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명음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Germanische Resonantengemination und Laryngaltheorie (게르만어의 공명음 중복현상과 후두음이론)

  • Jeon Soon-Hwan
    • Koreanishche Zeitschrift fur Deutsche Sprachwissenschaft
    • /
    • v.5
    • /
    • pp.1-22
    • /
    • 2002
  • 본 논문의 목적은 게르만제어(예를들어 고트어, 고대북구어, 고고지독일어, 고대영어 등)에 나타나는 공명음중복 현상이 원-인도유럽어시기의 후두음에 기인함을 보이는 것이다. 고트어의 ddj/ggw, 고대북구어의 ggi/ggr, 고고지독일어 ij/uw (이상 소위 '예음화현상'으로 불림)와 그 외 게르만제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명음들의 중복, -rr-, -ll-, -nn-, -mm- 등은 원-게르만어시기에 각각 $\ast-ii-,\;\ast-uu-,\;\ast-rr-,\;\ast-ll-,\;\ast-nn-,\;\ast-mm-$ 등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음군이 게르만어 이외의 다른 인도유럽어들( 대표적으로 고대인도이란어, 고전희랍어, 라전어 등)과 비교되어 원-인도유럽어시기로 소급되는 경우, 각각 $\ast-iH-,\;\ast-uH-,\;\ast-rH-,\;\ast-lH-,\;\ast-nH-,\;\ast-mH-$ 등으로 재구된다. 따라서 원-게르만어의 자음중복 현상이 후두음의 영향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되는데, 아마도 후두음이 선행하는 공명음에 동화되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소쉬르(1987)이래 발전해 온 후두음이론은 현재 그 이론적 틀을 확립한 상태이다. 이 이론은 고전 인도유럽어학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여러 언어현상들을 설명하였고, 현대 인도유럽어 역사비교언어학에서 언어변화에 대한 필수적인 설명기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원-인도유럽어의 많은 특징들을 계승한 전형적인 다른 고대 인도유럽어들과는 달리, 시기적으로 늦은 고대 게르만어에서 음운론적 층위에서 공명음중복 현상이 후두음에 기인함은 인도유럽어 역사비교언어학에서 뿐만 아니라 게르만어학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간접으로 본동사 앞에 놓여 있어야 되는 모든 문장성분과 부문장 때문에, 즉 한국어의 전면적인 전위수식 현상으로 흔히 큰 부담/복잡함을 야기한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사는 가능한 한 그의 문장성분을 줄이려 한다. 통사적으로 보장되어 이미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일종의 부담해소 대책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ast$ 두 비교 대상에서의 핵 및 최소문장 가능성은 역시 원자가에 대한 비구속성에서 비롯된다. $\ast$ 우리 한국인이 빨리 말할 때 흔히 범하는 부정성으로 인한 인칭변화에서의 오류는 무엇보다도 정형성/제한성을 지닌 독일어 정동사가 인칭 변화하는 데 반해 한국어에서는 부정성/비구속성을 지닌 동사가 그것과는 무관한 페 기인한다. 동사의 속성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이런 과오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 문제는 또한 지속적으로 수많은 다른 자연어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관찰돼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이 이런 연구와 언어습득을 위한 작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적 성분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글이 외국어로서의 독일어를 배우는 이들에게 독일어의 관용구를 보다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토대를 제공함은 물론, (관용어) 사전에서 외국인 학습자를 고려하여 관용구를 알기 쉽게 기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되기 시작하면서 남황해 분지는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으며, 동시에 발해 분지는 인리형 분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리고세 동안 발해 분지에서는 퇴적작용이, 남황해 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동시에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남황해

  • PDF

Characteristics of Wind Noise from Warning Spheres for Overhead Transmission Line (가공선로 표지용 구의 소음 특성)

  • Chu, Jang-Hee;Shin, Koo-Yong;Lee, Seong-Doo;Lee, Do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a
    • /
    • pp.497-499
    • /
    • 2002
  • 가공선로 표지물로 사용되는 구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현재 한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지용 구의 크기는 직경 62cm이며 두께가 3mm인 합성수지로 만든 반구를 접합부분에 요철형상으로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무향 풍동에서 측정한 구형 셀에서 발생하는 스퍽트럼과 비교하였다. 백색음을 입사하여 구형 셀의 크기에서 발생하는 기본음의 스펙트럼을 조사하였다.

