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급

Search Result 18,052,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육용종계 산란기의 단백질 및 에너지 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 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3.05a
    • /
    • pp.27-35
    • /
    • 2003
  • (시험 1) 육용종계 산란기의 단백질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육용종계 산란기의 적정 단백질공급수중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소재 홍천종계에서 케이지 사양형태의 아바에이카 육용종계 400수를 공시하여 2001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40주간 (24∼64주령) 1일1수당 단백질 공급량을 18, 20, 22, 24g으로 달리하는 4개처리로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산란율과 종란 산란율은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P<0.05), 20g 공급구가 가장 높았으나 18∼22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어고 24g 공급구는 20g 공급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2) 평균난중은 1일 단백질공급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P<0.05), 20∼24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18g 공급구만 24g 공급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계생존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계란kg당 또는 계란1개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은 모두 1일 CP 20g 공급구가 가장 우수했으며(P<0.05), 계란 kg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에서는 CP 18g 공급구계란1개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에서는 CP 24g 공급구만 CP 20g공급구오 유의차를 보였다(P<0.05). 4) 계란kg당 또는 계란 1개당 CP요구량은 모두 1일 단백질 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P<0.05), 18g과 20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5) 계란kg당 또는 계란 1개당 사료비는 모두 CP 20g 공급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나(P<0.05), 계란1개당 사료비에서는 18∼20g 공급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2) 육용종계 하절기 산란피크계의 에너지 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육용종계 산란기의 적정 에너지공급체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소재 홍천종계에서 케이지 사양형태의 로스 육용종계 400수를 공시하여 2002년 4월부터 2003년 1월까지 40주간 (24∼64주령) 표2와 같은 4가지 에너지공급체계로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산란율, 종란 산란율, 평균난중 및 성계 생존율은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산란율은 1일 에너지공급량이 많을수록 오히려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사료요구율, ME 및 CP요구량과 사료비는 모두 1일 에너지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 PDF

A Study on the Product Innovativeness Affecting SCM Value Chain (공급사슬관리(SCM)의 가치사슬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혁신성에 관한 연구)

  • 김정태;박은미;장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442-448
    • /
    • 2002
  • 오늘날의 경영환경은 불완전할 뿐만 아니라 경쟁이 심화되어 기업간 경쟁의 범위를 벗어나 공급사슬간의 경쟁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정보기술관리과 eBusiness가 급격히 발전하면서 공급사슬관리(SCM)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경쟁전략과 공급사슬전략 그리고 제품 특성을 반영하여 공급사슬이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특성을 수요 측면을 중심으로 혁신적 제품과 기능적 제품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제품의 혁신성을 측정하고,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서의 공급사슬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전략에서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의 혁신성이 공급사슬관리(SCM)의사결정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기업들에게 자사 제품에 대한 전략적 분석 필요성의 개념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품특성, 제품 전략, 공급사슬 전략, 기업경쟁전략의 연계적 개념을 제공하고 자사의 공급사슬의 효율성과 반응성을 진단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Purchasing and Supply Management Strategies for Bottleneck Items in Supplier-Dominant Relationship (공급자가 교섭력의 우위에 있는 병목품목에 대한 구매 및 공급관리 전략)

  • Kim, Ju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463-468
    • /
    • 2006
  • 구매자와 공급자의 관계는 대부분 구매자의 교섭력이 우위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병목품목의 경우는 반대로 공급자의 교섭력이 우위에 있는 상대적으로 드문 경우에 해당된다. 병목품목에 대해 힘의 열위에 있는 구매자가 주도할 수 있는 구매 및 공급관리 전략을 도출하고 실행하기는 다른 품목들에 비해 매우 어렵다. 그러나 교섭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공급이 부족하게 되면 생산에 막대한 차질을 가져오고, 공급량은 부족하지 않더라도 공급가격이 인상되면 구매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최종제품의 가격과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하였지만 제품생산과 수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병목품목에 대해 구매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하여 구매 및 공급관리 전략의 목표를 정의하고, 목표를 이루기 위한 프레임웍과 전략들을 도출하였다.

