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력 데이터베이스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KF-16의 DOE기반 정적 공력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Construction of Static Aerodynamics Database of KF-16 based on Design of Experiments)

  • 진현;심호준;이돈구;안재명;최한림;오세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22-431
    • /
    • 2015
  • 풍동실험에 적용하는 실험계획법을 연구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KF-16의 정적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풍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기체는 KF-16의 1/33 scale의 모델이며 수평 꼬리날개와 플래퍼론, 방향타를 모두 구현하였다. 크게 실험은 수평 꼬리날개의 유무에 따른 공력 특성 변화를 보기 위한 실험과 플랩, 플래퍼론, 방향타, 그리고 수평 꼬리날개의 변위각에 따른 공력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수행 후에는 각 실험들에 대해서 6가지 공력계수 그래프를 분석하고 반응 표면을 생성하면서 조종면의 변화가 각각 어떤 공력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외장분리 풍동시험 기법의 전산유체해석 적용 (Application of Store Separation Wind Tunnel Test Technique into CFD)

  • 손창현;김상훈;우희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63-272
    • /
    • 2021
  • 본 논문은 외장 분리 풍동시험 기법을 적용한 전산유체해석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와 풍동시험을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비교 연구한 것이다. 전산유체해석은 하모닉 방정식을 적용한 비정상해석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비정상 해석으로부터 외장의 공력계수들과 6 자유도 외장 분리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였다. 해당 데이터베이스와 풍동시험 기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외장의 분리 궤적 시뮬레이션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행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의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외장 분리 풍동시험 기법을 전산유체해석에 적용하여 획득한 외장 분리 공력 데이터베이스는 외장분리 궤적 시뮬레이션 적용에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날개 전개가 가능한 무장의 분리 특성해석 (Separation Analysis of a Store with Deployable Wings)

  • 김병규;김상진;강인모;김명성;이승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1-389
    • /
    • 2007
  • 외부장착물의 효율적인 분리해석을 위해 6-DOF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S/W는 장착물에 작용하는 공기력을 미리 작성된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간단한 보간으로 얻기에 전산유체역학에 기초한 방법에 비해 매우 빠른 계산시간을 가지며, 고정된 형상의 무장 뿐 아니라 분리 중 날개를 전개하는 무장에 대해서도 해석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날개전개 무장의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MSAP(Multi-body Separation Analysis Program)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비정상 감쇠계수를 Missile Datcom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와 6-DOF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무장의 고정된 날개 뿐 아니라, 날개전개에 따른 무장의 분리 안전성을 판단하였다

상용 프로펠러 공력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Construction of Aerodynamic Database of the Commercial Propeller)

  • 심호준;김건홍;천혜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0-71
    • /
    • 2021
  • 상용 프로펠러의 추력과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성능시험 장치를 고안하였으며, 30인치급 3가지 프로펠러에 대한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프로펠러 추력과 토크 측정을 위해 모터, 프로펠러와 연결된 6분력 발란스를 적용하였으며, 풍동 저울 교정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 시스템의 확인을 수행하였으며, QTP 프로펠러를 적용하여 구축한 성능시험 장치의 검증 시험도 수행하였다. 제자리 비행 조건에서 상용 프로펠러의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사양과 시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추력 및 토크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받음각, 프로펠러 형상, 풍속을 변경시켜가며 프로펠러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각 프로펠러에 대해 RPM에 따른 프로펠러 추력 계수로 나타내었다. 저 받음각과 고 받음각에서 경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차후 공중용 무인이동체 공력 설계에 활용 가능한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였다.

KC-100 항공기 무인화를 위한 운동모델 구축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ynamic Model for KC-100 UAS)

  • 김성현;김지본;이정훈;김응태;김병수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9-87
    • /
    • 2023
  • 항공기의 비행 제어법칙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항공기 운동모델이 요구되며, 이를 구축하기 위한 공력 데이터베이스(DB)를 획득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많은 횟수의 풍동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유인 항공기의 무인화 과정과 같이, 대상 항공기의 비행시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파라미터 추정기법과 DB튜닝 절차를 통해 항공기 운동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KC-100 항공기의 무인화를 위한 비선형 모델 구축 과정 및 검증 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추정기법 적용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비행데이터 유효성 분석 과정과 최대공산 추정법을 사용한 선형모델 추정, 그 결과를 활용하는 공력 DB튜닝 과정과 이를 통해 최종 구축된 비선형 모델에 FFS 기준을 적용한 검증 결과를 제시한다.

