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동 주택

Search Result 2,6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electric charge simulator for apartment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 설계 및 개발)

  • Kim, Woo-Je;Sim, Minkyoo;Chung, Bum-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57-659
    • /
    • 2020
  • 공동주택 전기 요금제에는 호별 계약, 단일계약 및 종합계약으로 분류된다. 호별계약은 저압전력이 공급되는 공동 주택에 적용되며, 세대별 사용량에는 주택용 저압요금제가 적용되고 공동부 전기 사용량에는 일반용 저압 또는 주택용 저압 요금제가 적용된다. 단일계약과 종합계약은 고압전력이 공급되는 공동주택에 적용된다. 단일계약은 공동주택 세대별 사용량과 공용설비 전기 사용량을 합산하고 평균하여, 평균세대의 전기요금량을 기준으로 주택용 고압 요금을 적용하여 공동주택 전기 요금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종합계약은 공용설비 전기 사용량에는 일반용 고압요금을 적용하지만, 세대별 전기 사용량에 대해서는 주택용 저압 요금을 적용하여 공동주택 전기 요금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공동주택에서는 3가지 요금제중 하나를 선택하여 한국전력과 계약을 맺을 수 있다. 고압전기를 공급받는 공동주택은 상황에 따라 단일계약이 유리한 경우도 있고, 종합계약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에서 전기요금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공동 주택에 적절한 요금제를 선택하는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시뮬레이터를 설계하고, 공동주택 전기요금 시뮬레이터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준 완화"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139
    • /
    • pp.17-19
    • /
    • 2002
  • 금년 3월부터 사용검사 후 10년 이상 경과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은 단지 또는 동별 입주자 전원의 동의를 얻으면 리모델링이 허용될 전망이다. 규제개혁위원회는 최근 건설교통부가 제출한 공동주택관리령 개정안 및 공동주택관리규칙 개정안을 심의, 무분별한 공동주택의 재건축 사업으로 인한 사회적 자원 낭비 요인을 억제하고 리모델링을 활설화하기 위해 이같이 권고키로 의결하였다.

  • PDF

친환경 건설정책 -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시대 열다 - 강동구,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가이드라인 확정 -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36
    • /
    • pp.48-51
    • /
    • 2010
  •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최근 연세대 친환경건축연구센터와 서울시 강동구가 협의('09.8)를 통해 친환경 공동주택 가이드라인을 마련함에 따라 강동구부터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가이드라인' 시행에 들어 간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의 주요내용은 공동주택 재건축시 냉 난방 에너지 총 소비량의 40% 이상을 절감하고, 관리동 등 공용시설의 제로에너지화, 지역특성에 맞게 생태면적률 40%이상 확보, 단지내 인공생물 서식공간 조성의 의무화 등이다. 강동구는 앞으로 지어지는 재건축정비사업의 공동주택 모두에 가이드라인 내용을 반영하여 친환경 공동 주택으로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고덕지구($1,239,407m^2$, 18,540가구) 및 둔촌지구($626,235m^2$, 9,090가구)부터 적용하여 친환경공동주택단지를 조성할 전망이다.

  • PDF

A Study on the Parking Supply and Management Strategics for Multi-Family Housing Sites (공동주택 주차공급 및 관리방안 연구)

  • 안정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41-53
    • /
    • 1999
  • The rate of automobile ownerships has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in multi-family housing sites so that government has made new parking regulations increasing the rate of parking supply by the high demand of parking lots in multi-family housing sites. However, the new regulation of parking supply has several problems that it applies to only new multi-family housing sites and disregards to the locational distinctions around the sites. It also has reduced to the open spaces in the sites and increased the price of housing units especially to the small size units of multi-family housing sit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underground parking lots. Furthermore, the residents have not been equal opportunity to access their parking lots even though they have been charged to equal amount of financial burden for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This research aims to relieve above problems by analysing parking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strategies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 to new parking management system for multi-family housing sites in 21st Centuries. This research reveals that most of multi-family housing sites want to be applied 1) diverse parking supply regulations considering the locational distinctions of sites, 2) parking lot ownership programs, 3) charging parking fees to second vehicles, 4) increasing parking lots both in the sites and around the sites, 5) enforcing police power to the parking violation vehicles to their sites. Especially, the multi-family housing sites consisting of small & medium size of units and locating in small & medium size of cites strongly want to be accepted new Parking regulations considered their locational and social distinctions and applied police power to the parking violation vehicles in their sites compared to the other multi-family housing sites.

