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동주택 환기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 in Apartment House (공동주택의 환기시스템별 에너지성능 비교 분석)

  • Kim, Gil-Tae;Chun, Chu-Young;Kim, Sun-Do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4
    • /
    • pp.215-22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ative analyses of energy performance in apartment houses adopted window frame-type natural ventilation, under-floor air distribution ventilation and heat recovery ventilation. As the object of energy simulation, the three type ventilation system with area of $84m^2$ was selected in apartment house. As a result, when the ECO2 simulation was performed, the 1st requirement quantity per annual were $159.9kWh/m^2yr$(CASE1, Natural Ventilation), $179.7kWh/m^2yr$(CASE2, Under-floor Air Distribution Ventilation) and $161.0kWh/m^2yr$(CASE3, Heat Recovery Ventilation).

Analysis of Ventilation Impact in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 Utilizing TOPSIS Method (다기준 의사결정방법을 이용한 공동주택 내 환기장치 종류별 효과분석)

  • Park, Kyung-Yong;Kim, Gil-Tae;Kim, Tae-Min;Ji, Won-Gil;Kwag, Byung-Cha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3
    • /
    • pp.107-113
    • /
    • 2022
  • With increasing airtight building construction aimed at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door relative humidity is increasing which can lead to condensation and moisture damage in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This has led to increased implement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to control indoor moisture. However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s consume additional energy and generate noise. As this leads to occupant discomfort, it is necessary to select a ventilation system that addresses the energy and noise issues. This research measured the ventilation performance, energy consumption, and noise level of mechanical ventilation devices in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TOPSIS,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was used to determine appropriate venti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o occupant ventilation system operation preference.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Ventil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공동주택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성능평가 연구)

  • Chun, Chu-Young;Kim, Gil-Tae;Kim, Sang-Hee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3 no.1
    • /
    • pp.89-9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hybrid ventilation system in apartment housings and present a design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ybrid ventilation system using the CFD simulation. As the object of CFD simulation, a small apartment houses with area of $51m^2$ and $81m^2$ were selected and evaluated. The test hybrid ventilation system are window frame natural air supply & duct exhaust hybrid system(Hybrid 1) and window frame natural air supply & bathroom and livingroom exhaust hybrid ventilation system(Hybrid 2). To evaluate the ventilation efficiency, we used the locations of diffuser installed for each system as the variables through the CFD simulation. In the case of Hybrid 1,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exhaust duct diffuser located on the inside room was higher rather than the exhaust duct diffuser located on the entrance. In the case of Hybrid 2, the most efficient system was the system that the diffuser connecting the bathroom static pressure fan is installed on the center of the living room.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Hybrid 2 in the case of $51m^2$ type was more than 20% of the Hybrid 1. But,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Hybrid 2 in the case of $84m^2$ type was more than 14% of the Hybrid 1. Therefore, to apply the Hybrid ventilation, a study that considers various variable should be conducted.

법령과 고시-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

  • Korea Mechanical Construction Contractors Association
    • 월간 기계설비
    • /
    • no.3 s.188
    • /
    • pp.34-35
    • /
    • 2006
  • 건축법 중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의 일부가 지난 2월 13일 개정, 공포되었다. 이번에 개정된 주요 내용은 그동안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설비기준이 없어 적정수준의 실내의 공기 질을 확보하지 못하여 국민건강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공동주택의 필요환기 횟수를 시간당 시간당 0.7회 이상이 되도록 하고 다중이용시설 중 지하 역사의 경우 필요 환기량을 1인 기준으로 시간당 25㎡ 이상이 되도록 하는 등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 환기설비기준을 정함으로써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실내의 공기 질 개선을 통해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피뢰설비의 설치기준을 강화하여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인 고층 건축물은 측면에 낙뢰방지시설을 설치하도록 개정함으로써 고층 건축물의 벼락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지는 건축물의 설비기준등에 관한 규칙 중 신∙구조문 대비표를 게재하오니 회원사 여러분의 많은 참고를 바란다.

