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급관리 모델

Search Result 376,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Necessity of the Physical Distribution Cooperation to Enhance Competitive Capabilities of Healthcare SCM -Bigdata Business Model's Viewpoint- (의료 SCM 경쟁역량 강화를 위한 물류공동화 도입 필요성 -빅데이터 비즈니스 모델 관점-)

  • Park, Kwang-O;Jung, Dae-Hyun;Kwon, Sang-Mi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9 no.3
    • /
    • pp.17-3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usiness models for current situational scenarios reflecting customer needs emphasize the need for implementing a logistics cooperation system by analyzing big data to strengthen SCM competitiveness capacities. For healthcare SCM competitiveness needed for the logistics cooperation usage intent, they were divided into product quality, price leadership, hand-over speed, and process flexibility for examination. The wordcloud results that analyzed major considerations to realize work efficiency between medical institutes, words like unexpected situations, information sharing, delivery, real-time, delivery, convenience, etc. were mentioned frequently. It can be analyzed as expressing the need to construct a system that can immediately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on the weekends. Furthermore, in addition to pursuing communication and convenience, the importance of real-time information sharing that can share to the efficiency of inventory management were evident.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aim for a business model that can enhance visibility of the logistics pipeline in real-time using big data analysis on sit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adaptability of a supply chain network for healthcare SCM competitiveness, it was revealed that obtaining competitive capacities is possibl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logistics cooperation. Stronger partnerships such as logistics cooperation will lead to SCM competitive capacities.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SCM competitiveness by searching for a strategic approach among companies in a direction that can promote mutual partnerships among companies using the joint logistics system of medical institutes. In particular, it will be necessary to search for ways to utilize HCSM through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a logistics cooperation system.

Instructor Fostering Program for Farmers' Water Saving Education (농민 물절약 교육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

  • Lee, Seul Gi;Choi, Kyung Sook;Do, Jong Won;Lee, Gwang Y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6-56
    • /
    • 2019
  • 우리나라는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농업가뭄 현상은 매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0년 이후부터 무상으로 공급되고 있는 농업용수에 대해 농민 물이용 손실을 저감하고, 물부족에 대비한 선제적인 가뭄대응의 일환으로 물절약 교육 및 홍보를 통한 농민 물절약의 중요성 인식으로 2015년에 "농업농촌부문 가뭄대응 종합대책"에 농민 절수교육 및 홍보를 통한 물절약 추진 과제가 포함되었다. 농민 물절약 교육을 통한 농민의 가뭄에 대한 경각심과 물절약 실천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농업인의 자발적인 물절약 실천을 통한 효율적 수자원 이용을 도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2016년 농민 물절약교육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2017년에는 물절약 교육 모델의 현장적용을 위한 시범교육이 실시되었다. 또한 "2018년 정부 가뭄종합대책" 중 가뭄대책 실천의 일환으로 물절약 교육 및 홍보실시 확대 추진을 위해 2018년도에는 2016년과 2017년에 실시한 농민 물절약 시범교육을 바탕으로 물절약 교육 모델의 실용화를 위한 농민 물절약 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물절약 교육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농업용수의 물공급 및 관리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 지사단위 유지관리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국적으로 경기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경상 제주권의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상 하반기 교육을 실시하여 총 322명의 교육인력을 양성하였다. 전문인력양성 교육은 물절약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현장적용을 위해 농민 물절약 교육 이수단계별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을 이해하고, 각 단계별 교육을 직접 실습해 보는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교육 이수 후에는 교육생의 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고 기타 교육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생의 대부분이 농민 대상 물절약 교육의 필요성을 매우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절약 교육의 지속적인 실천 및 전국적인 확대를 위해 별도의 예산 및 인력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교육과정을 완료 후에는 수료증을 수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물절약 교육의 현장적용을 위한 물절약 교육 강사용 교재를 배포함으로 본 교육을 이수한 전문인력의 농민 물절약 교육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 PDF

A method in calculation watershed precipitation using long-term probabilistic forecasts for water management (확률장기예보 물관리 활용을 위한 유역강수량 산정 방법 연구)

