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시설 훼손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Man-Introduced Hazard for Nuclear Facilities (인위적 재해 인자별 영향 분석)

  • 이영순;이근오;손기상;심택모;이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160-165
    • /
    • 2002
  • 원자력 발전소는 국민생활, 산업활동 및 공공업무 수행과 연결되는 중대한 시설로 주변의 인위적 재해에 의한 영향으로 발전이 중단되거나 설비가 훼손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원전시설 주변에 원전설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ㆍ위험설비가 있을 경우에는 이들 설비가 원전에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인가를 위험 형태별, 빈도별, 크기별로 나누어 평가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원전시설 주변에 인위적 재해 가능성이 있는 인자를 조사하고 이들 인자들은 어떤 위험이 있으며, 그 위험의 세기가 원전시설에 어떤 규모로 피해를 줄 것인가가 정확하게 평가되어야한다.(중략)

  • PD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Forest Damage within the Geum-buk Mountain Range (금북정맥의 산림훼손 특성 분석)

  • Jang, Gab-Sue;Jeon, Seong-Woo;Kim, S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6 no.5
    • /
    • pp.55-63
    • /
    • 2008
  •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damage in the Geum-buk Mountains were analyzed by using satellite images and a field survey for landscape conservation purposes. A survey scope was fixed using DEM, and areas of damage in the mountain range were analyzed via ArcMap v. 9.2 using SPOT 5 images, a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ll damaged areas were reviewed and corrected in a field survey. As a result, 75 roads were found to completely fragment forest patches. Of those roads, 26 have the width under 3m, which means that the fragmentation of the forest by these roads may have a minor effect on forest habitat and its ecosystems, while other roads such as two-lane roads may have broader detrimental influences on the ecosystem. Two thousand eighty-three sections of accounted for a total area of about 5,760.7ha. Orchard areas including chestnut tree plantations were ranked as the largest in the damaged area within the Geum-buk Mountains, followed by public facility areas and grassland areas. This means that man-made land usage has progressed in the area regardless of slope and elevation.

해상용 파노라마 카메라를 이용한 해양관측부이 보호 및 선박사고 예방방안에 관한 연구

  • Gang, Yong-Su;Kim, Dae-Han;Wang, Chi-R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58-260
    • /
    • 2018
  • 해양관측부이는 해상에서 일어나는 기상현상, 해양의 변화 등을 관측하는 중요시설물로 주로 원거리 해상에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해양관측부이는 원거리에서 운영됨에 따라 Vandalism, 선박운항 부주의 등에 의하여 파손, 유실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해양관측부이가 선박 충돌 등으로 인해 손상되면 운영여건 특수성에 의해 복구 및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정위치 이탈 시 2차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관측부이의 보호를 위하여 위성전송 파노라마 카메라 및 항로표지용 AIS 등의 장치를 활용하여 접근하는 선박을 감시하고, 상대 선박에는 위험경보를 인식하여 사고를 예방하며, 불가항력적인 사고 발생 시 운영자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 조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해당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개발한 시스템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 PDF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Use of Urban Farms - A Case Study of the Siji Reg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 (도시텃밭의 분포 및 이용 특성 - 대구광역시 시지지역을 사례로 -)

  • Nam, Tae-Ho;Jung, Tae-Y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6
    • /
    • pp.1-9
    • /
    • 2014
  • Within the urban area, over the past decades unused land and public land such as streams and road sides have given urban residents a space for farming (urban farms). However, because this use is illegal, farming in unused and public lands could cause conflicts between urban farm users and land owners, degrade the quality of the urban landscape and contaminate the environ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way of legalizing these farming practices that have been cultivated in unused urban areas and public lands.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distribution and use of the urban farms that have been scattered around urban areas in many different form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on-the-spot investigation and in-person interviews with farm users and those who were operating weekend farms in the Siji region of Daegu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urban farms were mainly found in green areas that were easily accessible from residential districts and prohibited from development.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nearer to the border of the residential districts the sites of urban farms were, the larger the number of urban farms was. When it comes to the type of land use, although the proportion of urban farms located in farmlands was very high, the proportion of those located on state-owned lands such as roads, railroads and streams was also high, over 1/3 of that of the former sites. Among the users of urban farms, the percentage of users who were farming private-owned land for free was highest and that of state-owned land without permission ranked second. Most people who were farming unused lands or state-owned lands without permission, such as streams, roads, railroads, were the elderly. This shows the potential of farms in urban area as leisure activities spaces for the elderly. Even 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the survey target area was selected in a certain area and the sizes of all urban farms were not measured by surveying apparatus and instruments, it help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use and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the spaces of urban farming, and to rais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egalizing urban farms cultivated illegally in public land.

