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의료기관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GIS-based Database for Development of Disease Prediction Model (질병 예측 모델 개발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GIS)기반 데이터베이스 구축)

  • Jang, Wooyeong;Woo, Changwoo;Song, Harim;Shon, Ho Sun;Ryu, Keun Ho;Kim, You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708-711
    • /
    • 2014
  • 국민소득 증가와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다양한 의료소비가 의료서비스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 구조 및 환경변화에 따라 새로운 질병에 대한 대응 또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질병 예측을 위한 연구는 기후변화와 질병, 건강행태와 질병, 사회적 위치와 질병 등 질병에 영향을 주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을 통합, 분석 활용하는 데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있다. '정부3.0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 을 통해 질병에 관련된 자료가 공개 되면서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질병에 영향을 주는 공공데이터를 연도별로 통합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기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활용 할 수 있게 하였다. 향후 기후변화에 민감한 질병을 찾기 위해 해당기관의 자료를 활용하여 월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의 활성화 및 효율성에 기여 할 수 있다.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지방자치시대의 공공보건사업 발전 전략)

  • 박정한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12 no.3
    • /
    • pp.1-22
    • /
    • 2002
  • Health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and a sine qua non for happiness of people and for national development. Government has a responsibility for the provision of health services for their people. Recent changes of disease pattern, i.e. decrease of Infectious diseases and increase of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cance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ogether with universal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and improved living standard have prompted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skyrocketed the national health expenses. The goal of national health policy i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betterment of health level.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care system for lifeti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healthcare delivery system, and to strengthen the public health services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The current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re Inefficient due to an inconsistent policy for health service program, lack of health information system, irrational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and Inadequate training of health workers. Local government has a legal responsibility for health service program planning and promoting the competence of health workers. Thus, municipal and provincial health departments should expand their roles and strengthen their function.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public health service programs at local level are ${\circled}1$ stipulating the goals of health policy, ${\circled}2$ promoting the ability for health program planning and evaluation, ${\circled}3$ establishing health inform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circled}4$ training of health workers, ${\circled}5$ establishing an institution for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nd training of health workers, and ${\circled}61$ collaboration with local universities.

The Status of Home-Based Hospice Care in Korea (국내 가정 호스피스 운영 실태)

  • Park, Chai-Soon;Yoon, Soojin;Jung, Y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6 no.2
    • /
    • pp.98-10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home-based hospice care is provided in Korea. Methods: From July 2011 through August 2011, 29 hospice facilities that provide home-based hospice care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staff members, service programs, difficulties. Results: Among the surveyed, hospice care was hospital-based for 11 (37.9%) facilities, hospital-independent center-based care for four (13.8%) and home-based care only for 10 (34.5%). Near half the participants we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aregivers included nurses for 62.1% of the participants, volunteers 62.0%, pastors 44.8%, social workers 37.9%, coordinators 31.0% and doctors 31.0%. The facilities offered service programs such as family counseling (96.6%), transfer to other facilities (93.1%), psychological support (89.7%), bereavement support (86.2%), dying care (79.3%), clinical care (75.9%) and spiritual support (75.9%). The major obstacles were financial issues (24.1%), lack of trained staff (20.7%) and staff members' lack of awareness of home-based hospice care (13.8%). Conclusion: In Korea, home-based hospice care is provided by an insufficient number of facilities. Moreover, the service provide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trained staff,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 and staff's lack of awareness of home-based hospice ca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home-based hospice care facilities with consideration of even distribution across regions and standard staffing and service programs and develop related insurance policies.

Financial 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efficiency evaluation of Regional Public Hospital (지방의료원의 운영효율성 평가에 따른 재무성과 분석)

  • Lee, Jin-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4
    • /
    • pp.614-62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on their efficienc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ir efficiency usi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market share, operating mode, and size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efficiency, are selected by selecting the input and output factors of the hospitals and som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m. The DEA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31 regional public hospitals were calculated for the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efficienc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city scale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the number of hospital beds, and their business performance, productivity, and publicness. The medical profit margin (p<0.05), labor cost investment efficiency (p<0.05) and HHI (p<0.05) were found to affect the efficiency. In order to identify the inefficiencies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and increase their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the input resources and to reduce their cost. In addition, i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were to provide specialized services, such as specialized functions of medical care that would give them a competitive advantage over private hospitals, their operational efficiency would be enhanced and they would be able to fulfill their role as public medical institutions.