  • Kang, Noel;Kang, Jaewon;Hwang, Jin;Suh, Ae-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26-526
    • /
    • 2015
  • 우리나라는 국토의 대부분이 산악으로 이루어진 지형학적 특성과 여름철에 비가 집중된다는 기상학적 요인으로 인해 물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 현상으로 돌발성 호우와 가뭄 등의 발생 빈도가 증대되면서 용수공급 관리는 더욱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장기 기상정보는 안정적인 이수기 용수 공급을 위한 댐 수위 운영 및 홍수기 운영 목표 수위 계획 수립 등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최근 기상청은 2014년 6월 이후부터 기존의 장기예보를 확률 예보 방식으로 변경하면서 기온과 강수량에 대하여 평년 대비 높음(많음), 비슷, 낮음(적음)으로 단순 예보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발생가능성에 대해 카테고리 별로 확률(%)을 발표하고 있다.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개정된 새로운 형태의 확률장기예보를 물관리에 정량적으로 적용하여 보다 정확도 높은 중장기 물관리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확률장기예보를 실제 댐 운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과거 자료와 확률장기예보를 조합하여 2014년 6월~2015년 2월의 유역 강수량의 확률 분포를 전망하였다. 대상 지역은 안동댐 유역으로 과거 자료는 최근린법에 기초한 기상청 산하 관측소인 안동, 태백, 봉화, 영주의 1986~2013년의 월 자료를 사용하였고, Thissen법을 근거로 유역 강수량을 계산하였다. 확률장기예보는 안동댐 유역을 포함하는 대구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한 동일한 기간의 예보 자료를 활용하였다. 과거 강수량은 각 월별로 적합도 검정 후 Gamma분포를 채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예보의 카테고리 별 기준값을 산정한 후 장기예보의 확률정보를 조합하여 강수량의 확률 분포를 작성하였다. 이를 2014년 6월~2015년 2월의 실제 강수량과 비교한 결과 2014년 11월과 2015년 1월 경우 가장 큰 확률의 카테고리 강수 범위 안에 실제 강수량이 포함되었으나 나머지 월에서는 실제 값과 카테고리 확률 간에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예보 자료 수의 제한 및 안동댐과 예보 구역의 지역 차에 의한 자료 차이 등이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참고 자료로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확률장기예보 정보를 이용하여 유역 강수량의 확률 분포를 산정함으로서 물관리 부문에서 예보의 정량적 적용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기후 모델 특성과 확률장기예보 산출 기법 등을 보다 심도 깊게 고려하여 정확도 개선에 대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Presumption of Public Apartment's Construction Cost in Housing Land Development Project (택지개발사업의 공공주택건설공사비 추정의 실증적 분석)

  • Kim, Seong-He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2
    • /
    • pp.81-88
    • /
    • 2011
  • Providers haven't recently had a flexible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system to meet various needs of consumers about public housing. So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onstruction cost reasonably in early project stage of public housing and then develop reliable means which is able to support construction cost management and establish a adequate funding investment plan as a provider.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case on 20 public apartment complex which were designed from the first half of 2007 to the first half of 2008. A total construction cost of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machinery, elevator, land scape,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work was used as one sample for increasing explanation and representativeness of the case. In addition, The total construction cost which is devided into design, contract and completion cost was variously analysed for increasing relevance of model and actual utilization. The result of estimation model based on a total construction cost set up completion and design cost showed that error rate is within 2%, which is a excellent result. The estimation model of the construction cost develop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imate approximate construction cost which is adjacent real construction cost in early stage of the project by using some data.

Estimation of irrigation return flow from paddy fields on agricultural watersheds (농업유역의 논 관개 회귀수량 추정)

