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복혈당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6초

공복혈당수치와 운동유발전위의 상관관계에 대한 후향적 분석 : 중추운동신경과 말초운동신경의 비교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asting Blood Sugar and Motor Evoked Potentials : Comparison between Central and Peripheral Motor Nerve)

  • 나병조;박성욱;정우상;문상관;박정미;고창남;조기호;김영석;배형섭;홍진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34-441
    • /
    • 2007
  • Objectives : Peripheral neurodegeneration occurs in diabetes mellitus (DM), both sensory and motor nerve. but we don't know exactly if DM affects central nerve pathway for all studies. Electrophysiologic stud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agnostic tools for diabetic neuropathy. Electroneurography and electromyography are usually used. but evoked potentials (EP) is more sensitive to small nerve fiber damages and useful for central nerve evaluation in addition to peripheral nerves. Most diabetic neuropathy studies by EP have been performed with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SEP). In contras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DM targets central motor neurons by assessing the relation between fasting blood sugar (FBS) and motor evoked potentials (MEP) latency. Methods : We inspected the medical records of 34 patients who had MEP tests during admitting days. The latency from cervical portion to abductor pollicis brevis was used as peripheral motor conduction time (PMCT). and the latency from vertex to cervical portion was used as central motor conduction time (CMCT). Then, they were correlated to FBS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 between FBS and PMC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0.487, p<0.01), but a poor linear relation between FBS and CMC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0.l97. p>0.05).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prolonged latencies of MEP in DM may be due to peripheral neuropathy rather than dysfunction of central motor pathway. therefore the clinical use of MEP to diabetic neuropathy has to be divided segmentally.

  • PDF

당뇨와 지역사회치주지수의 관련성: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The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 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영숙;전지현;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805-812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s were recruited by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tudy subjects were 10,411 who were examined oral examination, blood test, and aged over 19 years.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variables were adjusted for gender, age, household income, family history of diabetes, body mess index, smoking habit, and frequency of tooth brushing. Periodontal tissue examination of the subjects was performed and scored by Community periodontal index(CPI). Using probe, six teeth were examined for hemorrhage, plaque, and pocket depth and classified into $CPI_0$, $CPI_1$, $CPI_2$, $CPI_3$ and $CPI_4$. Healthy periodontal groups($CPI_{0-2}$) and periodontal disease groups($CPI_{3-4}$) were divided by the periodontal disease status. The definition of diabetes mellitus(DM) was decided by the diagnosis by the doctors and fasting blood sugar level. Those who were diagnosed as DM were included in DM group. The DM variables included normal blood sugar level, increased fasting blood sugar level, and DM blood sugar level. The DM variables were compared to periodontal disease blood sugar level and analyzed. Results: The periodontitis prevalence rate was 23.2%. Those who had diabetes mellitus accounted for 5.5% of the subjects. Those who had impaired fasting glucose accounted for 17.7% and 7.9% of subjects were diabetes mellitus by blood test. In the confirmed diabetes group by doctor, the periodontitis prevalenc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diabetic group. Diabetic group by blood test had the highest prevalence rate of periodontitis than those who had impaired fasting glucose group or normal group. After adjusting for gender, age, household income, family history of diabetes, body mass index, smoking habit, and frequency of tooth brushing, the risk of periodontitis in diagnosed diabetes mellitus was 1.57 times(95% CI; 1.27-1.94)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In impaired fasting glucose group and diabetes mellitus group by blood test, the risk of periodontitis was 1.11 times(95% CI; 0.95-1.30) and 1.45 times(95% CI; 1.45-2.12) higher, re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abetes mellitus is a risk factor for periodontitis.

