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급망 보안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관리를 위한 기술 동향 조사와 향후 발전 방향 제언

  • Kang, WooSeong;Pang, Hyunkjun
    • Review of KIISC
    • /
    • v.32 no.5
    • /
    • pp.21-25
    • /
    • 2022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성이 강화되면서 소프트웨어 공급망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안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관리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공급망이 복잡해질수록 공급망 공격의 유형은 다각화되는 반면 공급망을 구성하는 공급업체 및 구성요소에 대한 식별 및 취약점 분석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에 저자는 국내외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관리를 위한 기술 동향에 대한 조사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적용할 수 있는 공급망 보안 관리 체계의 발전 방향에 대해 작성하였다.

미국의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정책 동향: SBOM 사례를 중심으로

  • Choi, Yunseong
    • Review of KIISC
    • /
    • v.32 no.5
    • /
    • pp.7-14
    • /
    • 2022
  • 2021년에 발생한 일련의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으로 미국 연방 정부의 사이버보안 개선 정책이 가속됐다. 이중 소프트웨어 구성 정보를 유통하는 SBOM 정책은 SW 구성요소의 투명성을 강화하여, 이를 활용하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보안 인식 개선에도 도움을 줄 것이 기대된다. 다만 SBOM으로 공급망 보안 위협을 완화하려면 해결해야 할 기술적 이슈가 있고, SBOM 수집자를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도 마련되지 않아 제도 정착에는 시간이 걸린다. SW 공급망 문제는 SW 개발 관행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요구되며, 글로벌 연쇄 위험으로 결코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실태조사, 실증사업 등을 시작으로 현실에 맞는 정책을 먼저 적용하고, 제도적 조화를 위한 국제협력에도 힘써야 한다.

FOSSLight를 활용한 공급망 보안 관리

  • Kim, Kyoungae
    • Review of KIISC
    • /
    • v.32 no.5
    • /
    • pp.15-20
    • /
    • 2022
  • 소프트웨어 개발이 고도화되고 개발 주기가 점점 짧아짐에 따라 단독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어려워졌다. 소프트웨어 개발의 복잡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업에서 함께 협업하는 여러 공급망 소프트웨어의 결합이 강화되고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오픈소스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공개된 FOSSLight 도구를 활용한 공급망 보안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 공급망 보증(A-SSCA)

  • Kim, Dong-Won;Han, Keun-Hee
    • Review of KIISC
    • /
    • v.25 no.1
    • /
    • pp.39-46
    • /
    • 2015
  • 현대의 자동차는 안전중요(Safety Critical) 시스템이기 때문에 차량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것은 물론 초 연결사회를 지향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자동차의 스마트화 됨에 따른 자동차 보안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자동차 소프트웨어와 공급망에서의 보증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보안성을 확보하고, 공급망에서의 보안성을 보증하기 위한 자동차 소프트웨어&공급망 보증(A-SSCA, Automotive-Software& Supply Chain Assurance)을 위한 보안쟁점 및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외 원전 디지털자산 공급망 사이버보안 규제 동향

  • LIM, SOO MIN;KIM, ARAM;SHIN, ICKHYUN
    • Review of KIISC
    • /
    • v.26 no.1
    • /
    • pp.54-60
    • /
    • 2016
  • 기업들의 생산 공정이 세분화되면서 하나의 디지털 기기는 여러 단계의 공급망을 통해 원자력 발전소 외부에서 제작된 후 공급된 기기들과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최종 완성품이 제작된다. 이러한 공정 과정을 거치는 다양한 나라, 회사에서 제작된 수많은 부품들과 소프트웨어의 조합은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발생한 의도되거나 의도되지 않은 결함 또는 사이버 위험을 포함한 최종제품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로 공급망을 위협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공급망을 통한 사이버공격의 보안 위험 사례를 관리하는 것이 디지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주요기반시설의 안전과 보안을 유지하는데 고려해야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급망을 통한 사이버보안 위험 사례와, 원자력발전소 디지털 자산 공급망 위험관리를 위한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A Study on a Smart City Supply Chain Security Model Based on Zero-Trust (제로 트러스트(Zero-Trust) 기반의 스마트시티 공급망 보안모델 연구)

  • Lee, Hyun-jin;Son,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2 no.1
    • /
    • pp.123-140
    • /
    • 2022
  • Recently, research on solving problems that have introduced the concept of smart city in countries and companies around the world is in progress due to various urban problems. A smart city converges the city's ICT, connects all the city's components with a network, collects and delivers data, and consists of a supply chain composed of various IoT products and services. The increase in various cyber security threats and supply chain threats in smart cities is inevitable, in addition to establishing a framework such as supply chain security policy, authentication of each data provider and service according to data linkage and appropriate access control are required in a Zero-Trust point of view. To this end, a smart city security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smart city security threats in Korea, but security requirements related to supply chain security and zero trust are insufficient. This paper examines overseas smart city security trends, presents international standard security requirements related to ISMS-P and supply chain security, as well as security requirements for applying zero trust related technologies to domestic smart city security models.

