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동거주(共同居住)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7초

서울시민 공공임대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자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Factors of Demande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Move in Public Rental Housing of Seoul Citizens)

  • 이윤홍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173-194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자 특성요소를 규명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통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1)가구특성 및 주택특성요소 회귀분석결과는 주택점유형태 중 월세에 거주하는 거주자, 직업, 전세, 가구원수, 주변 공공임대주택 입지여부, 월평균소득, 자녀학력, 자녀수, 주택유형, 자가 순으로 공동임대주택 입주희망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입지여건특성요소 회귀분석결과는 공공임대비율 상위 5개구(강서 노원 중구 강북 마포), 입지여건 중 주변 공공임대주택 입지여부, 소득, 가구원수, 자녀수, 자녀학력, 직업유무, 주택유형, 자가, 전세, 월세 순으로 공동임대주택 입주희망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서울의 경우 민간주택 매매가격이 높고, 임대료도 높아 소득이 낮은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 확대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공공임대주택의 입주희망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선호도가 낮은 점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는 정부관계기관에게 수요자특성 요소를 연구하여 소득이 낮은 서민들의 주거안정에 도움이 되도록 현실에 맞는 대안을 제시한다.

공동주택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실내코디네이션 시행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Coordination Execution by Apartment Residents in Accordance with Lifestyles)

  • 김지은;한정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43-5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coordination in accordance with lifestyles to provide better interior conditions for house dwellers who have many different preferences and need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d the lifestyles of house dwellers, and their experiences on interior coordination, needs and preferences of dweller group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As the methods of the study,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survey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five main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the lifestyles of apartment residents, and the lifestyles of resident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1 group is characterized by 'demand for luxuriousness' and 'pursuit for beauty', and G2 group has tendency of 'information orientation' and 'pursuit for self-expression', G3 group shows strong tendency for 'pursuit for practicality' and G4 group is characterized by 'pursuit for self-expression' and 'pursuit for beauty'. The four groups showed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heir experiences, needs and preferences of interior coordination. G1 group can be names as 'the style of well-being and luxuriousness', and they are very positive in the interior climate change and prefer artistic items and luxurious atmosphere. G2 group, which can be named as 'the style of expression', tend to have their house interior-coordinated in order to follow fashion trends or express their personality. G3 group is named as 'the style of practicality' and they consider convenience,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The last group, G4 can be named as 'the style of personality', and they have much interest in expressing their personality or following trendy fashions.

고급연립주택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in Luxurious Row-Houses)

  • 라윤주;오혜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09-216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빌라'로 통칭되는 고급연립주택의 사례조사를 통해 그 평면의 특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 목적으로 1980년에서 2001년까지 서울과 분당지역에 건설된 지상 4층 이하, 연면적 660$m^2$ 이사인 연립주택 중 전용면적 50평 이상의 고급연립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분양자료와 건축, 주택, 인테리어 관련잡지, 인터넷에서 평면 135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연립주택의 평면 특성은 평형이 대형화 될수록 개 실의 수가 증가하기 보다는 새로운 기능의 공간이 거주자의 개성에 맞게 구성되며, 복층형 구조의 평면유형이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고급연립주택의 공동공간의 특성은 구성방식에 있어 거실분리형(L-DK)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평형이 커질수록 개방형은 거의 보이지 않고 거실분리형, 부엌분리형의 순으로 공간을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고급연립주택의 부부전용공간의 특성은 안방의 기능 분화가 시작된 80년대부터 현재까지 안방-드레스룸-욕실-부부침실의 공간구성이 일반화되었다는 것이다. 넷째, 고급연립주택의 가사작업공간의 특성은 주부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다용도실의 가사실을 하나의 개실로 구성하여 부엌과 인접하여 배치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고급연립주택의 출입공간의 특성은 현관진입형, 마당진입형, 부출입구진입형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현관진입 형에서 현관문에 중문이 이중으로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PDF

한국 방송콘텐츠의 성공적인 케냐 진출을 위한 현지 시장의 인식과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the Kenyan Broadcasting Market for Successful Export of Korean Media Content)