한국인에게서 ATP2B1 유전 변이가 비만 정도에 따른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P2B1 Variants on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ccording to the Degree of Obesity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 김기태;김인식;지선하;설재웅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5-52
    • /
    • 2020
  • 고혈압은 종종 심혈관 질환 및 신장 질환으로 이어지며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이다. 유전적으로 많은 단일 염기 다형성이 고혈압과 관련이 있다. 많은 GWAS 연구에서 ATP2B1 유전자가 혈압과 연관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994명을 대상으로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과 ATP2B1 유전자의 SNP와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BMI수치에 따라 하위그룹으로 계층화하여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과 가장 높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SNP를 선정하였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서의 one-way analysis of variance를 시행하였고, 고혈압 발생 위험에 대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은 연령 기준으로 구분하여 시행하였으며, 연령, BMI, 공복 시 혈당을 통제한 방법에서 비교하였다. 수축기 혈압에서는 4개의 SNP (rs10506974, rs7136259, rs17249754, rs17836882)가, 이완기 혈압에서는 6개의 SNP(rs10506974, rs10777237, rs7136259, rs17249754, rs1371075, rs10506983)가 유의하게 관련성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유전자형(genotype)에 따른 분석에서는 남성에게서 고혈압 위험에 대한 유의한 odd ratio 값을 보였다. 본 연구는 ATP2B1 다형성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안한다.

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복부 내장지방의 감량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 (The Correlations of Walking Exercise Program-Induced Abdominal Visceral Fat Loss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 김명수;김성희;이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89-59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복부 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개선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있었다. 걷기 운동 프로그램은 주당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걷기운동 후 피험자들의 복부 내장지방 감량 정도의 차이에 따라 복부 내장지방 감량이 많은 상위 25% 집단(n=8)과 복부 내장지방 감량이 적은 하위 25%(n=8)으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12주간의 걷기 운동 프로그램 전후 복부내장지방 감량 정도에 따른 집단 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허리둘레,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시혈당, 혈압)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걷기 운동 실시 후 총 복부 지방과 내장지방의 감량 정도는 허리둘레, 혈압(SBP, DBP)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피하지방의 감량 정도는 허리둘레와 혈압(SBP)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비만 및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에 대한 천연물 식품의 인체 및 동물 효능연구 (Human and Animal Study on the Natural Food for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 문근아;최선미;김선형;김성수;강지연;윤유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94-140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비만 및 대사성증후군 위험 인자를 개선하기 위하여 한방원리를 활용한 조성물 KSH28을 구성하고 동물실험과 인체실험을 통한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동물실험에서는 4주령의 수컷 C57BL/6 마우스에게 30%고지방 식이를 급여하면서 4주간 KSH28을 경구 투여하였다. 4주후 체중과 복부의 부고환 및 신장후 지방조직은 KSH28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지방조직내의 지방세포 평균단면적이 KSH28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여 지방조직 억제 효과가 뚜렷함이 발견되었다. 공복시 혈당과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KSH28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인체실험에서는 40명 (남성 8명, 여성 32명 )의 피험자들이 KSH28을 포함한 생식 제품(30 g)을 하루 2포 4주간 복용하였다. 체중은 4주간 평균적으로 1.91 kg(남 2.05 kg, 여 1.87 kg)감소하여 주당 약 0.5 kg의 감소를 나타내었고 체성분 분석에서는 체지방이 1.77kg(남 2.69kg,여 1.56kg) 감소하여 체중감량 부분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분과 단백질, 근육, 무기질은 변화가 없었다. 여성에서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과 혈중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이 모두 의미있게 감소하여 대사성증후군을 개선시킴이 관찰되었다. 간기능의 지표로 이용되는 GPT 수치에는 변화가 없었고 기타의 특별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아니하였다.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상태와 보건의식행태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s)

