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급관로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Feasibility Study of Multi-regional Transmission Main Stabilization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수돗물 공급 안정화를 위한 광역상수도 관로 안정화 타당성 연구)

  • Lee, Jae Bum;Yi, Choong Sung;Jung, Kwan Su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7 no.3
    • /
    • pp.395-404
    • /
    • 2013
  • The risk of pipe-bursting in multi-regional transmission mains consisting of 89 % of singled pipeline is so high that pipeline stabilization project is required such as renewal and replacement, pipe paralleling, emergency ties. Pipeline stabilization projects could be postponed at the step of initial decision-making because effect of this project is intangible benefit like activation of economic, improvement of welfare related to water. This study is to suggest quantified economical feasibility model for intangible benefit presumption to solve above problem. Cost reduction of emergency water supply, leakage, burst restore and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was altered and applied. As a result of economic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estimated benefit and cost under discount rate 5.5 %, service life 40 years, sufficient economic feasibility analyzed with B/C 2.45, NPV 317,700 million won, IRR 9.09 %.

Approaches for Earthquake-driven Multiple Leakage Detec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지진발생 후 상수관망 다중지점 누수관로 탐지기법의 개발)

  • Choi, Jeongwook;Jeong, Gimoon;Lim, Gabyul;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1-401
    • /
    • 2019
  • 상수관망시스템은 정수처리 된 용수를 수요처에 공급하는 사회기반시설물이며, 주로 지하에 매설되는 시설물의 특성상 관로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확한 발생지점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특히, 지진에 의해 시스템 내 다중지점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장기간 경제적 손실과 사용자의 불편이 예상되므로 신속히 누수지점을 파악한 후, 피해 관로의 적절한 교체 혹은 보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으로 인해 상수관망에 발생한 다중 누수관로의 정확한 탐지를 위해 다양한 누수탐지 기법을 제안하고 모의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가상의 다중 누수 시나리오를 모의한 후, 시스템 내 설치된 수압계와 유량계의 누수발생 전, 후 모니터링 값을 이용하여 1)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Calibration 기법, 2) 수리해석을 통한 누수지점 역추적 기법, 3)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Pattern 학습법 등을 적용하였다. 동일한 다중 누수 시나리오를 각 누수탐지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누수지점 산정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지진재해 발생에 대비하여 상수관망시스템의 지진피해 복구 연구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pplication and Comparison of Genetic Algorithm and Harmony Search Algorithm for Optimal Cost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도 관망 최적설계에 대한 유전 알고리즘과 하모니써치 알고리즘의 적용 및 비교)

  • Hong, Ari;Lee, Ho Min;Choi, Young Hwan;Choi, Ji Ho;Kim, Joo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1-521
    • /
    • 2016
  • 상수도 관망은 수원에서 수요절점까지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수도 관망의 최적설계는 수리학적 제한조건 (절점의 수압, 관로의 유속)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비용을 최소화하는 설계안을 얻는 것으로 Savic and Walters (1997)는 유전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s, Holland 1975)을 적용한 상수도 관망 설계 프로그램인 GANET를 제안하였고, Maier et al. (1996)은 개미군집알고리즘 (Ant Colony Optimization Algorithm, Dorigo et al. 1996)을 상수도 관망 최적설계에 적용한 후 그 결과가 유전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함을 증명하는 등 상수도 관망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유전알고리즘은 선택, 교차, 돌연변이의 반복계산 과정을 통하여 최적해를 찾는 최적화 기법이다. 이 과정에서 결정변수는 유전자 (Gene)의 집합으로 표현되며, 염색체 (Chromosome) 내에서 근접한 유전 인자들은 일종의 Building Block을 형성하게 된다. Building Block은 좋은 해를 갖는 유전 인자를 높은 확률로 보관하여 지역해에 빠질 가능성을 줄이는 반면, 유전형 (Genotype)이 표현형 (Phenotype)을 충분히 모방하여 표현하지 못한 경우 오히려 최적해의 탐색을 방해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유전 알고리즘을 상수도 관망 최적설계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이 한계점은 여실히 드러난다. 관로의 관경을 결정변수로 설정한 후 유전형으로 표현하였을 때, 관망도 상에서 근접하지 않은 두 관로가 염색체 내에서 연속으로 나열된다면 두 관로 간의 연관성이 실제보다 크게 고려되기 때문이다. 한편, 하모니써치 (Harmony Search, Geem et al. 2001) 알고리즘은 즉흥 연주 (Improvisation)를 통해 최상의 화음을 만들어내는 현상으로부터 착안하여 만들어진 최적화기법으로 연산 기법은 무작위선택, 기억회상, 피치조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결정변수에 해당하는 연주자가 독립적으로 행동하며 해를 탐색한다는 점에서 유전알고리즘과 큰 차이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알고리즘의 Building Block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를 개선하고자, 상수도 관망 최적설계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Hanoi 관망 (Fujiwara and Khang 1990) 관로의 정렬 순서를 여러 가지 기준으로 설정하여 관망데이터를 구축한 후 하모니써치와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유전 알고리즘과 달리 하모니써치 알고리즘의 경우, 관로의 나열 순서와 상관없이 우수한 최적해 탐색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수트리 열화된 전력케이블의 성능회복을 위한 신기술

  • 김일권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181 no.9
    • /
    • pp.40-43
    • /
    • 1997
  • 도심지역의 전력공급 신뢰도 향상과 도시환경 개선의 차원에서 확대 시공되고 있는 지중 배전선로는 1973년부터 22kV 비접지 계통에 CV 케이블을 사용하였고 1978년부터 22.9kv 다중접지계통에 CN-CV 케이블을 사용하여 96.3 현재 10,287의 지중배선선로가 직매나 관로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 PDF

