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 및 민간 교통정보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irection To Propel Efficient National Highway ITS According to Public and Private Traffic Information Sharing (공공 및 민간 교통정보 공유에 따른 효율적인 국도 ITS 추진방향)

  • Yoon, Yo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526-534
    • /
    • 2022
  • In August 2014,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devised an innovative ITS measure in which private and public sectors share roles to maximize investmen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collecting and offering traffic information that had been separately implemented by the state and private sector. The main details of the innovative measure include the following: For communi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rivate sector is used, and the state concentrates on safety-related information collection, such as unexpected situations, including construction, accidents, and deteriorating weather conditions. Consequently, safety-related information is offered in real-time through smartphones and navigation, in addition to electric road signs that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unexpected real-time situations due to installation at specific spots. This study presented a connected traffic information priority coordination plan to improve the accuracy of traffic information offering by analyzing problems of related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a general national highway case stud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national highway ITS implementation, according to actual public-private traffic information sharing.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whether to operate or demolish the information collection equipment by analyzing traffic volume level and availability of related traffic information in the existing ITS operation sections and presented ITS collection equipment installation judgment standards based on the cases concerned.

Service Trend Analysis for Life and Culture rela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생활지리정보의 서비스 동향 분석)

  • Woo, Je-Yoon;Koo, Jee-Hee;Kim, Eui-Myoung;Ahn, Byung-I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77-82
    • /
    • 2002
  • NGIS 2단계사업(2001년${\sim}$2005년)은 국가공간자료기반 확충, 지리정보의 전 국민 유통 및 활용, GIS 산업육성 등의 목표를 가지고 추진되고 있다. 민간부분의 GIS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텐츠의 개발과 생활지리정보의 서비스 방향을 설정하고 법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리정보의 개념을 설정하고 국내외 생활지리정보관련 사이트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민간부분의 생활지리정보서비스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여 생활지리정보 항목을 11개로 분류하였으며, 공공부분에서는 중앙정부(건설교통부)와 지자체의 생활지리정보 현황을 분석하고 민간부분에서는 생활지리정보관련 36개 사이트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국외 사례는 미국, 일본, 영국, 스코틀랜드, 호주의 17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생활지리정보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생활지리정보 서비스분석결과 국내의 경우는 도로/교통, 건강/의료 서비스가 우세한 반면 국외사례에서는 도로/교통뿐만 아니라 문화/관광 서비스가 상당히 많이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지리정보서비스의 방향은 공공부문에서는 기 구축된 업무시스템을 민원을 중심으로 웹서비스를 통해 생활지리정보의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고 민간부분의 생활지리정보는 기술부분과 컨텐츠부분으로 나누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n City: The Case of Ching-ju (중소도시 지능형 교통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충주시를 중심으로 -)

  • Kim Yongbeom;Chung Namho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65-80
    • /
    • 2005
  • 대부분의 국가들이 노선버스의 운영을 공공부문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부에서만 민간이 운영하고 있어 시민들을 위한 공익성만을 추구 할 수는 없는 입장이며 노선의 선정 또한 사업자와 공공이 협의하여 시행할 수밖에 없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버스노선 개편, 공동배차제 등 개선방안을 많은 지자체에서 시행하였지만 시민${\cdot}$업체${\cdot}$공공부문에서의 합의 도출은 지난한 상황이며 실행력이 없는 계획이 되고 있음을 여러 사례에서 볼 수 있다. Internet등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통신을 통한 의사표출이 자유롭고 용이해지면서 일반지자체의 경우에 전체 민원 중 교통부문이 차지하는 민원이 $50\%$를 상회하고 있으며, 교통민원 중 $45.3\%$가 노선버스의 정시성 확보 및 운전기사의 불친절, 무정차 통과 등에 관한 것으로써 시민들이 가장 알고싶어 하는 사항이 버스의 실시간 운행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버스정보제공을 통해 노선버스 이용자들의 대기시간 감소 및 이용편의를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승용차 이용자를 대중교통수단으로 유도하여 대중교통을 활성화시키는 버스정보시스템(BIS ; Bus Information System)을 정립하며, 충주시 교통여건을 감안한 버스정보시스템 도입전략을 수립하고,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여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 특히 충주시의 지능형 교통정보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ng National ITS Standardization for Advanc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통합교통정보체계 추진을 위한 표준안 활용방안 연구)