  • 이은희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3권2호
    • /
    • pp.199-218
    • /
    • 2005
  • 이 연구는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에서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파악하고 보건의식행태와 대사증후군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시행되었다. 연구재료로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24,469명 중 건강검진조사를 받았고 건강면접조사, 보건의식행태조사, 식생활조사에 응답한 7,854명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였으며, 2001년 미국에서 발포된 제 3차 콜레스테롤 관리지침(NCEP-ATP3)에서 제시된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및 WH0 아시아/태평양지역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20세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NCEP-ATP3 기준에서 13.3%(남자 10.1%, 여자 16.0%), 아시아/태평양지역기준에서 19.8%(남자 16.7%, 여자 22.4%)로 아시아/태평양지역 기준에서,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더 높았다. 대사증후군 진단항목 중복부비만, 저 HDL-콜레스테롤의 유병를은 여자에서, 고중성지방혈증, 공복시고혈당 유병률은 남자에서 더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또 대사증후근 진단할목의 보유경향은 ATP3진단기준에서 남자는 복부비만을 제외한 4개항목을 70%이상에서, 특히 고중성지방혈증은 95.0%에서 보유하였다 여자는 저HDL-콜레스테롤과 고중성지방혈증을 70%이상에서 보유하였다. 아시아/태평양 진단기준에서는 남자의 경우 고중성지방혈증을 88.0%에서, 여자의 경우 복부비만 및 저 HDL-콜레스테롤을 80%이상에서 보유하고 있었다. 대사증후군과 보건의식행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결혼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결혼한 사람에서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BMI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고혈압·뇌졸중,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남자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다. 또 스스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현재 흡연자의 PACK- YEAR가높을수록, 자주 술을 마실수록, )회 음주량이 많을수록, 과음빈도가 많을수록 대사증후근 위험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의존 경향이 있는 경우에서도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최근 1년간 체중이 감소 혹은 증가된 경우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체증감소정도가 클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비교적 높으며 대사증후근의 발생에는 보건의식행태, 특히 음주 흡연비만 연령 교육수준 등이 밀접하게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대사증후군의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획 및 치료방침 수립을 위해서는 우리 나라대사증후군의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진단기준항목 및 관련요인의 상호 연관성, 우리나라에 적합한 진단기준 설정 등에 대한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저열량균형식, 운동 및 행동수정에 의한 비만여성의 치료에 관한 연구 (Treatment of Obese Women with Low Calorie Diet, Aerobic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iton)

  • 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0-516
    • /
    • 1995
  • 체지방이 30% 이상으로 비만이라 판정되는 20~62세의 지원자들에게 저열량 균형식, 무리하지 않은 유산소 운동 및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교정하고 평생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영양상담과 교육을 포함한 행동수정을 통해 5주 동안 비만을 치료하고 성인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활동량, 식습관,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개인별 비만의 원인을 진단한 후 잘못된 식생활을 교정할 수 있도록 주 3회의 영양상담과 매주 1회의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식이요법은 1일 1끼의식사와 3회의 조제식이를 통해 열량이 1200kcal 정도가 되고,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은 성인 권장량의 100~150%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식전에 식이섬유와 물을 복용하고 식사 기간은 20분 이상으로 천천히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투긴음식, 가공식품, 패스트 푸두, 술, 청량음료, 달고 기름진 음식, 짜고 자극적인 음식 등은 제한하였다. 주당 3~5일간 1시간 정도의 가벼운 유산소 체조를 실험대상자 저원이 모여서 실시하였다. 먹은 식품, 활동, 운동, 감정상태, 피로여부 등을 일지로서 기록하게 하여 삼담을 통해 교정하고 관찰하여 긍정적인 내적동기를 갖도록 교육하였다. 비만치료 기간 중 탈락한 수는 총 16명 중 5명 (31.3%)이었으며, 비만도는 대상자의 대부분이 경증이고, 불규칙적인 식사, 빨리 먹는 습관, 과식, 짜게 먹는 습관, 야식, 음주 등의 비만의 원인이 되는 습관들을 가지고 있어 식습관 점수는 개선이 요구된다고 진단되었다. 5주동안의 비만치료로 체중은 평균 4.8kg(주당 0.96kg)이 감량 되었으며, 체지방, body mass index, 허리, 팔, 둔부의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압, 공복시의 혈당, 혈액증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은 변화가 없었으나, L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공복혈당장애 성인에서 엽산 또는 아스코르브산의 보충급여가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준과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lic Acid or Ascorbate Supplementation on Plasma Homocysteine Levels and Oxidative Stress in Korean Adult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 황미리;신민호;이정애;권순석;임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3-275
    • /
    • 2008
  •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is one of significant risk factors of developing diabetes. The persons with IFG are, thus, an important target group for primary prevention of diabetes. It is well known that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may be increased in poor folate nutritional status. Elevated level of plasma homocysteine is considered as a marker of enhanced oxidative stress. In addition,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may be diminished in poor antioxidative nutrient status as vitamin C.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maintain adequate nutritional status of folate and vitamin C in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or IFG.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folic acid or vitamin C on plasma concentrations of homocysteine, oxidized LDL, and lipids and on the activity of plasma anti-oxidative enzyme in patients with IFG. A total of 97 patients with IFG were participated voluntarily with written consents. They were divided into one of the four experimental groups; Control (C), Folatesupplemented (F), Ascorbate-supplemented (A), and Folate plus ascorbate-supplemented (FA). The subjects in C were taken placebo, those in F were supplemented 1 mg of folate, those in A were received 1,000 mg of vitamin C, and those in FA were given 1 mg of folate plus 1,000 mg of vitamin C daily for 4 weeks. No change in plasma concentrations of vitamin C, lipids, and oxidized LDL and the activity of GSH-Px were observed in vitamin C-supplemented group (A + FA) and folate-supplemented group (F + FA)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C + A). Only the folate-supplemented group (F + FA) had significantly increased average serum folate concentration and lowere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C + A). Thus, it should be recommended the patients with IFG to increase folate intake through diets and, if it is not sufficient, to take folic acid supplements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duced by hyperhomocysteinemia as well as oxidative stress.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성인 여성의 지방간과 관상동맥질환위험인자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Fatty Liver and Coronary Risk Factors among Health Examined Adult Women in an University Hospital)

