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기결합

Search Result 30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coustic radiation from a line array of bubbles in water (수중 공기방울의 선형 배열에 의한 음향 방출)

  • Choi, Bok-Kyeoung;Yoon, Suk-Wa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3
    • /
    • pp.71-77
    • /
    • 1994
  •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ound radiated by a line array of bubbles in water was investigated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In the theory we proposed an effective coupled harmonic oscillator model for a line array of bubbles treating the interaction of only adjacent bubbles as the coupling of classical harmonic oscillators. For weak coupling of bubbles that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bubbles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bubble, the pressented theoretical model shows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 PD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Retrieval Using Data Fusion Method in the Vector and Neural Network Model (벡터와 신경망 모델에서 데이터 퓨전 기법을 이용한 정보검색의 효율성 향상)

  • 최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137-14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벡터모델과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 퓨전의 관점에서 다중증거로서 가중치, 문헌분리가, 엔트로피, 공기유사도를 적절히 결합하여 질의를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코사인 정규화 가중치 알고리즘, 문서길이 정규화 가중치 알고리즘과 결합하여 질의를 확장하는 것이 정규화시키지 않고 단순히 문헌빈도와 역문헌빈도의 조합을 이용한 가중치 알고리즘과 결합했을 때 보다 평균 정확률 향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공기기반 유사도를 이용하여 질의확장을 한 결과 벡터모델과 신경망 모델에서 코사인 공기유사도에 기반하여 질의확장한 경우가 다른 공기유사도에 비해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Acoustic radiation from a line array of bubbles in water (수중 공기방울의 선형 배열에 의한 음향 방출 특성)

  • 최복경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181-185
    • /
    • 1993
  • 물 속에 만들어진 공기방울들은 각자 자신의 반지름에 반비례하는 공진주파수로 음파를 방출하며, 많은 공기방울들이 모인 공기방울 집단은 집단의 전체 크기에 반비례하는 집단 공진주파수를 가진다는 현상이 그동안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수십, 수백 개의 유한한 개수를 가진 공기방울들의 음파방출 주파수 특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 일차원 배열의 공기방울들을 발생시켜 공기방울들에서 나오는 음파방출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수중에 형성된 공기방울들은 그들 간에 거리 간격이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기방울들 간의 상호작용이 변화한다고 간주한 유효 결합 조화진동자 모형을 새로이 만들어 해석하였으며, 실험값과 좋은 이치를 보여주었다.

  • PDF

유도 결합 플라즈마원의 외부 냉각에 관한 수치 모델링

  • Ju, Jeong-Hun;Jo, Jeong-Hui;Park, Sang-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18-218
    • /
    • 2016
  • 실린더 형태의 유전체 관에 나선형으로 도전체 안테나를 설치하는 타입의 유도 결합 플라즈마원은 간단한 구조로 화학 조성 분석용부터 나노 분말 제조, 반도체용 식각/증착, 표면 처리, 자동차 및 일반 산업 부품용 증착 보조원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밀도 라디칼/이온의 공급을 위해서 투입 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높은 전력 밀도로 인해서 유전체 관에 인가되는 열응력이 대기압 및 관 고정용 구조물에 의한 구조 응력에 더해져서 파손에 이르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실제 실린더 길이 전체를 안테나 코일로 감는 경우에도 플라즈마 발생 밀도가 높은 지역은 중심 일부 영역에 국한 되는 공정 영역도 있어서 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CFD-ACE+를 이용하여 플라즈마의 생성, 냉각수의 열전도, 외부 공냉식 팬의 역할등에 대해서 수치 모델을 작성하여 검토하였다. 나선형 냉각코일의 경우 냉각수량을 일정값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유속이 지나치게 빨라져서 열원이 있는 내경쪽 표면에서 열전도가 유속에 비례해서 증가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냉각팬의 경우 일반적으로 장치 내부에 대해서만 모델링을 하는 데 실제로 전체 시스템의 주변에서 공기의 흐름을 넓게 해석해야 실제 냉각 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심한 경우 냉각용 공기 흡입구와 토출구의 간격이 좁아서 열원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의 상당량이 다시 냉각용 공기 흡입구로 재순환 되는 경우도 발생하기 쉽다.

  • PDF

Study on the Performance Variation of Gas Turbine Air Compressor Integrated with Air Separation Unit in IGCC Power Plant (IGCC 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에 관한 연구)

  • Lee, Chan;Kim, Hyung-Taek;Yoon, Y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98-103
    • /
    • 1996
  • 석탄가스화복합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병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용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는 유선곡률방법과 압력손실모델을 결합한 해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예측결과들을 실제 압축기성능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예측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제안된 압축기성능 해석방법을 근간으로, 압축기와 공기분리장치의 연계조건인 열교환기의 핀치포인트 온도차, 추출공기량 및 추출 공기압력이 압축기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공기추출량이 늘어나거나 핀치포인트 온도차가 커질수록, 압축기의 압축비 및 소요동력은 증가하나, 압축기 효율은 공기추출량의 증가에 따라 고압공기추출시에는 저하되고, 저압공기추출시에는 향상되었다. 더 나아가, 압축기의 일반화된 성능특성곡선의 제시를 통해, 압축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압축기/공기분리장치 간 연계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 PDF

Analysis of Compound Noun and Automatic Indexing Using Collocation Information of Nouns and Co-occurrence Information of Predicative Nouns (명사의 연어 정보와 서술성 명사의 공기 정보를 활용한 복합명사 분석 및 자동 색인)

