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동체 주거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2초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과 주거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on Quality of Life)

  • 이은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97-2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G시 마을주민 480명을 대상으로 대면을 통한 1:1 설문 조사한 결과,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총 46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5.0으로 빈도분석, 기술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활용해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체 의식은 삶의 질과 주거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만족도는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거만족도는 공동체 의식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마을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주거만족도가 미치는 효과의 중요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파트 주거공간에 기초한 지역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Restoration of Local Community Based on Apartment Residential Space)

  • 임석회;이철우;전형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4-328
    • /
    • 2003
  • 본 연구는 아파트 주거공간에 기초한 지역공동체의 형성을 공동체 운동의 주체와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아파트 거주공간은 폐쇄적으로 구획화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공동체 형성에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공동체적 요소를 갖고 있기도 하다. 조사결과는 입주자 대표회의와 부녀회를 중심으로 여러 자발적 주민조직이 다양한 생활문화운동을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 규범적 공동체 운동까지 나아가지는 않았으나 보상적 공동체 운동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공동체 활동이 지역공동체의 근간이 될 수 있는 근린관계의 형성에 적극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공동체 활동에 대하여 주민 스스로 긍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현대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한 대안으로 아파트 주민공동체 운동의 가치와 그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공동체 복합지원가능시설로서의 공공시설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 현황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Complex in Seoul)

  • 신화경;조인숙;이준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47-55
    • /
    • 2008
  • The public facilities are essential of resident life, the public facilities affect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local cultural welfare program of public facilities complex in Seoul. In this study, www.oklifr.go.kr is used for data. The results of his study are showed as followings: First, most of the public facilities' program are composed of educational program and program for middle-age. Second, mos of the program for infant and elderly age are composed of welfare program and most of the program for teenager, young people and middle age are composed of educational program.

공동체 복합가능시설의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ogram Character of Public Facilities Complex in Seoul)

  • 신화경;조인숙;이준민;정지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64-369
    • /
    • 2008
  • The public facilities are essential of resident life, the public facilities affect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local cultural welfare program of public facilities complex in Seoul. To achieve these study, www.oklife.go.kr is used for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ed as followings : First, most of the public facilities' program are composed of educational program and program for middle-age. Second, most of the program for infant and elderly age are composed of welfare program and most of the program for teenager, young people and middle age are composed of educational program.

  • PDF

도시 주거 취약층을 위한 친환경 조립형 흙블록 건축재 개발 - 인도네시아 주민 공동체의 참여적 접근 사례 - (Eco-Friendly Interlocking Stabilized Soil Blocks for Urban Housing-Vulnerable Communities : A Community-Participatory Approach in Indonesia)

  • 박재현;자스리 물리아;파자르 세티아완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125
    • /
    • 2020
  • 개발도상국에서 슬럼의 팽창은 만성적인 주거 문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정부의 역량이 부족하므로 주거 취약층의 자조적인 접근은 아주 오래전부터 불가피하면서도 그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하지만 비용 대비 양질의 확보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노력은 주거 취약층의 자조 주택 접근에서 해결해야만 하는 대표적인 과제이다.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주거 취약층을 대상으로 비용 절감과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건축재로써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토속적인 재료와 공법을 활용한 친환경 조립형 흙블록의 제작 개발과 교육훈련을 목적으로 한 건축 실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현지의 건축 NGO와의 협업을 통해서, 도시 개발로 강제이주를 당한 40가구의 공동체가 직접 친환경 흙블록의 제작 개발과 교육훈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공동제작 워크숍 형태이다. 흙 성질 조사분석, 배합 설계, 압축 강도 시험, 경제성 분석 등의 과정을 통해서, 이 연구는 조립형 흙블록이 기존의 벽돌이나 시멘트 블록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향후 본격적으로 자조 주택 건축재로 적용되는 경우, 가구나 공동체 규모에서 건축재 생산 및 시공 시에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환경적 효과가 예상되며, 건축 비용 및 물류 비용이 절감되고 커뮤니티 비즈니스화하는 경우에 부가 소득이 창출되는 사회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주거 취약층의 자조 주택 건립을 촉진하고 정부 주거개선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서 인도네시아의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