성인병 뉴스 제317호

  • The Korea Association of Chronic Disease
    • The Korean Chronic Disease News
    • /
    • no.317
    • /
    • pp.1-18
    • /
    • 2007
  • 경북 고령군 보건소 안순기 소장/“만성질환관리 건강투자 전략의 핵심”/‘보호자 없는 병원’시범사업/치매?뇌혈관질환?파킨슨병 등/“만성질환관리는 미래의료의 핵심”/한방보건 최우수기관‘익산보건소’/공공보건 EHR선진화 1577억 투입/전국비만학회연합회 비만 가이드라인 제시/맞춤의학 실현 KARE 프로젝트 착수/“신약개발.보건의료 연구투자 협력”/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 12조원 돌파/식욕억제제 관리 위반 의원?약국 적발/“well-dying”...사랑의 공동체 실현/가정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신장내과 외래환자 58.4%가 40~60대/“천식 등 호흡기질환 예방관리 총력”/WHO 국제암연, 학술위원에 방영주 교수/30대 이상 70% 남성‘성관계’실패 경험/부실한 인적 자본, 미래 위한 건강투자 시급/2005년 시도별 생명표 및 사망원인통계 결과/유럽 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 PDF

NET WORK-정책기관

  • Korea Packaging Association INC.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158
    • /
    • pp.149-159
    • /
    • 2006
  • 서울시농수산물공사 햇마늘 포장화 적극 추진/ 부산광역시 부산국제수산무역엑스포/ 경상북도청 지역중소기업 산업디자인 지원 실시/ 천안시 특산물 포장 새 디자인 개발/ 광주광역시청 디자인기업 입주 밀물/ 환경부 공공기관 1회용 종이컵 사용 줄여/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 중 알루미늄 관리(대책마련추진)/ 식품의약품안전청 유기농화장품 표시 · 단속실시/ 식품의약품안전청 국제우수안전식품전시회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소량포장 규정』입안 예고/ 식품의약품안전청 카페인 · 糖등 함유표시 의무화/ 식품의약품안전청 부실 의료기기 시험 기관 경고/ 식품의약품안전청 소비자 맞춤형 HACCP 제도 전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국가표준(KS)제정방식 대폭 개편/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RFID산업화 국가표준 대폭 확충/ 특허청 제1회 대학생디자인공모전 개최/

  • PDF

A Study on Current State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on General Hospital Websites in Korea (국내 종합병원의 웹 접근성 실태에 관한 연구)

  • Kim, Yong-Seob;Oh, Kun-Seok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1 no.3
    • /
    • pp.87-103
    • /
    • 2010
  • In the study, we introduce the trend in domestic and foreign web accessibility, as well as the legal system that ensures web accessibility. Based on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KWCAG)1.0, we investigated the web content accessibility of 80 tertiary health-care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in Korea. We evaluated accessibility by combining accessibility-based criteria (ABC) with usability-based criteria (UBC). ABC was limited to an alternative text for Guideline 1, using a small number of frames and keyboard accessibility for Guideline 2. UBC checked the voice service (TTS), resizing text, providing multi-lingual websites, and disclosing web accessibility policy. KADO-WAH2.0 was used for representing the compliance rate. The evaluation result was a considerable improvement from previous results, even though the rate of compliance with web accessibility was generally insuffici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medical centers which did and did not comply with web accessibility. Incidentally, many hospitals were found to have attempted to confront and come to terms with web accessibility. In future, the following factors are advisable for medical centers with publicity or public interest: they must employ active and aggressive promotion of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accessibility guidelines to secure web accessibility, they should effect an improvement of the realization of web accessibility, there can be constant education and promotion, and there can be an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s well as others.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Public Hospital Nurses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조직몰입,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 Kyung;Kim, Geun Myun;Kim, Eun Joo
    •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 /
    • v.26 no.2
    • /
    • pp.145-15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analyze organizational commitment,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n patient safety in public hospital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0 nurses in 6 public hospitals within the Gyeonggi region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patient safety training program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patient safety training program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total work experience.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activities, frequency of patient safety training, and patient safety culture awareness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0.1%.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public hospitals, systematic patient safety training policies are required. In addition, diverse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usan (부산시 응급의료서비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 Nam, Kwang-Woo;Kim, Jeong-G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1
    • /
    • pp.113-123
    • /
    • 2007
  • This stud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ire stations an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the main providers of emergency medical care, in Busan. The area over which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were situated in relation to the dispatch and transport of urgent rescue services was examined. Addresses of patients requiring 119 emergency services were obtained and stored as individual units so that they could be analyzed i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he time taken by emergency services to reach patients and transport them to a hospital or other facility was measured in seconds. By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the 119 dispatch centers, jurisdictions, an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the GIS allowed for analyses not only of the temporal but also the spatial aspect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of 16 Gu/Gun and 226 Eup/Myen/Dong in the Busan area, only 41% of Busan's emergency medical services could respond to and transport patients within five minutes. In all districts, most emergency medical services were provided within five to ten minutes. However, the pattern of hospital use to transfer patients to hospitals was inefficient. Based on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fire stations and emergency medical agencies, and on their dispatch and transport times, this study sets out and compares ideal dispatch and transportation patterns for the efficient use of Busan's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resour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