  • 이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421-434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방송사업자가 아프리카 방송시장에 진출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 방송사업자가 아프리카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정부기관이 어떠한 정책적 지원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제시하고, 이를 위해 구비하여야 할 내용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콘텐츠를 현지시장에 노출하고, 홍보효과의 극대화를 노리기 위하여서는 한국 문화관을 열거나 드라마 더빙 혹은 자막제작을 위한 비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현재보다 더 다양한 채널을 바탕으로 드라마를 유통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현지 제작자들과의 공동제작 형태를 고려해볼 필요도 있다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 케냐의 사회 문화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당 국가의 민족성, 지역성, 사회적 관습을 파악하고 한류가 보다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을 조사하고자 했다. 국내 방송사업자와 정부기관은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류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케냐의 사회문화적 특성, 케냐 현지 거주민들의 사고체계에 대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으므로, 본 연구는 케냐를 비롯한 아프리카 현지에의 한류 및 방송 콘텐츠 확산을 위한 국내 정책입안자들에게 직간접적인 도움이 될 수는 있을 것이다.

서울시내 공동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내 금연정책 시행에 대한 지지와 영향요인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in the Home Environment among Residents of Multi-unit Housing in Seoul)

  • 김정훈;이기영;김규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0-142
    • /
    • 2017
  • Objectives: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is able to implement smoke-free regulations for shared areas in multi-unit housing (MUH), such regulations are limited for private h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for homes and near the outsides of building among residents in MUH. Methods: A population-based sample of 2,600 residents among a web-based panel in Seoul was included. The resi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smoking status, voluntary smoke-free home rules, and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for homes and near the outsides of building. The presence of a voluntary smoke-free home rule was determined when residents declared that no one smoked inside their homes. Results: Among the 2,600 MUH residents, prevalence of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for homes was higher (83.2%) than for near the outsides of buildings (75.1%).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for homes was higher when residents were non-smokers, had voluntary smoke-free home rules, lived with children, lived with more residents, lived in owned homes, lived in apartments, and lived in homes with more frequent secondhand smoke (SHS) incursion.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near the outsides of buildings was higher when residents were women, non-smokers, more educated, had a voluntary smoke-free home rule, lived with children, lived in homes with more frequent SHS incursion, and lived in a commercial area. Conclusions: The majority was supportive of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for homes. Predictors identified in the study can be useful for promoting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for homes in MUH.

도심 마을공동체 내 거주자의 상호작용과 공동체의식 - 성미산마을을 중심으로 - (Residents' Interac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Urban Village Community - The Case of Sungmisan Village -)

  • 박경옥;정지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5-20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actors for village activation and maintenance of urban village community, based on the survey of residents' interaction (neighbors relationship, using community facilities, and community activities) and their community consciousness of Seongmisan village, a successful case in Seoul. 171 resi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Families got social with neighbors, caused by common use of community facilities, nearness of houses, and kids' friendship; the number of neighbors to be expected to give help was mostly under 5. 2) Facilities used by residents more than 3 times a week were cooperative association and cafe 'Little Tree'. Facilities considered to be important by residents were living cooperative association('Doore'), kids daycare center, village school, cafe, and education center. 3) 'Village News' was mostly interested community activities; 'Village Festival' and 'Village Sports Day' were also mostly participated. 4) As for the village consciousness factors, more than 3 points of 5 marked in all the 3 categories; emotional intimacy, neighbor homogeneity, and village attribution. The village consciousness, however,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residents' motivation to move into village, number of family members, age, income, period of residence, neighbors relationship, whether they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and events or not.

서울시 전기차 구매행태에 대한 시장분할 분석 (Market Segmented Analysis of Electric Vehicle Purchasing Behavior in Seoul)

  • 한진석;이장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4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이항로짓모형 기반의 시장분할을 고려한 전기차 선택모형을 추정하여 전기차 잠재 수요층의 전기차 구매행태를 분석하였다. 모형 구축을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차량운전자를 대상으로 전기차 구매가격, 공용 충전인프라 구축 수준,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등의 가상 시나리오에 대하여 전기차 선택여부를 조사하였다. 차급별로 구분하면 경 소형 차급 보유자는 차량 구매가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중 대형 차급 보유자는 공용 충전인프라 구축 수준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유형으로 분할한 경우 공동주택 거주자는 전기차 선택 시 공용 충전인프라 구축 수준을 가장 크게 고려하지만, 단독주택 거주자는 차량 구매가격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자동차 제작사의 전기차 보급 전략이 전략적 구매층을 어디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보여주며, 정부의 전기차 보급정책으로는 공용 충전인프라의 확대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노후 건축물의 철거 또는 리모델링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 (Decision-making system for remodeling or demolition decision of deteriorated buildings.)