  • PDF

난방운전의 최적제어방안 중심 공동주택의 열성능 향상 방안

  • 이승언;안태경;강재식
    • 월간 기계설비
    • /
    • s.46
    • /
    • pp.74-89
    • /
    • 1994
  • 현재 범국가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국가 경제 발전과 국제수지 개선을 위하여 추진되고 있는 정부의 에너지 절약사업에서 건물부문이 차지하는 에너지절약 효과는 막중하다. 특히 전체주택에서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에 32.1$\%$, 서울시의 경우 51.3$\%$로 전체 주택의 과반수를 넘어섰으며, 수도권의 대단위 아파트단지의 개발과 함께 공동주택의 증가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최적난방 운전기법 개발을 위한 1차년도의 연구로서 현행 공동주택의 난방운전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각 난방법에 따른 문제점 및 최적제어 알고리즘의 개발을 위한 자료 도출을 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1차년도에 수행된 연구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의 난방에너지 소비현상은 단지에 따라 최대 3배이상의 열사용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사용량의 차이는 건축의 기본 열성능, 설비시설의 수준 및 노후화정도에 영향을 받으나 동일 연대의 단지들에서도 최대 80$\%$이상의 열사용량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기계실 및 각 세대의 난방운전방법 및 제어수준에 따른 것으로 평가되었다. 세대의 층별, 위치별 열사용량 분석에 의하면 층별 열사용량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최상층부와 최하층부의 열사용량이 뚜렷이 많이 나타나 단열성능의 강화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샘플단지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통해 적정 열량공급시간대의 설정과 외기온의 변화에 따른 적정 온수공급온도의 설정조건 및 유량제어 효과등에 대한 분석 및 검토를 하였으며, 이를 통해 2차년도의 개발목표인 최적운전제어 방안의 제시를 위한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각 세대의 기밀성능이 공동주택의 열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샘플단지에 대해 트레스가스 측정법과 Blower Door법에 의하여 환기 및 기밀상태를 평가 하였으며 측정주호에 대한 환기를 예측할 수 있는 환기예측평가식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Ventilation Silencer for Noise Reduction of Apartments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환기장치용 소음기 개발)

  • Oh, J.W.;Lee, J.S.;Lee, J.H.;Lee, S.C.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47-1251
    • /
    • 2006
  • 공동주택의 보급 증가에 따라 화장실과 같이 환기용 덕트를 통한 층간 소음전달 문제가 예상되어 환기용 덕트에 간단히 설치하여 층간 소음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소음기를 개발하였다. 본 개발품은 소음 차단 기능이 확실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이다. 또한 습기에 의한 부식이 없고, 먼지와 습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성능시험 결과 환기용 덕트를 통한 소음의 전달을 10dB 이상 저감시킬 수 있고, 삽입에 의한 압력손실 2mmAq 이하가 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f Measurement on Airtightness and Air-Flow Performance of Apartment Housing Adopting Window Frame-Type Natural Ventilation (자연환기장치가 적용된 공동주택의 기밀 및 공기유동 성능 실측 연구)

  • Chun, Chu-Young;Kim, Gil-Tae;Kim, Sun-Dong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5 no.4
    • /
    • pp.325-33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airtightness and Air-Flow Performance for 7th house of small apartment houses adopted window frame-type natural ventilation. All window and living room door is provide with window frame-type natural ventilation, and there is provide with manual controller. As the object of measurement, the 6th type small apartment houses with area of $33m^2$ to $51m^2$ was selected. airtightness performance was measured at the front door using Blower door system. We measured ventilation rate per hour on 50Pa pressure differ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by the 1st to 6th cases. As a result, when the natural ventilation frame was closed, average amounts are shown as the ventilation rate per hour were 2.27ACH (CASE1). and the result is similar to general apartment house (1.65~4.28ACH). When the natural ventilation frame was open, average amounts are shown as the ventilation rate per hour were 5.87ACH (CASE6). In addition, that's a 3.6ACH increased more than CAS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