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 도서관 서비스 지침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 서비스 지침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of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ervice to Deaf People in Korea)

  • 조혜전;정연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2호
    • /
    • pp.223-244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청각장애인에게 적절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청각장애인 서비스 지침의 개선 요소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내외 지침 및 매뉴얼 사례분석, 국내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국내외 사례조사 및 설문조사를 토대로 도출한 구성요소를 필수 요소와 권고 요소로 나누어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에서 개발한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2009)"의 개선 요소를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에서 청각장애인 서비스 지침이 개선되어 제시되면 사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청각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서비스에 관한 연구: 미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for Young Adults: Di the Cases of U.S. Public Libraries)

  • 박온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33
    • /
    • 2005
  • 근래에 와서 성인과 아동에 비해 공공도서관서비스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청소년 이용자 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아동에서부터 성인으로 성장해 가는 발달과정에 있는 청소년들을 위하여 청소년들의 독특한 정보요구에 맞추어 서비스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요구조사가 실시되고 사회적으로 심각한 청소년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도서관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서관계에서는 청소년서비스에 필요한 지침, 권고사항, 매뉴얼 등 기본사항을 제시하여 청소년서비스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국내 공공도서관에서도 청소년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체계적으로 청소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미 도서관계에서 제시한 청소년서비스에 관한 기본사항을 소개하고 있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운영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중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Multi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 A focus on the Case of Incheon Jungang Library -)

  • 이미정;이미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95-32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에서 지역 공공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다문화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제기구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지침과 선언들을 기반으로 다문화서비스 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다문화서비스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지역공공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개선 방안을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인식 변화, 전문 인력 양성, 문화 간 이해 프로그램, 정보 접근성 등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인터넷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정보이용능력 지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The Need for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Public Library Internet Service Users)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4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미국 공공도서관의 인터넷서비스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수준 및 현황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에서의 인터넷서비스가 어느 단계에 이르고 있는지를 검토하였으며 인터넷 정보이용능력 지도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미국 중서부에 위치한 4개 공공도서관의 인터넷서비스 이용자를 설문 조사하여 수집된 386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경험이 적은 인터넷 초보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인터넷을 다년간 사용한 중급이나 고급 수준의 이용자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사용 강좌를 택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인터넷 사용 강좌를 한번도 택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공공도서관의 인터넷서비스 이용자를 위한 정보 이용능력 지도의 개발을 위한 방향과 지침이 제시되었다.

  • PDF

장애인에 대한 공공 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olicies of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전재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57-173
    • /
    • 2002
  •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접근의 평등권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특히 정보소외계층인 장애인의 삶의 질과 문화적 향수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도서관도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서 예외일 수는 없으며, 장애인에 대한 도서관의 서비스는 그 지역사회의 공공 서비스에서 핵심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의 표준화 정책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참고하여야할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공공 도서관의 노인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olicies far Public Library Services to Older Person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01-123
    • /
    • 2002
  • UN이 1999년 세계 노인의 해를 선포한 이래로 노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모든 세대가 동참할 수 있는 정보화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세대간의 정보격차가 해소되어 누구나 평등하게 자신이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의 정보격차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노령화 사회에 진입함으로써 노인에 대한 도서관 서비스는 점점 더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소외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제는 노인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도서관 서비스 정책을 개발하여 이들에 대한 서비스가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시점에 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과 관련된 국내외의 정책이나 지침을 조사 분석하여, 공공도서관의 노인 서비스 정책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초안을 제시한다.

  • PDF

공공어린이도서관 운영현황 및 활성화방안 연구 (A Study to Facilitate Public Children's Library Operations and Services)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9-215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어린이도서관' 운영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어린이서비스 실태 그리고 현재 공공어린이도서관 서비스의 한계점 및 어린이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있는 공공어린이도서관을 방문하여 도서관장 및 사서와의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면담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면담도구는 도서관 운영방법, 도서관의 비전, 어린이 사서의 자격 및 역할, 어린이서비스 실태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공공어린이도서관은 기본적인 운영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운영기관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운영 실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어린이사서의 전문성 강화와 어린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의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Staffing Standards for Public Library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95
    • /
    • 2011
  •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공과 실패는 인적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달려 있다. 그것은 공공도서관의 직원이 운영과 서비스 제공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에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지역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우수한 직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국제기구, 주요 선진국, 한국의 공공도서관 직원기준과 지침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연구결과로 도출된 시사점은 후속연구인 최적 배치기준 제시의 중요한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서비스 전략 연구 (Strategies for the Services for Immigrant Population in Public Libraries)

  • 이연옥;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57-384
    • /
    • 2013
  • "The IFLA Multicultural Library Manifesto"에서는 도서관은 이주민을 포함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차별 없이 서비스해야 하며, 적합한 언어와 문자로 된 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모든 지역사회 구성원 분포와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자료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현재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이행되고 있어 공공도서관에서는 IFLA의 지침을 실천해야 하는 것이 현실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고민하는 의도에서 이 연구에서는 캐나다 리치몬드시 공공도서관의 이주민을 위한 서비스 경험을 살펴보고 서비스에서 드러나는 주요한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토대로 부산시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여 이주민서비스의 현황을 점검하며 서비스 개발을 위한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 조용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67-186
    • /
    • 2007
  • 정보격차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장애인, 노인, 이주민, 농어촌 거주자, 도시 저소득층 등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국내 공공도서관들이 어떠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58개 공공도서관을 표본으로 하여 홈페이지 게시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해소 활동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상당히 빈약하였으며 국외 정보취약 계층 서비스 관련 지침 등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향후 공공도서관들이 정보취약계층의 정보복지 실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사서들의 인식 개선과 특별한 유형의 자료와 정보접근기기의 효율적 구입 방안 등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