  • 신경희;황종현;박태근;김용인;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439-443
    • /
    • 2001
  • 1970년대 이후 결제의 급속한 성장과 주택보급 확대 정책 등으로 단기간에 많은 건축물이 건설되었지만, 유지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후도가 심각한 실정이다. 민간시설의 경우 경제적 이익 실현 둥을 목적으로 노후도 및 내용연수에 상관없이 철거 후 재건축함으로써, 막대한 자원의 낭비와 건축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에는 재건축에 대한 법률이 강화되면서 노후 공동주택에 대한 재건축은 줄어들고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건축물의 합리적인 리모델링을 유도하기 위하여 노후 건축물을 철거할 것인지 또는 리모델링 할 것인지를 개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의사결정 시스템을 제안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건축물의 내용연수 및 사용연수를 고려한 수명 평가와 구조 안전성·설비 노후도 및 거주환경 성능을 포함한 노후도 평가로 구성된다.

  • PDF

가구구성의 유형에 따른 차별출산력 : 중국 연변자치주의 조선족과 한족의 비교분석

  • 권혁인
    • 한국인구학
    • /
    • 제23권1호
    • /
    • pp.31-53
    • /
    • 2000
  • 이 논문은 중궁의 가족적 특성과 츨상력의 관계를 보다 면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사회 문화적 특성을 근간으로 하는 가구유형을 분류, 이들간의 출산수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990년에 실시된 제 4 차 중국인구센서스 자료 중에서 조선족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는 길림성내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50%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자료를 가구구성특성에 따라 네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가족경제의 생산단위와 세대구성을 기준으로 고립형, 병렬형, 직계형, 전통형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농가와 비농가의 가구형태 또는 세대구성의 성격아 출산수준과 갖는 상관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중국의 사회 경제적요인과 결부하여 전통적으로 유지되던 가족관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민족별 출산수준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연구결과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해체하고 집단적 공동생산 체제를 대체시키려는 중국의 사회주의 정책이 현실적으로는 가족중심의 생산체제와 전통적 가족주의를 변화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구유형에 따른 출산수준의 편차는 두 민족간에 차이를 보여 주었다. 한족이 여성의 직업이나 교육수준에 따라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의 편차가 크게 변화되는 것과는 달리 조선족은 비교적 전통적인 세대관 이 강조되는 다가구 유형에서 높은 출산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는 중국의 인구정책과 경제개방 시행과정에서 약소민족인 조선족의 저출산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가구 유형별 출산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한족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지적할수 있다.

  • PDF

지역연결망 및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에 미치는 영향 (Neighborhood Networks, Identity as a Neighborhood Member, and Volunteering)

  • 전신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8권
    • /
    • pp.234-254
    • /
    • 1999
  • 자원봉사는 그동안 남을 돕는 자선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으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자원봉사는 지역사회의 복지를 위한 성원들의 공동참여의 노력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개인수준의 이타적이고 규범적인 동기 이외에 지역성원들이 거주하는 지역내 성원들간의 연결망과 지역성원들의 공동체의식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를 설명하는 더욱 중요한 요인이 되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 경험 연구에서는 자원봉사 참여의 설명요인으로 감정이입, 도덕규범 이외에 지역성원 연결망(친밀도, 접촉도, 통합도)과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그 주요 원인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감정이입과 도덕규범 이외에 지역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이 자원봉사 참여에서 주요 설명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밖에 지역성원들간의 연결망은 지역 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자원봉사 참여에 대해 간접적인 영향력을 준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성원들간의 결속력과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복지와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게 하는 그 주요 기반이 됨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