  • Cho Young-Sung;Lee Sang-Keon;Moon Young-Jun;Jung Hee-W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 no.1 s.2
    • /
    • pp.15-24
    • /
    • 2003
  • While public institutions and privite coperations have constructed the data collecting infrastructure and commercialized it to service traffic information, inaccuracy with information, insufficiency with the public sector, overapping investment and the rest are arising from the differences of data treatment, offering method, communication protocal and the like. For these reasons, we need standardization it as a national enterpris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unity management and joint method of traffic information based on the present position of system construction and national ITS standardization. At first, we presented the relation between data elements and message sets and then analyzed how message sets have been used to message sets to share traffic information so far in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perations like Korea freeway cooperation-ITS model city-Cheonan-Nonsan expresswa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expressway-Korea freeway cooperation and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message sets, it had disclosed that data transmission is impossible or a system is unchangeable because data form and each items to transmission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its own address and link IDS were not determined yet. Also it showed these message sets did not abidy by The Draft of National ITS Standards. First of all, we proposed data basic form and elements which were form by items used in each center in common and the elements to manage traffic information suggested by Standard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es.

  • PDF

Assessment of CVO Implementations in Korea (첨단화물운송시스템 적용효과 분석)

  • 박민영;권오경;안승범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506-506
    • /
    • 1998
  •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부체계인 첨단화물운송시스템(CVOs: Commercial Vehicle Operations)은 교통혼잡 완화와 물류비 목적으로 종합물류정보전산망 사업에서도 추진되어 왔다. ITS 기본계획에서 정의한 화물 및 화물차량관리시스템과 위험물 차량관리시스템의 세부서비스는 '97년말 종합물류정보전산망 상세설계와 첨단화물운송시스템 기본설계 과정에서 새롭게 정립, 제시되었다. 본 고에서는 첨단화물운송시스템의 서비스와 소요기술 개발현황을 기존의 지능형 교통시스템과 종합물류정보망의 추진계획, 업계의 관련자료를 바탕으로 비교적 상세하게 검토하고, 현재까지 공공과 민간에서 개발, 적용되고 있는 시범서비스 차원의 첨단화물운송시스템의 소요기술 적용사례와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고에서 첨단화물운송시스템의 적용사례로서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현재 구축 운영중인 컨테이너터미널 전자문서교환(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및 GATE 자동화시스템과 '97년 7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 현대물류 택배종합전산시스템(HYDEX)의 정보서비스와 관련한 요소기술과 함께 그 효과를 살펴보고, '96년 12월부터 시범서비스를 제공중인 한국통신의 화물운송정보시스템의 적용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raffic Research Retrieval Method using Large Capacity Analysis System (대용량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 연구 검색 방법론에 관한 연구)

  • Bae, Jin-Ah;Yo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577-580
    • /
    • 2018
  • 지난 몇 년간 우리는 소셜 검색에 몰두하여 연관검색 및 소비자의 만족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분석이라는 흐름에 맞춰 기업 및 기관별 본연의 정보를 통합하여 효율적인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을 대거 도입하고 있다. 또한 기업 및 기관에서 가지고 있는 정보는 기존 비정형 데이터로 방대하여 기존의 방법이나 도구로 수집 및 저장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등에서는 키워드 중심의 다양한 검색엔진을 개발하거나 도입하고 있으며, 정보 분류의 확대, 메타데이터의 활용, 태그정보의 제공, 개인 맞춤형 서비스 등 고객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의 교통 연구와 관련한 일련의 작업 중 행정문서, 연구정보, 유관기관 게시물 등의 통합 빅데이터를 가지고 검색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 사전 및 동의어 사전을 통한 검색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검색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The vehicle awareness technology by using complex sensors (복합 센서를 이용한 차량 인식기술)