  • PDF

A Resonance Characteristic of bronze washbasin (백천사 청동 대야의 울림 특성에 관한 연구)

  • Yi, Eun-Young;Ahn, Ik-Soo;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201-202
    • /
    • 2017
  • 공명은 외부에서 진동계를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고유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 진동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양쪽 진동수가 같으면 공명에 의해 에너지를 서로 교환하는 현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경남 사천에 소재하는 백천사의 사찰 마당에 있는 청동 대야를 사람이 손잡이를 문지를 때 발생하는 파동 현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청동 대야에서 발생하는 진동수는 3가지 성분이다. 이 음은 복합음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복합음의 기본 특성은 기본음이 배음보다 음압이 크다. 철제에서 생성되는 음압의 형태와 단조로운 순음인 경우가 많다. 청동 대야의 음압은 맥놀이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진폭변조의 포락선을 형성하고 있다.

  • PDF

Vocal Tract Resonance (성도공명)

  • 최홍식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201-207
    • /
    • 1998
  • 현악기의 대표격 악기라고 할 수 있는 바이올린이나 기타는 소리(음원)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는 줄(현)과 공명통이 합쳐져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활로 바이올린 줄은 긁거나 기타줄을 손으로 튕겨서 소리를 만들어 내면, 이 소리는 공명통을 울려서 크고 아름다운 소리가 발생되는 것이다. 사람의 목소리도 이러한 현악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두 개의 줄모양을 하고 있는 성대에서 성대음(glottal sound)을 만들어 내며 이 성대음이 성도(성도, vocal tract)를 통과하면서 여과(filtration) 되고 성도의 모양에 따른 특성에 따라 공명(resonance) 현상을 일으켜서 입술이나 콧구멍 바깥으로 방출되어 말소리(speech sound)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중략)

  • PDF

The Study of Reduction Technologies of Tire Cavity Resonance Noise (타이어 공명 소음(Tire Cavity Resonance Noise) 저감에 관한 연구)

  • Bang, M.J.;Choi, S.I.;Choo, K.C.;Lee, H.J.;Son, C.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596-599
    • /
    • 2008
  • Traditionally, tire made a role of function, which is supporting vehicle load, making brake, transferring traction, etc. But tire is a part of vehicle design, nowadays. In accordance with this market trend, customers need a wide tread design tire (i.e. low series tire). Generally low Series Tire means stiffer than general tire. That brings out increasing road noise. (Especially tire cavity resonance noise) Tire noise is divided in structure home noise and air borne noise. Tire cavity resonance noise (structure home noise) come from vibration between tire and vehicle. In the study, we investigated that tire cavity resonance noise is affected by stiffness of tread and sidewall.

  • PDF

The Relations between Two Impedance Mounds of A Bass Reflex System (위상 반전형 스피커시스템에서 임피던스 봉 사이의 관계)

  • Yi Han-Ryang;Oh Sei-Jin;Lee Seung-So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07-410
    • /
    • 2002
  • 본 논문은 스피커의 후면 방사음을 이용하여 저주파수의 음을 재생하기 위한 인클로져(enclosure) 방식 중 통기구(Vent)를 이용한 위상반전(Bass Reflex) 방식의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상반전형 스피커 시스템의 임피던스 곡선의 특성은 저주파수 대역에서 통기구의 공명에 대한 것과 구동스피커의 공명에 대한 임피던스 봉(mound)이 나타난다. 기존의 연구 결과들은 통기구와 인플로져의 용적에 관련된 최저 주파수에서의 공명에 대한 것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즉, 최저 주파수에서의 공명특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에서 나타나는 스피커의 공명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스피커의 음파발생 특성에 관하여 구체적인 논의가 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상반전형 스피커 시스템에서의 두 임피던스 봉오리 사이의 관계를 정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에서 발생되는 임피던스의 공명 특성에 따른 스피커의 음파발생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 PD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the allophones of the Korean liquid /l/ and their prosodic status (한국에 유음 /l/의 변이음들의 음성적 실현과 운율적 위상과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 이숙향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7
    • /
    • pp.85-9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honetic realization of flap [r], one of the allophones of Korean /l/. Phonetic realization of a segment is affected by not only its neighboring segments but also its prosodic position in an utterance. This study examined how various prosodic positions affect the phonetic realization of [r]. Effects of the four prosodic positions on the phonetic realization of [r] were examined: utterance initial, Intonation Phrase initial, Accentual Phrase initial, and Accentual Medial positions. Word positional effect was also examined: word initial, medial, and final positions. Acoustic and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flap [r] was realized in a variety of phonetic forms: from sonorant(the most reduced form) to short stop(the least reduced form). It was shown that generally. word-initial position is stronger than word-medial position. It was also shown that in many cases, utterance-initial position and intonation-phrase-initial position are stronger than accentual-phrase-initial and accentual-phrase-medial positions. Sonorants were observed more often in the prosodically weaker portions. VOT duration was also shorter in accentual-phrase-initial and accentual-phrase-medial positions.

