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기역학적 계수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고급개념 자동차의 공기역학설계 (Aaerodynamic design of advanced concept car)

  • 정인석;김현우
    • 오토저널
    • /
    • 제10권6호
    • /
    • pp.13-24
    • /
    • 1988
  • 본 해설에서는 공기저항을 감소하기 위하여 위에서 열거한 점들을 고려한 공기역학적인 연구를 행함으로써 항력계수를 0.153까지 낮게한 Ford사의 프루우브IV 개발과 그 결과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우선 일반적인 공기역학적 설계를 위한 연구에 대하여 서술하고 풍동실험을 반복한 결과로 보완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후 최종적인 차에 대한 풍동실험 결과를 서술하는 순서로 한다.

  • PDF

비거리 향상을 위한 드라이버 헤드의 공기역학적 형상연구

  • 김태우;이영준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5회(2016년)
    • /
    • pp.598-603
    • /
    • 2016
  • 현대의 스포츠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고 있고 골프종목 역시 재료역학적, 공기역학적 발전에 따라 비거리를 점점 늘려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비거리에 대한 연구는 골프공과 골프채의 재료의 변화와 딤플이 있는 골프공의 공기역학적 연구에 집중해 있었고 요즘에 들어서야 클럽헤드의 공기역학적 형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 경기 중 가장 먼 비거리를 만들어 내는 골프채인 드라이버의 단순화된 2차원 클럽헤드 형상을 설정하고 항력을 줄일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최소의 항력을 갖는 헤드 형상을 찾아보았다. 연구결과 $10.2^{\circ}$의 로프트를 갖는 클럽헤드는 chord 길이가 face 높이의 3.2배이고, trailing edge가 face의 중심보다 전체 face높이의 10% 아래에 있을 때 가장 적은 항력을 얻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형상과 기존형상의 스윙 속도 차는 약 2mph로 5yard의 비거리 차이를 가져온다.

  • PDF

땅콩 자실의 물리적, 기계적 및 공기역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Mechanical and Aerodynamic Properties of Peanut Pods)

  • 김명호;박승제;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0권2호
    • /
    • pp.141-150
    • /
    • 1995
  • 땅콩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농산가공기계의 개발 및 최적 작동에 필요한 땅콩 자실의 물리적, 기계적 및 공기 역학적 성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영호, 올, P.I. 314817의 3 가지 품종에 대해 땅콩 자실의 형상, 각부 칫수, 진밀도, 산물밀도 및 종실율이 측정되었으며, 땅콩자실에 대해 압축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자실이 파괴될 때의 힘, 변형량, 그리고 단위 체적당 최대 흡수 에너지인 터프니스 계수를 측정하여 기계적 성질로서 제시하였다. 공기 역학적 성질로서는 땅콩 자실과 종실의 종말속도 및 항력계수가 측정되었다. 1. 땅콩 자실의 기하학적 형상은 수원체로 모형화할 수 있었다. 2. 진밀도는 땅콩 자실의 경우는 515-620 $kg/m^3$, 종실의 경우는 960-1,090 $kg/m^3$, 의 값을 보였다. 3. 대합면이 수평인 자세에서의 파괴력은 영호가 61.9 N, P.I. 314817은 71.5 N, 올 땅콩은 84.8 N였으며, 터프니스 계수는 각각 30, 43, 72 kN-$m/m^3$, 의 값을 보였다. 모든 품종과 함수율에서 파괴력과 터프니스 계수는 대합면이 수직인 자세에서보다 수평자세에서 더 큰 값들을 보였다. 4. 땅콩 자실과 종실의 평균 종말속도는 각각 8.7-9.9 m/s, 10.0-11.6 m/s 범위였다. 종말속도는 진밀도와 직선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품종과 형상에 따른 뚜렷한 종말속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PDF

자동차의 풍동실험 (Wind tunnel testing of automobile)

  • 정인석;김현우
    • 오토저널
    • /
    • 제10권3호
    • /
    • pp.25-30
    • /
    • 1988
  • 현대의 자동차 설계에 있어서 공기역학적 설계는 제일관심사로서 자동차제조기술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연료경제성, 운전성 그리고 주행안전성 등이 이 공기역학과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항력계수는 여러가지의 동급차종 중에서 특정자동차의 판매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자동차제작에 있어서 공기역학이 가지는 중요성은 계속 증대되고 있어 풍동은 자동차공학자들에게 자동차설계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한 시설이 되고 있다. 본 해설에서는 이렇게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실험용 풍동(Automotive wind tunnel)의 소개와 현재 가동되고 있는 자동차용 풍동에 의한 실험의 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NACA XX08시리즈의 저 레이놀즈수에서의 공력특성 연구 (Aerodynamic Characteristic of NACA XX08 Series at Low Reynolds Flow)