  • Lee, Chun-Gyeong;Song, Sung-Keun;Kang, Byung-Kil;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341-343
    • /
    • 2010
  • 현재 사용되는 차량 검지기는 크게 두 가지 검지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 종류는 루프 검지기와 영상 검지기인데 지금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은 설치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검지기로부터 수집된 교통량, 속도 등의 실시간 교통 자료는 가공과정을 거친 후 반복/비 반복 정체관리, 돌발 상황관리, 경로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으나, 이들 용도 이외에 더욱더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예를 들면, 교통정책 평가, 교통사업 평가, 교통안전 증진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어야 하겠다. 따라서 현재 이용되는 차량 검지기 시스템의 확대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루프 검지기와 영상 검지기는 복잡한 공사를 수반하며, 가격 또한 높고 USN 기반의 인식 기술에 비해 경제성과 경쟁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다양한 공공/민간 교통서비스 및 u-City의 응용 서비스 기술에 필요한 USN 기반의 차량 식별/인식/속도 검지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Enhancing VMS Services by FM Car Radio (차량 내 FM라디오를 이용한 VMS서비스 개선 연구)

  • Park, Bum-Jin;Moon, Byeong-Sup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9 no.6
    • /
    • pp.22-32
    • /
    • 2010
  • Increasingly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T) has changed the operator so as to create more diversified and advanced traffic information demand. To deal with the changing demand in private sector, a concept of on-demand traffic information has been rapidly introduced. However VMS, a product of the first generation of ITS, which was designed to provide the unspecified individuals during driving the car with the basic level of traffic information by the public failed to actively change itself in such a changing pattern.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scribe the VMS system (tentatively, FM-VMS) which was further developed to accommodate the needs favoring the sophisticated PDA with the public role of providing the unspecified individuals with the equal information. FM-VMS introduced in this study is the device designed to transmit the voice and message to the drivers through the radio information device mounted on a car. A core technology is, unlike FM-DARC and RDS, the Water Making technology which directly inserts the digital signal into FM frequency in use. It's been currently used for broadcasting and security purpose. A detection rate as a result of testing FM-VMS system using Water Making technology was 90% or more in voice and message within 20m from test VMS. When a public-developed VMS information could be transmitted using FM frequency to the relatively vulnerable users (vulnerable to traffic information) in voice on a real-time basis to provide the regional traffic information, and furthermore, VMS message could be received through radio liquid using FM frequency only, it would obviously bring about the innovation in ITS as well as pave the way for creating the new added value down the road.

Integration Application of Node-Link Data Using Open LR Method (Open LR 기법을 이용한 노드-링크 데이터의 통합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Kwon, Tae Ho;Choi, Yun-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5 no.5
    • /
    • pp.78-87
    • /
    • 2021
  • This paper analyzes the range and attributes of th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between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joint application of node-link information for each company and the possibility of joint use of private traffic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condition and attributes of domestic and foreign traffic information node-links (link length, node ID number, U-turn information, lane information, left turn information, right turn information, etc.) were analyzed. The analysis targets, the node-link of the national standard node and the two companies were analyzed. The area of the experiment was selected in Jongno-gu, Seoul, where standard-link information is complex, traffic volume is high, and various standard-links exi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ffic information attributes of three types of node-links and performing node-links overlapping matching (utilizing encoding_decoding method), and the possibility of matching node-links and attribut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was analyzed using Open LR technique.

Preliminary Study for Constructing Housing Demand and Supply Mapping Model (주택수급지도 구축 기초연구)

  • Choi, Jun-Young;Kim, Yeon-Sik;Yu, Chang-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28-235
    • /
    • 2008
  • 새정부 들어 주택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책을 내놓고 있으나, 주택 수요 공급과 관련된 통계 및 정보의 종합적 관리 체계 미흡으로 주택수급상황을 파악하여 주택수급에 대처하는 주택하위 시장별 대응정보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수급상황을 분석 및 제공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주택 수요"가 있는 곳에 "주택을 공급"하는 정책지원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행정생활권, 광역교통망, 주택사업위치, 공공 민간 사업지구 등의 GIS정보 기반에 주택 수요 공급 통계 및 정보를 분석하여 정책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를 하는 정보체계인 주택수급지도(Housing Demand and Supply Mapping Model)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는 주택수급에 필요한 수요현황 및 예측 등 "주택수요정보"에 기초하여 주택건설, 공급, 재고 등의 "주택공급정보"를 분석하여 주택수급지도에 대한 기본설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향후 주택수급지도를 활용하여 주택수급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주택수요를 고려한 수요자별 맞춤형 주택공급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지역별, 주택 규모별, 주택유형별, 인구계층별 주택수급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