A Study on the 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 Policy for the Strengthening of Cybersecurity: Based on SBOM Policy Cases (사이버안보 강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정책 연구: SBOM 정책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 Son, Hyo-Hyun;Kim, Dong-Hee;Kim, So-J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9-20
    • /
    • 2022
  • Supply chain attacks target critical infrastructure, causing large amounts of damage and evolving into a threat to public safety and national security. Accordingly, when establishing cybersecurity strategies and policies,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s specified to enhance security, and the US Biden administration recently issued the Executive Order on Improving the Nation's Cybersecurity, SBOM was mentioned as part of the guidelines for strengthening software supply chain security. If the government mandates SBOM and uses it as a security verification tool for supply chains, it can be affected by the domestic procurement system in the future and can be referenced when establishing a security system for domestic supply chain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policy implementation. Accordingly, in this paper, countries that are promoting the SBOM policy as a way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the software supply chain we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a focus on related cases. In additio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foreign SBOM policy trends, methods for using domestic SBOM in terms of technology, policy, and law were considered. As the value of using SBOM as a supply chain integrity/transparency verification tool is expec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dentify trends in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policy development for SBOM and study the standard format.

A Study on the Supplementation of the Korea's National Information Security Manual from the Perspective of Cyber Supply Chain Security (사이버 공급망 보안 관점의 국가 정보보안 기본지침 개선방안 연구)

  • You, Young-in;Bae, Sunha;Kim, So Jeong;Kim, Dong 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2 no.2
    • /
    • pp.309-327
    • /
    • 2022
  • As ICT convergence is progressing in all industrial fields and creating the global ecosystem of the supply chain is accelerating, supply chain risk related with cyber area are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supply chain of ICT products is very complex in terms of techn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o be managed, so it is vert difficult to transparently manage the entire life cycle. Accordingly, the US, UK, and EU, etc. are conducting and establishing cyber supply chainsecurity-related research and policies for ICT product supply chains. Korea also has the plan to establish management system to secure the supply chain of major ICT equipment as a task in the basic plan of the national cybersecurity strategy announced in 2019, but there is no concrete policy yet. So,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yber supply chai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present a supplementary way to the National Information Security Manual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yber supply chain security.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erve as a reference material for cyber supply chain measures that can be introduced in domestic information security field.

Comparative Analysis on ICT Supply Chain Security Standards and Framework (ICT 공급망 보안기준 및 프레임워크 비교 분석)

  • Min, Seong-hyun;Son,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0 no.6
    • /
    • pp.1189-1206
    • /
    • 2020
  • Recently, ICT companies do not directly design, develop, produce, operate, maintain, and dispose of products and services, but are outsourced or outsourced companies are increasingly in charge. Attacks arising from this are also increasing due to difficulties in managing vulnerabilities for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process of consignment and re-consignment. In order to respond to this, standards and systems for security risk management of ICT supply chain are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overseas, and various cas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solve supply chain security problems such as Software Bill of Materials (SBOM).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such as ISO have also established standards and frameworks for security of ICT supply chain. In this paper, we presents ICT supply chain security management items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ICT supply chain security standards and systems developed as international standards with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U, and explains the necessity of cyber security framework for establishing ICT supply chain security system.

소프트웨어 공급망 관리를 위한 글로벌 솔루션 동향

  • Kim, Kwang-jun;Lee, Man-hee
    • Review of KIISC
    • /
    • v.32 no.5
    • /
    • pp.27-34
    • /
    • 2022
  • 2021년 5월 12일, 미(美) 바이든 행정부는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를 위한 대통령 행정명령 14028을 발표하였다. 이후 연방정부에 납품하는 핵심 소프트웨어에 대해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제출이 의무화됨에 따라, 2021년 하반기부터 소프트웨어 공급망 관리를 위한 다양한 솔루션이 빠르게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활발한 연구 및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 정세와 달리, 국내 산업은 상대적으로 더딘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공급망 및 SBOM 관리를 제공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과 해당 솔루션에 대해 소개한다. 향후 국내 시장도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를 위해 SBOM 관리 의무화가 예상되는바 관련 솔루션의 개발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