Data-based Analysis for Pressure Gauge Optimal Positioning in Water Supply Pipeline (상수관로 압력계 최적 위치선정을 위한 데이터기반 시험분석)

  • Lee, Hohyun;Hong, Sungt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6
    • /
    • pp.834-840
    • /
    • 2021
  • The management and installation methods of pressure gauges in water supply pipeline are not efficiently regulated and their installations are different in each site. In this paper,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s are examined about the pressure gaug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management such as pipeline network and pump operation, water pressure needs to be measured as accurate as possible, by which decision making for optimal pipe network can be achieved. To get the goal, the installation of pressure gauge should be reviewed about where and how to install. In this study, an optimal horizontal distance test is conducted, in which pressure value variation is monito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up and down stream distances and valve flow control, and a optimal vertical position test is also analyzed by installing the pressure gauges vertically from the up(180°) to the bottom (0°) of the pipeline.

Improving the water network management using the GIS (GIS를 이용한 상수도 배수관망 최적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전철민;구자용;고준환;김병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75-279
    • /
    • 2003
  • 2002년 현재 서울시는 99.99%에 이르는 높은 상수도 보급율에 비하여 유수율은 선진국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정수장에서 배수지까지 연결되는 송수관과 배수지에서 각 가정으로 보낼 때 사용되는 배급수관에서의 누수 발생이 주 원인이며, 이는 곧 체계적인 관망 설계 및 운영이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수관로의 누수현상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 노후관로의 교체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노후관망 교체 등 유사시에 안정적인 상수의 공급을 위해 배수지간을 연결하는 대안 관로를 둘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관망의 경로를 적절하게 설계해야 하는 것도 주요한 상수 공급 문제 중의 하나이다. 2000년 서울시 수도 정비 기본 계획의 관망 정비계획에 따르면 배수관리를 원활하게 하고 누수를 효율적으로 탐지·방지하기 위한 가장 이상적인 관망구성은 배수지 중심의 블록 시스템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노후관망을 관리하고, 대안 관망경로를 구축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지를 중심으로 한 블록 단위기반의 관망 노후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과 함께, 유사시를 대비한 최단/최적의 대안 경로를 산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를 서울 일부지역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점검하였다. 상수도 관망의 설치 계획은 상수도 시설의 규모의 확장과 시설계량에 있어 대규모의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설투자에 있어 정확한 예측과 분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예측과 분석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상수도 배수 블록 노후도 관리 시스템과 최단/최적 연결 경로 산출 시스템을 구현해 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수도의 관망 노후도의 분석을 화면상에서 다양한 요소별로 하게 함으로써 넓은 공간에서의 관망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해준다. 2. 또한 이와 함께 대안 관망들을 사용자가 직접 대화식으로 빠르게 설계하고 이들의 경로와 공사비용 등을 산출해 봄으로써, 후보 최적 경로들을 공간적, 정량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용이하다.

  • PDF

Leakage Detect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Adaptive Kalman Filter (적응 칼만필터를 이용한 상수관망의 누수감시 기법)

  • Kim, Seong-Won;Choi, Doo Yong;Bae, Cheol-Ho;Kim, Ju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10
    • /
    • pp.969-976
    • /
    • 2013
  • Leakage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causes social and economic losses by direct water loss into the ground, and additional energy demand for water supply. This research suggests a leak detection model of using adaptive Kalman filtering on real-time data of pipe flow. The proposed model takes into account hourly and daily variations of water demand. In addition, the model's prediction accuracy is improved by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covariance of noise through innovation sequence. The adaptive Kalman filtering shows more accurate result than the existing Kalman method for virtual sine flow data. Then, the model is applied to data from two real district metered area in JE cit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operating water supply system through detecting burst leakage and abnormal water usage.

A research on the design parameters for a double-transmission main system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이중송수관로를 이용한 안정적인 송수를 위한 설계인자에 관한 연구)

  • Hyun, Inhwan;Hong, Juneui;Kim, Doo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7 no.1
    • /
    • pp.129-138
    • /
    • 2013
  • Water interruption is often caused by a rupture in the branch-like singular pipeline. This will cause critical complaints from household and may decrease public service quality. As an alternative of singular pipeline, additional parallel pipeline could be installed for sustainable water supply. This system is called double pipeline system and able to be utilized for water transmission line between treatment plant and distribution reservoir. Construction of double pipeline was thought to increase capital cost, which can be an issue to waterworks authorities. Reducing capital cost was possible by means of installing connectors between two parallel pipelines because of reduced diameter of each pipe. To obtain optimal design condition for connectors, it was necessary to compar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accident location, to investigate flow according to connection pipe spacing, connection pipe diameter, and aging of pipe. Reliable and economical connection layout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st estimation for each design condition was carried out. Cost was approximately reduced by 20 ~ 30 % compared to the double pipeline without connections. In addition to this, connection between double pipelines could expect extra benefits for maintenance since the pipe could be repaired and rehabilitated without interruptio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k Prediction using Pipeline Data (관망자료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누수 예측)

  • Lee, Hohyun;Hong, Sungt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7
    • /
    • pp.963-971
    • /
    • 2022
  • Water pipeline network in local and metropolitan area is buried underground, by which it is hard to know the degree of pipe aging and leakage. In this study, assuming various sensor combinations installed in the water pipeline network, the optimal algorithm was derived by predicting the water flow rate and pressur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linear regression and neuro fuzzy analys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pipe leakage according to the data combination. In the case of leakage detection through water supply pressure prediction, Neuro fuzzy algorithm was superior to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case of leakage detection through water supply flow prediction, flow rate prediction using neuro fuzzy algorithm should be considered first. If flow meter for prediction don't exists, linear regression algorithm should be considered instead for pressure esti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