  • 이광성;박재영;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130-3137
    • /
    • 2011
  • 본 연구는 복부초음파검사를 통하여 얻은 건강진단 결과로부터 지방간의 유소견자 비율을 파악하고, 지방간이 어느 정도 관상동맥질환위험인자와 관련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9년 7월부터 2010년 6월까지의 기간에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30세 이상 여성 6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 여성의 지방간 유소견율은 11.6%이었으며, 저연령군보다 고연령군에서,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유소견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연령과 BMI를 보정한 상태에서의 체지방율,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및 ALT는 지방간군이 비지방간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HDL-콜레스테롤은 비지방간군이 지방간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과 BMI를 조정한 관상동맥질환위험인자와 혈액 검사치에 따른 지방간의 위험비는 TG, TC, LDL-C 및 ALT치가 정상군보다 비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혈압의 분포와 심전도상 허혈성 심질환과의 관련성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al Cholesterol, Fasting Blood Sugar, Hypertension and Ischemic Heart Disease on EKG Findings)

  • 김수근;노상철;손정일;최보율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4호
    • /
    • pp.705-719
    • /
    • 1996
  • Since the 1960s, Korea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longer life expectancy, accelerated urbanization and a westenization of diet. Cardiovascular disease has become the leading cause of death; however the prevalence of ischemic heart disease(IHD) remains low. A cross-sectional multiphasic screening service for 18,426 persons aged $30\sim64$ years in a Medical Aid Program in Kyonggi-do Province was conducted from 1991 to 1993. Total cholesterol(TC), fasting blood glucose(FBG), blood pressure(BP), and electrocardiographic(EKG)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 as follows ; 1. On the EKG findings,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myocardial ischemia and myocardial infarction was 1.45% in men and 2.06% in women. 2. The mean blood pressure was 122.9/78.8mmHg.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11.05% in men and 9.02% in wome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showed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age increase. In all age group,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higher in men than women. 3. The mean total cholesterol level was 184.4mg/dl in men and 189.2mg/dl in women.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hypercholesterolemia was 4.88% in men and 5.67% in women. The total cholesterol level showed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age increase, except $55\sim64$ age group in men. 4. The prevalence of hyperglycemia is 5.8%. The age-adjusted prevalence of hyperglycemia is 6.72% in men and 4.50% in women. The prevalence of hyperglycemia showed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age increase. 5. On the EKG findings, the prevalence of myocardial ischemia and myocardial infarction was higher in hypertension than normal, in all age group of men and women less than 40 years-old. Only in women more t]fan 40 years-old, the prevalence of myocardial ischemia and myocardial infarction was higher in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glycemia. Nevertheless there is not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ischemia heart disease and previous risk factors in other age group, the prevalence of myocardial ischemia and myocardial infarction was higher in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glycemia than normal.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lationships between major risk factor of ischemic heart disease and ischemic heart disease is similar to existing theo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