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정책

Search Result 2,11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Public Library Policies (한국 공공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 Lee, Jae-Who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7 no.1
    • /
    • pp.21-4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bout the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public library policies. The emphasis is on identifying both distinctive features and indigenous limitations in Korean Library Act and National Plans for Library Development.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and weakness of major policy driving forces such as national library policy committee(President's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administrative support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associations. Finally suggested are both strategies and methods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Korean public library policies, with focusing on enhancing public librarians' capacity of policy participation.

A Study on the Universal Service Policy for Public Information (공공정보의 보편적 서비스를 위한 정책 방안 연구)

  • 이재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9.08a
    • /
    • pp.81-84
    • /
    • 1999
  • 정부를 포함한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와 관련된 논의로서 공공정보에 대한 공공(public)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수립이 강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각 국의 정보통신서비스의 정책 기반이 되어온 보편적 서비스(universal service)의 개념은 공공정보를 제공·이용하는데 필요한 논리적 정책 근거로 제안된다. 보편적 서비스란, 기본적인 서비스를 합리적인 요금으로 광범위하게 제공하는 것이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공공의 접근성을 보장해야 하는 공공정보의 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기 때문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Opinion on Social Bigdata and Results after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ies: A Case Study in 'Welfare' Policy (소셜 빅데이터 기반 공공정책 국민의견 수렴과 정책 시행 이후 결과 관계 분석: '복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Kim, Tae-Young;Kim, Yong;Oh, Hyo-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3
    • /
    • pp.17-25
    • /
    • 2017
  • Horizon scanning that one of the methods for future prediction is adaptable way of establishing the policy strategy based on big data.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problems scientifically utilized horizon scanning technique, and contribute to public policy formulation based on scanning analysi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public opinion framework for public policy based on social bigdata, and then confirmed the feasibility this framework by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opinion and results after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y. Consequently, based on the analysis, we also drew implications of policy formulation about 'free childcare for under 5-years of age' as an object of study. The method that collects public opinion is very important to effective policy establishment and make contribution to constructing national response systems for social development.

A Study on the Open Access Policy to Public Funded Research Articles (공공기금으로 작성된 논문의 오픈액세스 정책에 관한 연구)

  • Joung, K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7 no.1
    • /
    • pp.207-227
    • /
    • 2010
  • This paper studied on the open access to public funded research articles in Korea. The 18%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was the output of research that received public fund. The field of engineering science had the most number of public funded articles and the most frequently supported funding agency was the KRF. But most of the public funded articles in Korea has been serviced through the commercial DBs, whereas the small number of articles serviced freely through the Korea Research Memory and NTI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KRF will have to develop the open access policy focus on the engineering science.

개인의 사회적 규범 기속성(羈束性)과 공공정책의 성공 조건

  • Gang, Eun-Suk;Kim, Jong-Seok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3
    • /
    • pp.241-264
    • /
    • 2012
  • 인간에 대한 신고전파 경제학의 가정을 확장할 경우, 인간은 사회적 선호를 가지고 있고 규범을 사용하며 전통과 관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개인의 행위를 명시적으로 고려하여 내면화된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경우에 얻는 심리적 만족감과 따르지 않을 경우 치러야 하는 심리적 비용을 δ 요인이라고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δ 요인이 집단행동의 딜레마상황을 해결하는데 어떤 순기능을 발휘하는지, 낮은 행정비용으로 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는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x03B4; 요인이 정책관련 변수와 상호작용하여 어떻게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지도 들여다 보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가상적) 정책사례들을 살펴본 후 정책이 δ 요인과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정책집행의 성공에 도움이 되는 공통된 조건이 무엇인지를 도출하였다. 사회적 규범을 따르는 개인들의 비율이 클수록, 정책대상이 되는 개인들의 행위에 대한 관측가능성의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규범의 준수가 개인의 이익과 연계될수록, 정책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와 기존 규범과의 충돌이 최소화될수록, 합리적 이기주의자에 대한 통제가 충분히 이루어질수록 δ 요인은 정책과 보완적 관계가 형성되어 정책집행의 성공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tudy on public library policy of Korea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정책에 관한 연구)

  • Lee, Myoung-Ok;Nam, T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8a
    • /
    • pp.125-132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정책을 외국 주요국가의 공공도서관 정책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여 문화의 세기에 문화복지와 국가발전의 요체로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

공공요금(公共料金)과 물가(物價)