  • PDF

Analysis of Hapcheon Dam Water Supply Capacity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합천댐의 용수공급능력 분석)

  • Chae, Heechan;Ji, Ju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5-155
    • /
    • 2017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다목적댐 저수율이 예년에 비해 크게 줄어들어 정상적인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가속화는 가뭄의 강도와 발생 빈도를 증가시켜 정상적인 용수공급은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용수공급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합천댐의 용수공급능력 분석을 위해 CMIP5 GCM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합천댐의 용수공급 능력을 분석하였다. 용수공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구조적 대안으로 다목적댐의 용수공급 조정기준 및 다목적댐의 비상용량을 활용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분석기간은 21세기 초기(2011-2040년, 30년), 21세기 중기(2041-2070년, 30년), 21세기 후기(2071-2099년, 29년)로 설정하였다. 저수지 모의운영을 위해 저수지 모의운영 프로그램인 HEC-ResSim을 이용하였다. 또한 용수공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용수공급의 신뢰도와 회복도, 취약도 등을 산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The Effect of Supplier Dependence on Relationship Performance: Focusing on Supply Chai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Practices (공급사 의존도가 관계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급사슬 관계와 의사소통 관행을 중심으로)

  • Lee, DonHee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4
    • /
    • pp.37-52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upplier dependence on supply chain relationships, communication practices, and relationship performance in manufacturing-part compani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ith AMOS 23.0 was used to test hypotheses using data collected in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show that supplier dependence positively affects supply chai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practices. In addition, the results confirm the effect of supply chai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practices on relationship performance.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supply chai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practices through supplier dependence play a key role in improving relationship performance for supply chain management.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the practice of supply chain management as well as to efficiency through collaborative activities of supplier-buyer in the supply chain processes.

A study on the Supply Chain Simulator (글로벌 공급체인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석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67-72
    • /
    • 2000
  • 공급망 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는 공급자, 생산자, 고객에 이르는 공급망(Supply Chain) 전체에 대한 합리화된 통합적 관리를 의미한다. 현재까지 최적화와 관련된 분야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이러한 최적화 값들의 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급망을 모델링하여 원하는 기간 동안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급망을 정량화된 데이터로 표현해 주고, 각 구성 요소에서의 운영정책 변화나 공급망 디자인의 변화와 같은 여러 가지 발생 가능한 변인들이 공급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내 줄 수 있는 Supply Chain Simulator(SCS)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개발된 SCS들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n Evaluation Method of Water Supply Reliability for Dams by Firm Yield Analysis (보장 공급량 분석에 의한 댐의 물 공급 안전도 평가기법 연구)

  • Lee, Sang-Ho;Kang, Tae-Uk;Jung, Eui-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294-298
    • /
    • 2005
  • 신뢰도를 이용하여 댐의 물 공급 안전도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보장 공급량 분석에 의한 댐의 물 공급 안전도 평가 절차를 제안하였고,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물 공급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여러 묶음의 월 유출 시계열을 모의발생시키기 위하여 SAMS-2000을 사용하였고, 보장공급량 결정을 위한 저수지 모의운영에는 HEC-5가 사용되었다. 50년 계획 기간에 대하여 설계 유출자료에 의한 소양강댐 보장 공급량의 물 공급 안전도는 $80.5\%$로 평가되었고, 준공 후 기록 유입량에 의한 보장 공급량의 물 공급 안전도는 $53.7\%$였다. 기록 유입량 자료의 보장 공급량(15.85억 $M^3/yr$)을 계획 공급량으로 하면 연간 0.94억 $m^3 $의 용수를 추가 공급할 수 있다. 충주댐의 설계 유출자료에 의한 보장 공급량 34.22억 $M^3/yr$를 계획 공급량으로 하면 모든 시계열에 대하여 반드시 물 부족이 발생하였다. 이는 설계 당시 유입량의 과대평가에 기인한다. 제안된 절차를 적용하면 보다 객관적으로 댐의 물 공급 안전도를 평가할 수 있다.

