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펀드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Growth Engine Fund Management Ways by PEF Vehicle (사모투자펀드 기구를 이용한 신성장동력투자펀드 운용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 Chung, Ki-Yun;Lee, Cheol-Gyu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3 no.3
    • /
    • pp.538-557
    • /
    • 2010
  • Korean Government has supplied small-medium enterprises with various technology financing programs such as R&D grant." loans, equities, guarantees since 198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nder policy suggestions for policy makers by analysing problems with regard to regulation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such as the following. First, the current three months of the fund formation period should be extended within six months for general partners to have enough time to raise funds in the current tough capital market situation. Second, the government's non priority loss devotion system should keep going to prevent general partner's moral hazard. Third, in order to fulfill the policy purpose that is to create globally well-known companies, the government investment ratio should scale up from the current 20% to 30% of the total fund size in that the stable capital supply for co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of companies is achieved. Finally, general partners of the New Growth Engine Fund should showoff their investment abilities to the potential investors such as institutional investors by accumulating all track records and know-hows that prove their specialities and implementing action plans to achieve the best result of their investment. This study provides general considerations of the selection procedure, the government investment ratio, the government priority loss devotion system and so on when formating the public funds.

  • PDF

비축용 임대 50만 가구 공공 부문 역할 강화, 민간 부문 위축

  • Korea Housing Association
    • 주택과사람들
    • /
    • s.202
    • /
    • pp.100-101
    • /
    • 2007
  • 정부가 '주택 시장 안정과 주거 복지 향상을 위한 공공 부문 역할 강화 방안'으로 마련된 '1.31 대책'을 발표했다. 투기 억제와 공급 확대, 거리의 투명성 등 정부 정책의 기존 발표 연장에서 임대 주택 재고 20% 확충을 위해 임대 주택 펀드를 위한 비축형 장기 임대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것이 그 핵심 내용이다.

  • PDF

Esco 혁신방안 수립

  • O, Hye-Eu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48
    • /
    • pp.12-15
    • /
    • 2007
  • 산자부는 ESCO의 활성화를 위해 ESCO사업에 탄소펀드를 적극 활용하고 정책자금의 세분.조정, 체계적 기술인력 양성, 공공기관.군부대의 ESCO활성화, 국내 ESCO들의 동남아 CDM 시장 진출 추진 등의 내용을 담은 'ESCO 혁신방안'을 지난 9월 5일, 간담회를 통해 논의 후 최종 확정했다. 또, 내년부터 민간자금 조달이 용이한 대기업에 대해 지원 비율을 낮추고 금융 환경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현재 지원비율을 유지한다. 신고유가, 기후변화협약, 에너지진단 의무화 등 환경 변화로 인해 ESCO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커지고 있는 지금, 이번 'ESCO 혁신방안 수립'이 ESCO 시장에 새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까?