공력 조종면 데이터베이스 확장을 통한 저 충실도 해석자의 정확도 개선 (Accuracy Improvement of Low Fidelity Solver by Augmentation of Fin Aerodynamic Database)

  • 강은지;김영화;임경진;이재은;강경태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4
    • /
    • 2022
  • There has been necessity to supplement the fin database to improve the accuracy of low-fidelity aerodynamic solver for missile configuration. In this study, fin database is expanded by in-house solver, utilized in the triservice data the previously established into regions beyond means of CFD. Fin alone data of CFD analysis results in the original region is matched well with triservice data originated from the wind tunnel tests. Extensive fin aerodynamic data from CFD analysis is added to the existing database of the low-fidelity solver. For confirmation,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body-tail and body-canard-tail missile configurations is computed using upgraded low-fidelity solver at transonic region. The result using improved solver shows good agreements with wind tunnel test and CFD analysis results, which implies that it becomes more accurate.

로켓 노즐 공력하중 특성에 대한 고속 풍동시험 (High Speed Wind Tunnel Test on the Aerodynamic Load Characteristics of Rocket Nozzle)

  • 라승호;옥호남;김인선;최성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35-4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된 스커트 형상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스커트 의 확산각 및 길이 변화에 따른 노즐의 공력하중 특성을 고속 풍동시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적절한 스커트를 사용하면 없을 때에 비해 김발의 구동력을 1/10 수준까지도 줄일 수 있었으며 시험 결과는 추후 스커트 형상 설계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기 위해 정규화 하였다.

회전 운동하는 비행체의 외부 유동장 해석을 통한 공력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the aerodynamic database though the external flow method of a rotating vehicle)

  • 강태우;안종무;이희랑;최재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41-47
    • /
    • 2017
  •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정교함이 더해진 최근의 지상무기가 지능형 포탄의 발달로 이어졌으며 주요 선진국의 관심을 이끌었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운동을 하는 비행체에 대한 공력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BLU-103 모델을 통한 전산유체역학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회전하는 비행체의 정상해석 기법을 모사하기 위해 동체는 고정시키고 주변의 공기를 회전시켜 동체가 회전 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였다. 회전운동 하는 비행체의 공력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단순형상에 대해 받음각 0도에서 90도, 옆 미끄럼각 0도에서 90도까지 각각 30도 간격으로 고려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Drag book에 제시되어 있는 항력 값을 통해 단순모델에 대한 항력계수가 1.0 ~ 1.2의 정량적 결과를 만족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단순형상에서의 해석조건을 통해 검증 된 유효한 입력 값을 동일하게 실제형상에 적용하여 회전 유무에 따른 공력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순모델 뿐 아니라 실제 모델의 회전 시 축력계수, 수직력 계수, 측력 계수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 하였고 특히 수직력 계수의 영향이 크게 작용되어 비행에 유리할 것이라 판단하였다.

고정밀 비행 시뮬레이션을 위한 개선 VFM 기법 연구 (Improved VFM Method for High Accuracy Flight Simulation)

  • 이치호;김무겸;이재륜;전권수;장막심;이재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9호
    • /
    • pp.709-719
    • /
    • 2021
  • 최근 들어 비행 시뮬레이션 기술의 정확도 향상과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 비행시험 횟수를 줄이고 시뮬레이션으로 비행 안전과 인증을 확인하는 가상 인증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다. 고신뢰도의 비행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고정밀도의 공력 데이터를 다양한 받음각과 마하수, 옆 미끄럼각 범위에서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한 공력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해 최적 설계에 주로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융합 기법의 하나인 Gaussian Process(GP) 기반의 변형 정밀도 모델링(VFM, Variable Fidelity Modeling) 기법과 Adaptive Sampling 기법을 결합하여 개선 변형 정밀도(Improved VFM) 기법을 제안하였다. Case study로 F-16 전투기를 선정하고 고정밀도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4개의 Case를 분류하여 각각의 오차와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여기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선 VFM 데이터 융합 기법을 적용하여 고정밀 공력 데이터 사용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그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liding, Short Term Pitch Response, Roll Mode 기동에 대한 실제 실험 데이터 대비 항공안전 인증 요구 만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선 변형 정밀도 모델링을 사용한 고정밀도 시뮬레이션의 가상 인증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외부 장착물 분리 해석을 위한 Off-line 6-DOF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n Off-line 6-DOF Simulation Program for Store Separation Analysis)

  • 곽인근;신재화;이승수;최기영;현재수;김남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252-1257
    • /
    • 2009
  • 항공기의 외부장착물 분리해석이 가능한 Off-line 6-DOF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풍동시험이나 CFD 해석을 통해 구축된 공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장착물의 분리 궤적을 예측할 수 있다. 공력 계수의 계산에는 flow angle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분리 궤적 계산에는 사출력과 구속 조건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군용항공기의 분리 궤적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CTS 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