 투자 전략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 확인공시의 경우는 주가의 상승정도는 다른 조회공시에 비하여 약하지만 공시 당일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t=0때 2.12%)을 기록하여 확인공시의 효과가 있다 할 수 있다. 또한 검토 중 공시나 부인 공시의 경우, 확연하게 조회의 내용이 즉각적으로 시장에 전달이 되지는 못하지만, 소문이나 풍문의 진위가 추후에 지연되면서 시장에 반영이 되는 듯하여(특히 무상 증자설 부인의 경우) 제한적이지만 정보의 효용성을 볼 수 있었다. 한편 검토 중 공시의 초과수익률이 확인공시나 부인공시의 경우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증권시장에 퍼져있는 막연한 풍문이 오히려 투자자들의 초과수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증권가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조회공시 유형별로 정보전달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증자에 대한 풍문은 그 진위여부나 실시시기에 관계없이 사후적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에 음(-)의 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PDF

Market Efficiency in Real-time : Evidence from the Korea Stock Exchange (한국유가증권시장의 실시간 정보 효율성 검증)

  • Lee, Woo-Baik;Choi, Woo-Su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3
    • /
    • pp.103-138
    • /
    • 2009
  • In this article we examine a unique data set of intraday fair disclosure(FD) releases to shed light on market efficiency within the trading day.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 the response of stock prices on fair disclosure disseminated in real-time through KIND(Korea Investor's Network for Disclosure) on Korea stock exchang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3 to September 2004. We find that the prices of stock experiences a statistically and economically significant increase beginning seconds after the fair disclosure is initially announced and lasting approximately two minutes. The stock price responds more strongly to fair disclosure on smaller firm but the response to fair disclosure on the largest firm stock is more gradual, lasting five minutes. We also examine the profitability of a short-term trading strategy based on dissemination of fair disclosure. After controlling for trading costs we find that trader who execute a trade following initial disclosure generate negative profits, but trader buying stock before initial disclosure realiz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profit after two minute of disclosure. Summarizing overall results, our evidence supports that security prices on Korea stock exchange reflects all available information within two minutes and the Korea stock market is semi-strongly efficient enough that a trader cannot generate profits based on widely disseminated news unless he acts almost immediately.

  • PDF

대학 경영 연차보고서에 의한 정보의 공시

  • Yu, Hui-Gyeong
    • 대학교육
    • /
    • s.93
    • /
    • pp.54-64
    • /
    • 1998
  • 대학 연차보고서에 의한 정보의 공유는 대학의 정직성과 신뢰성을 획득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제이다. 대학 정보의 공시로 가장 혜택을 볼 수 있는 집단은 경쟁 대학, 지역사회, 교육당국 등 외부 정보 이용자가 아니라 대학(관리자) 자신이다. 왜냐하면 공시된 정보는 대학을 진정한 가치로 평가받도록 하고, 대학에 대한 외부 인식을 우호적으로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몇몇 일간지에 대차대조표 등을 공시하는 것보다 대학 연차보고서에 의한 정보 공시를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 PDF

Exploring Alternative Real Estate Assessment Systems in Korea (부동산가격공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oo Dong-Hoe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3 s.114
    • /
    • pp.267-282
    • /
    • 2006
  • Korea officially appraises and publicizes three different values of the land and buildings for the same lot. The values are assess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National Tax Service. A fundamental problem of this appraisal system is that the values of land and buildings are separately assessed, even though they are bought and sold as a single entity in the real estate marke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alternative real estate assessment system should be develo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주식배당의 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Woo, Chun-Sik;Sin, Yong-Gy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3 no.1
    • /
    • pp.115-136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주식배당 예고제도가 도입된 1990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주식배당 지급을 공시한 기업 중에서 표본의 선정기준에 따라 295건의 표본을 선정하여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한편 주식배당의 공시효과를 설명하는 제 가설 중에서 유보이익가설과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전체표본(259건)을 대상으로 공시일 전후의 비정상수익률을 분석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공시기간(0일, +1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0.847%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어 주식배당 공시가 주주들의 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의 주식배당 효과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로서 유보이익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표본을 EPS의 증감 및 주식배당률의 크기에 따라 하위표본으로 분류하여 공시기간의 비정상수익률을 검토한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유보이익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또 다른 하나의 가설로서 주의환기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본을 상대적 평균 PER의 크기 및 자본금의 크기에 따라 분류한 모든 하위표본에서 일관되게 주의환기가설을 지지하는 실증적 증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Determinants of dividend payout: Advance disclosure and ordinary disclosure (결산배당 사전공시기업과 사후공시기업의 배당 결정요인 비교 분석)