  • PDF

한국의 사회적금융지원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Kim, Yeong-Guk;Bang, Jun-W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27-31
    • /
    • 2019
  • 정부는 2018.2.8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통해 국무조정실,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을 최종 확정하였다. 한국의 사회적금융은 보조 기부행위가 아닌 투자 융자 보증 등 회수를 전제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기업에게 다양한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활동 전반을 말한다. 현재 민간의 자발적인 금융지원활동도 일부 있으나, 정부 공공재원 중심으로 기존의 서민금융진흥원의 사회적기업 신용대출, 중진공의 정책자금 대출, 신보 지신보 특례보증, 사회적기업 모태펀드 등 중기 서민 정책금융체계내의 사업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사회적금융은 미국과 일본, 영국 등의 선진국에 비하면 이제 태동기로서, 사회적경제기업은 자금 공급부족, 제도 금융권에서의 소외 등 자금조달에 큰 애로를 겪고 있다. 따라서, 공공부문 주도로 자금공급을 확대하고 있으나, 사회적경제기업의 자금수요에는 아직도 크게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특히, 지원방식이 짧은 만기, 대출 보증에 편중되는 등 사회적경제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수요-공급 간 미스매치도 큰 상황과 자금수요자와 투자자를 이어주는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사회적성과 평가 등 시장 인프라도 전반적으로 크게 미비 되어 있어 민간의 참여를 제약하는 것도 그 이유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시회적금융지원제도의 전반적인 현장의 실태를 중심으로 실무적인 측면에서 분석 및 향후과제를 도출하여 관계기관 등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연안여객선 거주구 실내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Jin;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127-129
    • /
    • 2019
  • 전라남도 완도 연안여객선 터미널에서 2018년 10월 연안여객선 현대화편드 1호에 의한 선박 '한일고속페리 실버클라우드호'가 취항식을 가졌다. 국내 여객선 시장은 그간 해외 중고선에만 의존해왔는데 순수 국내 기술로 건조된 여객선이 등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여객선 산업은 기술발전과 디자인 등 그 품질이 향상 될 것이다. 그간 여객선 이용객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영세한 규모의 국내 선사는 비용 부담 때문에 신조를 건조하기 어려워 해외 중고선을 수입하였다. 이로 인해 국내 여객선의 실내 인테리어의 노후화, 인테리어 개조에 따르는 선박 성능의 저하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정부는 2018년 현대화펀드를 통해 노후된 연안여객선을 대체할 새로운 선박의 건조를 지원함으로써 연안여객선은 이제 선사의 사적 소유물을 넘어 공공적 성격이 교통수단이 되었다. 이로써 연안여객선은 이동 편의 향상을 비롯하여 승객에게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디자인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Obstacles and Promotion of Faculty Technology Entrepreneurship (교수 기술창업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Keon Chul;Lee, Chi H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8
    • /
    • pp.81-88
    • /
    • 2019
  •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to promote the technology startups founded by professor, who differs from student or researcher in social status, risk-taking tendency, and motivation. Literatures were reviewed to understand the advantage of faculty's tech start-up, foreign cases, and related researches. In addition, key stakeholders were interviewed. The study shows that domestic faculty entrepreneurship is currently in infant stage while facing obstacles in institutional, financial and practical aspects. In order to promote faculty entrepreneurship, the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y and professor set up the benefit sharing structure in advance, that the public sector establishes a holding company or investment fund dedicated to support a faculty startup, that proactive effort be made to attract passive professors to the startup world, and that private companies join faculty startups in the process of concept proofing and product commercializa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government, university, and industry with practical implication in promoting faculty startup.

Entry strategy for global water market (해외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제언)

  • Lee, Byoung Chul;Kim, Sh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5-115
    • /
    • 2015
  • 국내 물관련 건설 및 설비 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및 인터뷰 결과 국내 물 관련 기업들의 해외진출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해외경험 직원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해외사업 확대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고급기술자와 관리 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며, 특히 건설사업관리(CM, PM)나 설계/엔지니어링을 담당할 고급 기술 인력의 양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쟁력있는 글로벌 기술 관리 인력의 양성은 정부의 주도하에 기존의 물 관련 기관의 교육프로그램 통합 운영 및 내실있는 전문 수자원 대학원 운영 등 장기적인 정책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또한 현재 해외 물시장 정보 수집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토교통부, K-water, 해외건설협회 등이 연계한 물 산업 전담 정보시스템 구축과 중점 수출대상국 선정 후 대상국에 해외지부 운영 등이 필요할 것이다. 금융지원과 관련하여 해외건설 금융지원 강화를 위한 글로벌 인프라펀드 조성, 해외건설 보증한도 확대 등이 필요하며, 'EDCF 등 공적금융의 물산업 지원 확대 등 재정지원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 역시 중요하다. 해외 물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국내 물기업들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공공 민간 협의체의 설립 및 운영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물 산업은 높은 공공성과 함께토탈 솔루션 역량이 중시되고 있으며, 이런 시장환경에 부응하여 네덜란드, 독일 등 물산업 수출 강국은 자국의 물관련 분야를 결집하는 워터 파트너십을 설립하여 국제사회에서 위상과 세계시장 점유율을 동시에 높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국가 워터파트너십의 공통적인 설립 목적은 궁극적으로 자국 물 관련 산업, 국가 브랜드 및 이니셔티브와 관련되는 국제협력, 정책 분야 등의 결집이다. 다시 말해서 정부가 주축이 되어 관 산 학 연 기관간의 정보제공, 협력 등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 네트워크의 구심점 역할 및 촉진은 자국의 워터파트너십이 맡고 있는 것이다. 해외 물 시장 확대를 도모하고 있는 우리나라도 국가차원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해외 물산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공기업-민간기업 등의 협력을 토대로 한 Korea Water Partnership을 조속히 설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토부, 환경부 등 물 관련 부처는 물론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외교부, 무역협회 등 유관기관의 정보 연계 및 협조 체계 역시 필요하다. 정부부처 차원의 조직은 국제 정치 아젠다(agenda)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경쟁적 우위와 유사기관 간의 정보와 네트워킹의 공유를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Korea Water Partnership에서는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선진 수자원기술 및 경험을 해외에 소개하고, 정부 및 민간 기업들의 물 산업 수출역량을 적극적으로 피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며, 국제사회에서 물 강국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홍보 마케팅 창구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Korea Through the Policy Analysis of AI Start-up Companies in Major Countries (주요국 AI 창업기업 정책 분석을 통한 국내 시사점 연구)