  • PDF

A cause analysis of Noise & Vibration of Gas Heater (가스히터의 소음 진동 원인 분석)

  • Koh, Jae-Pil;You, Hyun-Se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3 no.1
    • /
    • pp.9-13
    • /
    • 2009
  • A cause of noise and vibration which come from a Combustion of gas heater are a combustion roar and Combustion oscillation. A character of a combustion roar is that sound pressure is distribute with broad band frequency. otherwise, The presence of combustion oscillation caused by positive Feed Back in Combustion Chamber break out a noise and vibration. Accordingly, The method that be solved a noise and vibration is to make each natural frequency different frequency. first, in order to solve problem, we control ratio of fuel and air. that is, Keep away resonance. second, in order to changing natural frequency of Combustion Chamber, We changed the shape of Economizer.

  • PDF

Sound Synthesis of Right-Hand Playing Styles Using Improved Physical Modeling of Sanjo Gayageum (개선된 산조 가야금의 물리적 모델링을 이용한 오른손 주법의 음 합성)

  • Cho, Sang-Jin;Chong, Ui-P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8
    • /
    • pp.362-369
    • /
    • 2006
  • In this paper, we improve a Physical modeling of sanio gayageum and synthesize sounds by right-hand playing styles. Parameters of loop filter are estimated from decay region of recorded sound. That results in improved accuracy and reduction of computational costs. Body is implemented to a resonator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main resonances extracted from impulse response. Residual signal with main resonances removed is used as excitation signal of proposed model. Amok alter is approximated to frequency response of amok and is implemented to the 15th order all-role digital filter. Beating (by middle and index finger) among the right-hand playing styles is represented by feedforward comb filter. Parameters of this filter are extracted from recorded sound. The synthesized sounds using improved physical model of sanjo gayageum. plucking and beating, are pretty similar to original sounds.

Magnetic Resonance Evaluation of the Articular Disc Configuration in the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악관절 내장증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사진상의 관절원판 형태의 평가)

  • Kim, Gwui-Ae;Kim, Sun-Hee;Kee, Woo-Cheon;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305-313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악관절 내장증 환자에서 관절원판의 형태를 자기공명영상사진으로 평가하고 임상적 증상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악관절 내장증의 증상을 가진 90명의 환자에서 169개의 관절을 자기공명영상사진으로 관절원판과 하악과두의 관계를 기준으로 정상군,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군으로 분류하고 관절원판의 형태를 5가지로 나누었다. 임상검사는 측두하악관절통과 관절음의 유무를 확인하여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에서 측두하악관절통은 각 군에서 관절원판의 형태와는 정상군을 제외하고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며, 염증성 삼출액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환자에서 관절원판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으며,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환자에서도 상당수 관절음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측두하악관절의 통증은 관절원판의 형태가 많이 변형될수록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다른 여러 가지 원인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 변위환자에서 관절원판의 변형이 심할수록 관절원판이 정복할 때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상적인 검사와 더불어 자기공명영상사진으로 정확한 진단을 함으로써 관절원판 변위의 적절한 치료가 행해질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