  • PDF

A Study on Vitalizing Plans of Extension Remodeling for Apartment Housings (공동주택 증축 리모델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o, Jae-Yong;Lee, Kuen-Woo;Yoo, Hyun-Seok;Kim, Young-S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3 no.4
    • /
    • pp.33-47
    • /
    • 2012
  • 548 thousand apartment houses of Seoul has been used over 15 years and remodeling is available. It is 42% of the overall apartment houses currently and it is assumed to increase to 800 thousand in 2015. The maintenance work is divided to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Due to the regulations of the government, expansion remodelling has been the most considered alternative. However, 75% of the extension remodelling, yet, are in the preliminary phases. Thus, this study suggests factors hampering the vitalization of extension remodelling and solutions for each factor by means of Delphi analysis method.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 Cycle Cost of Wall Type Apartment and Beam-Column Structural Apartment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한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 비교 연구)

  • Lee, Jeehee;Kim, Kyuree;Son, JeongWook;Yi, June-Seo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5 no.6
    • /
    • pp.35-43
    • /
    • 2014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promote long-life housing to reduce social costs generated by poorly considered rebuilding and extend the life-span of housing. Long-life housing has advantages of durability, floor plan variability, efficient maintenance and ease of remodeling because it is a beam-column structure building. However, long-life housing requires somewhat higher initial construction cost than wall type apartments. It makes increase of long-life housing more difficult. In this study, we compare between wall-type apartment and beam-column structure apartment from Life-Cycle Cost's viewpoint. As a result of the study, long-life housing incurs 18% higher initial cost than wall type apartment, but is 7% more economical than wall type apartment in terms of Life Cycle Cost. Therefore, it is shown that long-life housing could be a beneficial alternative to traditional wall type apartments.

Study on Efficiency Improvement of Evacuation and Evacuation Facility due to Fire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 화재에 따른 피난 및 대피시설의 효율성 제고 방안)

  • Song, Chang-Young;S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83-286
    • /
    • 2016
  • 국내에 다수의 공동주택이 건설되고 있거나 공사중에 있으며 그 수요 또한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의 공동주택 중 대피공간 규정이 신설된 1992년 이전에 시공된 건축물은 현재에도 대피공간 및 피난시설이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 계획 및 시공, 준공된 준초고층의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대피공간 및 이에 준하는 시설은 사생활 침해 및 타 용도 공간 활용 등으로 기능이 상실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피난 및 대피공간에 대한 실효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타 시 도의 선진사례를 분석하여 정책적 제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피난시설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관련 현황 및 사례 조사와 관련 법규 분석을 통해 피난시설 및 대피공간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효율성이 높은 대피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 및 인센티브 제도, 가이드라인 등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Cost index for residential buildings (공동주택 건설공사비지수)

  • Lee, Dong-Hyun;Koh, Young-Beom;Ruy, Jung-Ho;Kim, Cha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289-294
    • /
    • 2006
  • Residential buildings industry hold lots of portions in Korean construction. Accurate cost index for Residential buildings is required to understand trends of prices of the constructions and to manage budget for them effectively. So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has issued a cost index for residential buildings every six months. However It hasn't been improved although It can't reflect the actual circumstance. So we are supposed to make a new cost index for residential buildings based on statistical data extracted from bills of quantity at three different projects.

  • PDF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by Ceiling Structures in Apartment Buildings (공동주택에 천장구조에 의한 바닥충격음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 조창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13-1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자료의 제시를 위해 천장구조가 서로 다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경량 및 중량 바닥충격음의 현장측정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천장구조에 의한 바닥충격음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차음성능을 평가하였다. 측정대상 건물에서 천장을 설치한 경우가 비교적 높은 충격음 차음성능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닥슬래브 하부 천장에 공기층과 완충재를 함께 설치하는 것은 기존 공동주택 등에서 경량 및 중량 바닥충격음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 PDF

국내 최초 공동주택 지역냉방 공급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10 s.195
    • /
    • pp.57-62
    • /
    • 2006
  • 국내 최초 공동주택 지역냉방 공급으로 주거문화의 질이 향상될 전망이다. 안산도시개발(주)는 지난 7월 안산시 사동에 위치한 푸른마을 3단지에서 지역냉방시설 준공식을 갖고, "국내 최초로 공동주택 지역냉방을 공급했다" 고 밝혔다. 안산도시개발은 이번 준공에 따라 안산지역에 지역난방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에도 지역냉방을 공급하는 전국 최초의 공동주택 지역냉방을 도입하게 돼 주거문화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반을 마련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