  • Kim, Dong Jin;Lee, Seong Yeob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2
    • /
    • pp.215-235
    • /
    • 2024
  •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key technology that will determine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competition for AI technology and industry promotion policies in major countries is intensifying.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domestic policy making by analyzing the policies of major countries on the start-up of AI companies, which are the basis of the AI industry ecosystem. The top four countries and the EU for the number of new investment attraction companies in the 2023 AI Index announced by the HAI Research Institute at Stanford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The United States enacted the National AI Initiative Act (NAIIA) in 2021. Through this law, The US Government is promoting continued leadership in the United States in AI R&D, developing reliable AI system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building an AI system ecosystem across society, and strengthening DB management and access to AI policies conducted by all federal agencies. In the 14th Five-Year (2021-2025) Plan and 2035 Long-term Goals held in 2021, China has specified AI as the first of the seven strategic high-tech technologies, and is developing policies aimed at becoming the No. 1 AI global powerhouse by 2030. The UK is investing in innovative R&D companies through the 'Future Fund Breakthrough' in 2021, and is expanding related investments by preparing national strategies to leap forward as AI leaders, such as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national AI strategy in 2022. Israel is supporting technology investment in start-up companies centered on the Innovation Agency, and the Innovation Agency is leading mid- to long-term investments of 2 to 15 years and regulatory reforms for new technologies. The EU is strengthening its digital innovation hub network and creating the InvestEU (European Strategic Investment Fund) and AI investment fund to support the use of AI by SM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nalyzing the policies of major foreign countries in making AI company start-up policies and providing a basis for Korea's strategy searc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e limitations of the countries to be analyzed and the failure to attemp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cy environments of the countries under the same conditions.

  • PDF

Investment Priorities and Weight Differences of Impact Investors (임팩트 투자자의 투자 우선순위와 비중 차이에 관한 연구)

  • Yoo, Sung Ho;Hwangbo, 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3
    • /
    • pp.17-32
    • /
    • 2023
  •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social ventures that aim to grow while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commercial organizations in the market has increased, while there is a limit to how much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can do to solve social problem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number of social venture startups is increasing in the domestic startup ecosystem, and interest in impact investors, which are investors in social venture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research utilized judgment analysis technology to objectively analyze the validity and weight of judg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cognitive process and decision-making environment in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of impact investors. We proceeded with the research by constructing three classifications; first, investment priorities at the initial investment stage for financial benefit and return on investment as an investor, second, the political skills of the entrepreneurs (teams) for the social impact and ripple power, and social venture coexistence and solidarity, third, the social mission of a social venture that meets the purpose of an impact investment fun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of all,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priorities of impact investors are the expertise of the entrepreneur (team), the potential rate of return when the entrepreneur (team) succeeds, and the social mission of the entrepreneur (team). Second, impact investors do not have a uniform understanding of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factors, and the factors that determine investment decisions are different,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the weighting. Third, among the various investment decision-making factors of impact investment, "entrepreneur's (team's) networking ability", "entrepreneur's (team's) social insight", "entrepreneur's (team's) interpersonal influence"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four factors. The practical contribution through this research is to help social ventures understand the investment determinant factors of impact investors in the process of financing, and impact investors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vestment decision-making by referring to the judgment cases and analysis of impact investors. The academic contribution is that it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investment priorities and weighting differences of impact inves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