  • Yang, Seung-Hyeon;Chung, Eui-Sok;Yoon, Jun-Tae;Song, Man-S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59-64
    • /
    • 1997
  • 복합명사로부터 적절한 색인어를 추출하는 것은 한국어 정보검색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명사로부터 색인어 추출을 하기 위해 복합명사 구문 구조 분석 결과를 활용한다. 단일명사가 3개 이상 결합된 복합명사의 경우 각 단일명사의 구문적 관계를 파악하여 적절한 괄호치기를 한 후 색인어를 추출하면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복합명사 구문 구조 분석을 위해 말뭉치로부터 구조적 중의성이 없는 연어 관계의 완전 복합명사와, 서술성 명사와 공기하는 명사쌍을 추출한 결과를 이용한다. 또한 서술성 명사는 이와 공기하는 명사와 결합되어 복합명사를 이를 가능성이 많고, 복합명사의 형태로 인식되어야만 정확한 의미 파악이 가능하다. 서술성 명사와 공기하는 명사를 파악하여 복합명사를 추출하기 위해서 부분 파서로 공기쌍을 찾아 복합명사 후보를 생성한 후, 이 후보 가운데 적합한 복합명사만을 선택하기 위해 말뭉치에서 추출한 완전 복합명사 사전을 통해 검증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술성 명사에서 복합명사 형태의 색인어를 추출한다.

  • PDF

A Study on The Behavior of 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Using Pneumatic Stabilized Platform (공기안정식 초대형부유구조물의 거동에 관한 연구)

  • Hong, Sang-Hyun;Kwon, Dong-Ho;Lee, Seung-Jun;Lee, Jong-Seh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33-136
    • /
    • 2010
  • 공간부족과 해안 매립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초대형부유구조물이 각광 받고 있으며, 대표적인 구조형식으로는 폰톤식과 반잠수식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유체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실린더에 공기를 가두어 지지되는 공기안정식 플랫폼이 제안되어졌으나 아직 개념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기 안정식 초대형부유구조물의 실린더 내부 공기상태에 따른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체정역학적 관계를 통해 실린더 내부의 공기 복원력 변수를 산정하였으며, 선형파랑하중에 따른 구조물의 응답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변수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Water Absorption by CFRP Using Air-Coupled Ultrasonic Testing (공기결합 초음파탐상에 의한 CFRP 복합재의 흡습 특성 평가)

  • Lee, Joo-Min;Lee, Joo-Sung;Kim, Yong-Kwon;Park, Ik-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4 no.2
    • /
    • pp.155-164
    • /
    • 2014
  • Carbon-fiber-reinforced plastic (CFRP) composites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a variety of industry applications, such as aircraft, automobiles, and ships because of their high specific stiffness and high specific strength. Aircraft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and high humidity for a long duration during flights. CFRP materials of the aircraft can absorb water, which could decrease the adhesion strength of these materials and cause their volumes to change with variation in internal str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CFRP composites under actual con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aircraft safety. In this study air-coupled ultrasonic testing (ACUT) wa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water absorption properties of CFRP composites. CFRP specimens were fabricated and immersed in distilled water at $75^{\circ}C$ for 30, 60, and 120 days, after which their ultrasonic images were obtained by ACUT. The water absorption properties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changes in ultrasonic signals. Further, shear strength was applied to the specimens to verify the changes in their mechanical properties for water absorption.

레지오넬라균을 잡는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Environmental engineer
    • /
    • s.167
    • /
    • pp.58-61
    • /
    • 2000
  • 하절기 외기 온도 상승에 따라 에어컨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며, 특히 건물등의 공기조화장치의 가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레지오넬라균에 의한 질병은 공기조화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따라서 이 질병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방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레지오넬라는 물과 박테리아가 결합된 상태로 분무상태로 공기에 의해 전염된다. 레지오넬라가 검출되는 인공적인 시설물로는 공조, 산업용 cooling tower, $20^{\circ}C$에서 $45^{\circ}C$ 범외내의 온수 분무를 생산하는 기타의 시스템등에서 발생된다. 이에 (주)한수는 최근 레지오넬라균 및 미생물의 살균처리가 가능한 "레비오켐"을 개발,시판하고 있다.

  • PDF

The influence of moisture control on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reated with self-etching adhesive system (Self-etching adhesive system에서 수분 조절이 레진의 치질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 Jin, Myoung-Uk;Kim, Young-Kyung;Park, Jeong-W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4
    • /
    • pp.363-369
    • /
    • 2002
  • 최근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치과용 접착제는 산 부식 후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적용하는 wet-bonding 술식을 많이 추천하고 있다. 하지만 self-etching primer의 경우 산부식과 priming 과정이 동시에 시행되고, 제조자들은 건조된 치아표면에 적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그러나 건조된 정도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추천사항이 없으며.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질 삭제 후 남아있는 수분이 self-etching primer의 레진 접착 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한 대구치 96개를 이용하여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600 사포로 표면을 연마하고, 법랑질 면을 노출시킨 군과 상아질을 노출시킨 군으로 분류 후, 30분 공기 중 방치 군 (1군), 5초 공기 건조 군 (2군), 1초 공기 건조 군 (3군), 솜으로 약간의 물기를 제거한 군(blot dry) (4군) 등 총 8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인 Clearfil SE Bond primer를 20초간 적용하고, bonding제 도포 후 10초간 광중합 시행하였다. 접착제 처리한 치아면에 몰드를 고정한 후 Clearfil AP-X 복합레진을 2mm 충전하고, 40초간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24시간 후 전단 응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법랑질과 상아질 모두에서, 30분 건조군과 5초 공기건조군이 1초와 blot drying 군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self-etching adhesive system을 사용함에 있어서 법랑질과 상아질군 공히 건조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며 수분의 존재시 치아와의 결합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에서 접착제의 적용시 수분의 조절에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