  • Park, U-Gyu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3
    • /
    • pp.37-52
    • /
    • 1993
  • 우리나라에서는 70년대 중반 여후 공공요금관리(公共料金管理)가 물가정책의 주요수단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다른 나라의 경험을 살펴보면 물가상승압력(物價上昇壓力)의 근본적인 해소가 전제되지 않는 가격규제정책(價格規制政策)은 유효한 물가대책(物價對策)이 아니라는 것이 보편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고(本稿)의 분석(分析)에 의하면, 공공요금(公共料金)의 변동과 기타물가지수(소비자물가지수에서 공공요금 및 농축수산물지수를 제외한 것)의 변동간에는 장기적으로 같이 움직이는 공적분관계(共積分關係)가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의 인식과는 달리 공공요금의 변동이 기지물가변동(其地物價變動)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기타물가상승(其他物價上昇)이 공공요금상승을 유발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의 공공요금관리정책(公共料金管理政策)이 물가대책으로서의 유효성은 높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의 물가안정(物價安定)은 공공요금 등에 대한 직접적인 가격억제(價格抑制)보다는 경제전체의 물가상승압력(物價上昇壓力)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안정위주의 거시정책기조(巨視政策基調)를 통하여 이뤄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in a New Cold War: An Evaluation of the 2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2023-2027) (대립하는 세계와 한국의 공공외교: 제2차 공공외교 기본계획과 정책공공외교를 중심으로)

  • Euisuok Han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v.3 no.2
    • /
    • pp.53-68
    • /
    • 2023
  • Some observers call current conflic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s a new Cold War.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ld War are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the Cold War. Under this condition,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2nd Basic Plan for Public Diplomacy in 2022. Compared with the 1st Basic Plan, the 2nd plan shows several progress such as expansion of items for knowledge (public) diplomacy and inclusion of global value as a part of public diplomacy for policy. The 2nd plan also emphasizes digital public diplomacy as a tool for enhancing the Korean government's public diplomacy. Despite substantial progress, the plan does not suggest definite and reliable global values as a part of Korean public diplomacy for policy. This study provides several important points to develop Korea's public diplomacy in a new Cold War.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rchitecture & Operation Planning of Public Health Services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도시계획지원을 위한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 정립)

  • Kim, Eunseok;Yong, Insuk;Jeong, Daeun;Goo, Gayeon;You, Cha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30 no.1
    • /
    • pp.47-52
    • /
    • 2024
  • 병원은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기관 별 운영 전략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종합의료시설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이나 입원 등의 의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자 그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상이하다. 이러한 병원의 운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건축 역시, 건립 시기, 유형, 중증도에 따른 병원의 규모 등에 따라 시설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며 이는 최근 정부에서 요구되는 제도 및 정책의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의료법은 기존 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의료시설에 대한 설치 및 운영기준이 강화 추세에 있고, 서울시 또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감염관리시설이나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정책을 추진 중이다. 병원 운영 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종합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적용 기준을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그러나 공익을 위해서 종합의료시설 인센티브제도를 지속 가능하게 운영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은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의료 기능 확충을 위한 서울시 종합의료시설 지구단위계획 수립·운영 기준은 공공과 민간이 모두 만족하는 의료환경 구축을 위해 매우 깊은 고민이 필요했다. 본 논설은 서울시 공공필요의료시설 확충 제도의 주요 내용과 공공필요의료시설 설치 및 운영 기준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기준의 주요 내용을 정립하게 된 배경과 이유 등을 설명하여 본 제도의 의의를 정확히 전달하고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otential Use of ChatGPT in Public Design Policy Decision-Making (공공디자인 정책 결정에 ChatGPT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연구)

  • Son, Dong Joo;Yoon, Myeong Han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13 no.3
    • /
    • pp.172-18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ChatGPT, a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public design. Public design utilizes the principles and approaches of design to address societal issues and aims to improve public services. In order to formulate public design policies and plans, it is essential to base them on extensive data, including the general status of the area, population demographics, infrastructure, resources, safety, existing policies, legal regulations, landscape, spatial conditions, current state of public design, and regional issues. Therefore, public design is a field of design research that encompasses a vast amount of data and language. Considering the rapid advance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significance of public design,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s like ChatGPT can contribute to public design policies. Alongside, we reviewe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public design, its role in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nd examined the overview and features of ChatGPT, including its application cases and preceding research to determine its utilit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The study found that ChatGPT could offer substantial language information during the formulation of public design policies and assist in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ChatGPT proved useful in providing various perspectives and swiftly supply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olicy decisions. Additionally, the trend of uti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vernment policy development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studies. However, the usage of ChatGPT also unveiled ethical, legal, and personal privacy issues. Notably, ethical dilemmas were raised, along with issues related to bias and fairness. To practically apply ChatGP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ublic design policies, first,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capacities of policy developers and public design experts to a certain extent. Second, it is advisable to create a provisional regulation named 'Ordinance on the Use of AI in Policy' to continuously refine the utilization until legal adjustments are made. Currently, implementing these two strategies is deemed necessary. Consequently, employing massive language and information models like ChatGPT in the public design field, which harbors a vast amount of language, holds substantial 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