  • PDF

Vu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 Dam using Copula-based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Copula 기반 이변량 빈도해석기법의 적용을 통한 댐 용수공급 취약성 평가 방법의 개선)

  • Cho, Eunsaem;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21
    • /
    • 2018
  • 수자원 시스템의 용수공급의 안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국내에서는 이수안전도 혹은 안전채수량(safety degree for water shortage or safe yield)의 개념이 이용된다. 아울러 공급 측면에서는 기준갈수량, 공급신뢰도, 저수용량 등이 분석되고 있으며, 수요 측면에서는 용수공급 보장일수, 최소 부족량, 갈수 조정기간 및 용수부족에 따른 피해정도 등을 고려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수자원 시스템의 평가는 용수공급 실패기간의 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여 이루어진다. 용수공급 실패기간으로부터 분석되는 통계적 특성은 용수부족 발생빈도, 용수부족 지곡기간 및 용수부족 총 양 등 세 가지로 정량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자원 시스템이 수요를 만족시키는 정도인 신뢰도(reliability), 용수부족 발생 후 얼마나 빨리 회복하는지를 나타내는 회복도(resilience) 및 용수부족의 양적 크기를 나타내는 취약도(vulnerability)의 지표는 앞서 언급된 세 가지 통계 특성으로부터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Copula 기반 이변량 빈도해석 개념을 적용하여 댐 용수공급 취약성 평가 방법을 개선한 후, 국내 남강 댐 유역의 용수공급 취약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이용되고 있는 용수공급 평가지표들의 특성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취약성 평가 방법에 Copula 기반 이변량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용수공급 실패 사상을 기준으로 수행되었으며, 용수공급 실패 사상의 발생확률은 포아송 분포, 총 부족량은 대수정규분포로 모의되었다. 최종적으로는 남강 댐의 재현기간별 취약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취약성 평가방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Water Supply Stability Analysis using Reliability Indices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신뢰도 지수를 활용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안정성 분석)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5-65
    • /
    • 2017
  • 상수관망 시스템(Water Distribution System, WDS)은 원활한 용수 공급을 위해 구축된 사회기반시설물로써, 물 공급절차에 따라 그 구성요소를 공급원, 공급 경로, 수요지 등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원활한 물 공급이란 수요지에서 요구하는 수량과 압력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능력은 요구 수량 및 압력과 실제 공급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과거에는 두 가지 기준을 별도로 산정하여 이를 평가하였으나, 유량과 압력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에너지 기반의 평가 방법이 제시되면서 시스템 내 에너지 분포를 정량화하여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시스템 내 에너지 흐름 상태를 정량화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수관망의 신뢰도지수(Reliability Index)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때, 대부분의 신뢰도 지수 연구에서는 수요지에 공급된 에너지를 기본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최소요구 에너지(Required Energy)와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잉여 에너지(Surplus Energy)로 구분하고 있으며, 잉여 에너지를 상수관망의 공급 안정성을 나타내는 핵심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확보된 잉여 에너지는 비상시 최소요구 에너지를 대체하는 개념에서 복원력으로 표현되어, 잘 알려진 Resilience Index(RI)를 비롯해 많은 복원력 지수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력 지수를 포함한 세 가지의 신뢰도 지수를 적용하여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상황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절점별 복원력 지수를 산정하고 그 분포를 공간적으로 도시하여 파악함으로써, 비상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판단기준으로써 신뢰도 지수를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 of the multipurpose utilization of the Hwacheon Reservoir on water supply and downstream in the metropolitan area (화천댐의 다목적 활용이 수도권 용수공급 및 하류에 미치는 영향)

  • Jeongin Yoon;Eunkyung Lee;Jungwon Ji;Jaeeung Y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30-430
    • /
    • 2023
  • 2020년 4월,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가뭄과 수도권 용수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기 운영중인 발전용댐을 수도권 용수공급의 수원으로 활용하는 『한강수계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 협약』이 체결되었다. 이에 따라, 화천댐은 발전뿐만 아니라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22.2 m3/sec를 상시 공급하는 운영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천댐의 용수공급 효과 분석을 위해 화천댐의 수도권 용수공급 기여도와 상시 용수공급에 따른 화천댐 하류의 유황 및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화천댐의 수도권 용수공급 기여도 분석을 위해 한강수계 댐 운영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의 운영 결과를 활용하여 팔당댐 유입량 중 화천댐, 소양강댐, 충주댐의 방류량과 자연유량이 차지하는 정도를 산정하여 용수공급 기여도로 제시하였다. 또한, 화천댐의 상시 용수공급이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범운영 전후 화천댐의 무방류일을 비교하였으며 하류 변화를 분석하는 요소로 유황과 수질을 선정하고 시범운영 전후 화천댐 하류의 유황과 수질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화천댐 용수공급의 양적 기여도 및 하류의 유황 안정성 분석과 하류 수질 개선 변화 등을 분석함에 따라 화천댐의 용수공급 효과를 다방면에서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