  • Kim, Ha-Young;Nam, Won-Ho;Mun, Young-Sik;An, Hyun-Uk;Kim, Jonggun;Shin, Yongchul;Do, Jong-Won;Lee, Kwang-Y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
    • /
    • pp.1-10
    • /
    • 2022
  • Irrigation water supplied to the paddy field is consumed in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underground infiltration, and natural and artificial drainage from the paddy field. Irrigation return flow is defined as the excess of irrigation water that is not consumed by evapotranspiration and crop, and which returns to an aquifer by infiltration or drainage. The research on estimating the return flow play an important part in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of agricultural watershed. However, the return flow rate calculations are needs because the result of calculating return flow is different depending on irrigation channel water loss, analysis methods, and lo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irrigation return flow rate of agricultural watershed was estimated using the monitoring and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modeling from 2017 to 2020 for the Heungeop reservoir located in Wonju, Gangwon-do. SWMM modeling was performed by weather data and observation data, water of supply and drainage were estimated as the result of SWMM model analysis. The applicability of the SWMM model was verified using RMSE and R-square values. The result of analysis from 2017 to 2020, the average annual quick return flow rate was 53.1%. Based on these results, the analysis of water circulation characteristics can perform,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Reservoir Operation for Water Quantity and Quality using KModSim (KModSim을 이용한 수량.수질의 저수지 운영계획)

  • Lee, Jin-Hee;Ko, Ick-Hwan;Kang, Shin-Uk;Hwang, Man-Ha;Noh,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93-1697
    • /
    • 2009
  •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의 장단기 저수지 연계운영 및 수질개선 방안 연구에서 개발 중인 범용 하천유역관리 모형인 KModSim은 그 수행속도와 모델 구성의 편이성으로 인해 하천의 수요처와 다수개의 저수지를 포함하는 대단위 유역에 적용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저수지 운영계획에 사용하고 있는 저수지 운영 기준수위를 바탕으로 하천유지용수와 수질개선용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선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량만을 분배하는 물배분 시스템을 바탕으로 방류량에 증가에 따라 수질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수질 개선 용수 수요노드를 추가하였다. 이때 유역내의 저수지의 기준수위와 하천의 하천유지용수 및 용수수요노드의 우선순위의 설정에 따라 deficit supply 방식의 물분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꼭 필요한 유량이 발생 할 때 유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모형을 설정 하였다. 반면 방류량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거의 수질 측정자료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방류량의 증가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모형으로 특정시점에 있어서 특정 수질 매개변수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적정수준 이하의 수질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류량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질 개선을 위한 공급 시나리오는 기존의 용수 우선의 시나리오 분석과 더불어 운영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 저수지 운영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xploration of Direction for Platform Business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service (민간경호경비업의 발전을 위한 플랫폼 비즈니스 적용의 방향성 탐색)

  • Jeong, Kwi Young;Kim, Doo Ha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5 no.6_2
    • /
    • pp.99-10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in applying platform business model to the site to facilitate the growth of a private security guard service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hase of economy, The directions of platform business application to be suggested through the study method are as follows. First, ensuring publicness. It should be able to integrate the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ability to collect and impart information. Second, securing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should be guaranteed in the limit not to abuse or misuse others' information in re-producing and using information on private safe management and public order. Third, ensuring access. Past safety management has been controlled by public order power such as nation, military and police power, but access should be made to be convenient between suppliers and demanders. Fourth, securing profitability. In conclusion, those supplying and consuming private security guard service should be able to get their wanted value and share economic profits.

Effect of tunnel connection on turbid water transport: Discharge side (댐간 연결터널에 의한 탁수거동 해석(II): 방류지역 영향)