  • Khil, Jaeuk;Han, Sangj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8
    • /
    • pp.86-93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dividend payout across advance disclosure firms and ordinary disclosure firms using firm-level data from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m characteristics of advance disclosure firms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of ordinary disclosure firms in all variables except sales growth and operating risk variables. Second,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determinants of dividend payout from ordinary disclosure firms are generally similar to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determinants of advance disclosure firms contain only few variables such as Tobin's Q, corporate bond yield, and operating cash flows from conventional factors. Thir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dividend payment substantially differ across advance disclosure firms and ordinary disclosure fir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tivation and incentive of dividend payout from firms choosing advance disclosure are substantially and systema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ordinary disclosure firms.

Seasoned Equity Offering announcement and Market Efficiency (유상증자공시와 시장효율성)

  • Chung, Hyun-Chul;Jeong, Young-Woo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5 no.3
    • /
    • pp.79-109
    • /
    • 2008
  • According to asymmetric information hypothesis (for example, Ross (1977), Myers and Majluf (1984)), the impact of seasoned equity offering (SEO) announcement on the stock price depends mainly on the informational market efficiency. Despite of the importance of this fact, most of the previous SEO-related studies have done under the assumption of equal informational market efficiency among sample firms. This study intends to solve this problematic assumption and explores the real impact of SEO announcement on the stock prices. For this purpose, we divide 122 SEO firms into two subgroups; one with firms from KOSPI200 and the other including firms from the rest of KOSPI, assuming the former is more informationally efficient than the latter. Different from the US market-based study demonstrating short-and long-term negative price impacts of SEO announcement, most of the Korean market-based ones show price increases up until the announcement and decreases just after the announcement and in the long run. These previous studies attribute this difference to the different market system and regulation between them.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discrepancy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degree of market efficiency as well as the different market system and regulation.

  • PDF

Density Variation within Specimen as Affected by Vibration (진동으로 인한 모래 공시체내의 밀도변화에 관한 연구)

  • 장병욱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3 no.3
    • /
    • pp.7-20
    • /
    • 1987
  • To obtain meaningful data of the tests for cyclic loading triaxial test, cyclic loading simple shear test ; and Shake table studies, it is necessary to test uniformly densified specimens. However, there is still some question about the assumed uniform density within a specimen when subjected to the process of densification. A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nsity variation It within the specimen and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parameters during the process of vibratory densification. It is found that variation of the ideally graded sand having a homogeneous initial density results in large inhomogeneities within the specimen after vibration. The degree of density variation within the speimen becomes more pronounced by the gradation of sand, surcharge and the intensity of acceleration.

  • PDF

The Study on Possibility of Strategic Trade using Disclosure Interval (공시시차를 이용한 전략적 매매의 개연성에 관한 연구)

  • Ko, Hyuk-Jin;Park, Seong-Ho;Lim, Jun-Kyu;Park, Young-S.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4
    • /
    • pp.165-189
    • /
    • 2009
  • According to disclosure regulation, insider can hide their trading until disclosure day, because there be interval between trading time and disclosure time. To accommodate strategic trade, they have an incentive to be brought disclosure interval as long as possible. This research investigate whether strategical behaviour of informed traders using disclosure intervals exists in domestic stock market.ls xt, we aney he whether they can get abnormal return through stealth strategy after announcement date. We also evaluate the effect of mimicking trading on price impact with the assumption of existence of mimicking trading. Our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case of main shareholder without having no prompt disclosure duty, the frequency of trading started at the beginning of month is shown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This result shows a direct evidence that informed traders buy or sell their equity strategically using disclosure intervals. Also, we find the result that the coefficient of strategic variables has highest value in middle size information. However, the empirical evidence that informed trader get abnormal return through strategic trading was not shown in this study. Meanwhile, stock price over-reacts for selling transaction on trading point and is recovered after disclosure date., so we assume possibility of mimicking trading exists in domestic stock marke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