  • 윤영준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636-641
    • /
    • 2015
  • 초소형 비행체는 길이 150mm, 무게 100g 이하의 비행체이다. 초소형 비행체는 그 특성상 저 레이놀즈수에서 비행하며 저 레이놀즈수에서의 공기역학적 특성은 고 레이놀즈수에서의 공기역학적 특성과 큰 차이가 있다. 이는 초소형 비행체 개발 위해 저 레이놀즈수에서의 공력특성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NACA 4digit Airfoil의 캠버크기와 캠버위치의 변화에 따른 공기역학적 특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캠버의 위치가 앞전 또는 뒷전으로 이동함에 따라 양력계수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캠버가 뒷전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속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약 4도 이하의 받음각에서 익형의 아랫변에 발생하는 박리는 고 레이놀즈수에서의 실험에서 확인되어지는 공력특성과 큰 차이를 발생시켰다. 양항비 특성이 가장 우수한 익형은 NACA5808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측풍 시 철도차량에 가해지는 공기역학적 하중의 측정 (Measurement of Aerodynamic Loads on Railway Vehicles Under Crosswind)

  • 권혁빈;유원희;조태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1호
    • /
    • pp.91-98
    • /
    • 2011
  • 측풍 시 AREX 열차에 가해지는 공기역학적 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풍동시험이 수행되었다. 5% 축소 시험 모델은 연결부, 하부 및 대차부 등을 포함하여 가능한한 자세하게 모델링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풍동은 폭 4m $\times$ 높이 3m 의 시험부를 가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중형 아음속 풍동이다. 두 종류의 선로 모형에 놓여진 열차 모델에 가해지는 공기역학적 하중과 모멘트는 요각에 따라 도시되었으며, 실험 조건에 따른 공력 계수의 특성이 분석되었다.

모서리 절단 효과로 인한 사각주상체의 공기력 특성변화 전산해석

  • 황규관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553-558
    • /
    • 2015
  • 교량의 주탑, 초고층빌딩과 같이 세장비가 큰 대형구조물의 경우 풍하중에 취약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바람에 의해 직각 방향으로 발산 진동하는 갤로핑(gallop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구조물의 진동을 억제하려는 방안으로 단면 형상에 변화를 주어 공기역학적 불안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dison_CFD를 이용하여 모서리 절단부의 비율과 받음각에 따른 공기력 특성에 대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EDISON-CFD를 활용한 대형 트럭 디플렉터 형상에 따른 항력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 박상현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6회(2016년)
    • /
    • pp.1-3
    • /
    • 2016
  • 대형 화물 트럭(heavy-duty truck)은 화물 적재에 용이하지만, 공기역학적으로 불리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대형 화물 트럭에는 공기저항력(aerodynamic drag)을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치가 달려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플렉터(deflector) 형상이 항력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평판 형태와 굴곡진 형태의 디플렉터 형상에 대한 항력 계수 비교를 EDISON-CFD를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측풍(side-wind)의 영향을 무시하며 차량 속도 95 km/h로 등속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평판 형태의 Model 1과 바깥으로 굴곡진 Model 2에서 전체 항력 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 PDF

공기역학적 성능을 고려한 인간동력항공기 개념 설계 (Preliminary Design of Human Powered Aircraft by the Consideration of Aerodynamic Performance)

  • 강형민;김철완
    • 항공우주기술
    • /
    • 제12권2호
    • /
    • pp.180-1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공기역학적 성능을 고려하여 인간의 힘만으로 이륙할 수 있는 초경량 인간동력 항공기의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조종사를 포함한 항공기 전체 무게를 결정한 이후 적절한 익형을 선정하여 주날개/보조날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비행기의 형상을 기초로 3차원 전산해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해 양력/항력 등의 성능계수 및 항공기 무게 중심(CG)에 대한 계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행기의 양력 및 추력이 양력 및 추력의 제한 조건을 만족하였다. 또한 비행기의 무게 중심(CG)이 주익의 공력 중심(AC)에 위치함으로써 26%의 정적 안정성이 보장되었다.

인공광하에서 공정묘 개체군상의 공기역학적 저항 및 확산계수 (Aerodynamic Resistance and Eddy Diffusivity above the Plug Stand under Artificial Light)

  • 김용현;고재풍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2-159
    • /
    • 1996
  •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newly developed wind tunnel with light system to determine the aerodynamic resistance and eddy diffusivity above the plug stand under artificial light. Maximum air temperature appeared near the top of the plug stand under artificial light. Since Richardson number was ranged from -0.07 to +0.01, the atmosphere above the plug stand in wind tunnel was in an unstable or near- neutral stability state. The average aerodynamic resistance at rear region of plug stand was 25 % higher than that at middle region. Eddy diffusivity($K_{M}$) linear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ir current speed. $K_{M}$ at air current speed of 0.9 m.$s^{-1}$ was about two times as many as that at air current speed of 0.3 m.$s^{-1}$. And average $K_{M}$ at the rear region was 15% lower than that at the middle reg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ffusion of heat and mass along the direction of air current inside the plug stand was different. It might cause the lack of uniformity in the growth and quality of plug seedlings. The wind tunnel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r current speed on microclimates and the growth of plug seedlings under artificial light in a semi- closed eco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