  • Park, Dong-Jin;Jung, Kwang-Wook;Jung, In-Gyun;Oh, Da-Young;Kim, B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65-565
    • /
    • 2012
  • 최근 지구환경변화에 의한 이상기후현상으로 수자원을 안정되게 확보하고, 확보된 수자원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수자원 이용효율 극대화의 일환으로 댐간 연결사업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유역이 다른 두 댐을 인위적으로 연결할 경우 그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책들이 필요하며, 특히 홍수기 발생하는 탁수의 댐간 이동문제는 중요한 검토항목 중 하나이다. 댐에 저류된 물은 기후조건(기온, 일사량 등), 유입수의 수질조건(수온, 탁도 등)의 영향으로 밀도분포를 형성하게 되고, 이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수면으로부터 열에너지가 공급되어 댐 저수지 상하부에 큰 수온차가 발생하여, 강한 수온 밀도성층이 형성된다. 이 수온 밀도성층은 여름철 발생하는 홍수의 규모에 따라 파괴 또는 유지되며, 댐내 탁도분포는 다양하게 변화하게 된다. 강한 수온 밀도성층을 파괴하기 힘든 중소규모의 홍수가 유입할 경우에는, 밀도성층 하부로 탁수가 유입하여 장기간 댐내에 채류하게 되며, 이를 선택적으로 취수하여 방류하지 않으면 계절적인 수온변화에 저수지 전역으로 확산되어, 늦 가을 맑은 날 저수지내 물이 탁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홍수규모가 클 경우는 홍수유입과 동시에 수온 성층이 파괴되어 저수지 전체로 탁수가 확산되며, 홍수초기부터 신속하게 방류하지 않으면 홍수 후 맑은 날 탁수가 방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탁수장기화 현상은 댐 유지관리 선진국에서는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댐 연결사업 추진 시에는 홍수사상별 댐 저수지내 탁수거동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특히 취수설비가 댐본체에서 분리되어 댐 저수지내 임의의 지점에 위치 할때는 취수설비 계획지점 전면의 탁수 거동현상을 고려하여 고탁수의 댐간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설비 운영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EFDC의 댐 수리 및 수질예측모형을 이용하여 댐의 탁수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고탁수가 발생하는 유역의 댐에서 취수한 물을 다른 댐으로 공급하게 될 경우, 방류지역의 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분석하였다. 총 6개의 홍수사상('99년 홍수, '02년 루사, '03년 매미, '06년 에위니아, '09년 홍수 등)을 선정하여, 방류지역 댐의 탁수 거동해석을 실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with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인위적·자연적 요인에 따른 제주도 농업용수 과부족 전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의 용수공급 보장량을 기준으로 미래 인위적 자연적 요인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인위적인 요인으로서 작물재배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자연적인 요인으로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였다. 제주도의 유출특성과 지질특성, 물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역 물수지 기반의 순물소모량 개념을 활용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농업용수 보장량(공급량)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수 관리계획(2013-2022)"에서 제시하는 값을 적용하였다. 순물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 및 잠재증발산량 등은 유역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인위적인 변화로서 2020년 작물재배면적 추정치를 적용하여 용수 과부족을 분석한 결과, 구좌읍과 성산읍 2개 지역에서 수요량이 보장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기존의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을 적용했을 때에는 제주시 동지역, 구좌읍, 조천읍, 서귀포시 동지역,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안덕면, 대정읍 등 9개 지역에서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nage) CMIP5(the fifth phas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에서 제시하는 대순환모델 중 9개 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2010~2099년)의 수요량을 산정하고, 앞서 적용한 2020년 재배면적 추정치와 보장량을 기준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 결과를 적용하였다. 인위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구좌읍과 성산읍을 제외하고는 수요량 대비 보장량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은 RCP 8.5 보다는 RCP 4.5 시나리오에서의 보장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개 시나리오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수요량의 증가에 따라 보장률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분석은 재배면적의 변화가 없이 단순히 기상조건의 변화만을 적용한 전망으로서, 향후 실제 기상여건과 재배면적, 물이용, 용수공급체계, 물관리 정책방향 등의 변화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 PDF

A Web Service Development Process with MDA Applied (MDA를 적용한 웹서비스 개발 프로세스)

  • Yun Hong-ran;Park Jae-n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4 s.100
    • /
    • pp.583-588
    • /
    • 2005
  • Being able to resolve huge problems deriving from integration of information systems in-house or business to business, the web service that uses the XML standard technology has recently taken a quick dominance the next generation e-business bases. It's one constant concern how to integrate, change, and maintain such systems as based on certain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changes to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is on the ongoing process of evolution. To help solve those problems, OMG suggested a new software architecture called MDA(Model Driven Architecture). MDA runs a process that establishes a platform independent model(PIM), which is an analysis model used as part of the existing development procedures, and automatically converts it into a platform specific model(PSM), a design model, based on the established PIM. Such automatic conversion has lots of benefits including easy support for diverse platforms, reducing the coding time that usually consume a great deal of the developer's effort, and facilitating quality control in the aspect of development processes. By applying the MDA development process to a new web service development, you can choose web service as the target platform at the PIM of MDA and express PSM with a web service model, WSDL. This study set out to classify the web service development or integration processes by the provider md requester to identify the types of web service development processes, and to apply the MDA development process to web service development, thus suggesting a new kind of web service development process that can be referred to by both the web service provider and reque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