Analysis of Visitor's 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내장산국립공원의 탐방객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분석)

  • Kim, Dong-Pil;Baek, Jae-B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5 no.4
    • /
    • pp.614-62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park management. For this, satisfaction degree, satisfaction factors and estimated model by satisfaction variables of visitors analyz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In the evaluation of the satisfaction, variables of 'Lack of public facility'. 'Lack of use program', 'Lack of facility to stay' 'Charge of user fee, parking fee' and 'Exorbitant pay' at Naejangsan park office and 'Charge of user fee, parking fee', 'Lack of use program' and 'Lack of facility to stay' at Baekam park office was more unsatisfied than any other variable. Satisfaction factors by Factor Analysis were loaded with 'Facility management' at Naejangsan park office(34.3%) and 'user management' at Baekam park office(45.6%) by the highest contribution degree. In estimated model of satisfac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in order of 'damage of trail', 'Lack of commercial facility', and 'Littering problem' at Naejangsan park office and 'damage of cultural and historic resource', 'Lack of commercial facility', 'Touting' at Baekam park office. So, Naejangsan National Park needed intensive management policy and institutional apparatus for facility management and user education.

A Development of Marine Observation Buoy Monitoring System Using Trail Camera and AtoN AIS (트레일 카메라 및 AIS를 이용한 해양관측부이용 감시시스템의 개발)

  • Gang, Yong-Soo;Wong, Chii-Lok;Hwang, Hun-Gyu;Kang, Seok-Sun;Kim, Hye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6-30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해양관측부이 보호 및 해상 관측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국내외 영상감시 시스템 및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차세대 해상용 통신 네트워크 및 인공위성을 통한 해양 공공시설의 안전감시 시스템이 가져야 할 요구사항과 이에 대한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을 살펴본다. 또한, 선박 인식 및 추적, 나아가 충돌 예측 등을 수행하여, 해상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해양관측부이용 감시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이를 위해 개발하는 시스템은 해양관측부이에 장착되어 저전력으로 동작하며, 해수에 강한 트레일 감시카메라를 개발하여 적용한다. 추가적으로 AIS정보를 활용한 충돌 예방 경고 모듈이 탑재되고, LTE-M 등과 같은 차세대 해상이동통신 및 위성망 M2M 네트워크를 응용한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육상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대형 선박과의 해상사고(선박추돌사고 및 기름유출 등)와 소형선박에 의한 시설물 훼손(Vandalism)의 발생 가능성을 인지할 수 있는 종합적인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고의 예방 및 재난 상황 등을 예측함으로써 중요시설의 안전 및 해양환경 보호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Marine Tourism Destination Indicators Importance which Applies AHP (AHP를 활용한 해양관광지개발지표 중요도 연구)

  • Kim, Hye-Young;An, Hyu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6
    • /
    • pp.763-773
    • /
    • 2009
  • This study is the basic data to design development directions and development standards of resources and facilities for establishing provision-oriented marine tourism development plans, and it aims to help develop provision-oriented marine tourism by drawing planning index and considering its priority necessary for provision-oriented marine tourism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four aspects, specific standards and plans for marine tourism development index, it showed environmental aspect, socio-cultural aspect, management aspect, and economic aspect in order. According to the result, the environmental aspect is considered important as the plan to solve problems working as inhibition factors instead of local development, due to local culture and environment disruption. Besides, as the result of iult of iuland priority of 13 items w of iure specific factors and specific plans, durability of resource use, iulroveand envisurrf rdings, receptive culacity, conservesidesand transmissidesnvicultures, and iulroveand ein the quality of life, stability of resource use, quality management of tourist attractions, competency intensificesidesof residents, income increase of residents, PR marketing, role of public sectors, increase in the local industry, and increase in employment were shown in order. Software-oriented plans should be made to preserve overall nature of local areas rather than hardware-oriented plans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aspect that merely considers preventing environment destruction.

  • PDF

A Study on Mixed-use Development Cases Using Closed Quarry Site of Overseas; the UK and Australia (개발종료 채석장 부지를 활용한 해외 복합 개발 사례에 대한 고찰 : 영국과 호주 사례)

  • Cho, Seungyeoun;Yim, Gil-Jae;Lee, Jin Young;Ji, Sangw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5
    • /
    • pp.505-513
    • /
    • 2021
  • Recently, housing prices in metropolitan areas is also increasing in the UK and Australia. Their governments are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the housing development in the quarry sites near cities. The cases reviewed in this study, Erith Hill Quarry (The Quarry), Plymstock Quarry, Lilydale Quarry (Kinley), and Bombo Quarry are the mixed-used development cases in the closed quarry sites through the urban planning system. In the UK, the local government uses the urban planning scheme such as the planning permit system, section 106. The local government permits the quarry site development on the condition that it provides necessary public facilities, such as schools and affordable housing for the local community. In Australia, local governments use up-zoning permission rights to convert land uses in quarries from industrial to mixed-use. Development plans have to include urban infrastructure and open space in addition to affordable housings. In the case of Australia,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in advance and filling the quarry pit with overburden through a phased development is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ject cost. Both countries think that developing brownfields, such as quarry sites, is a more sustainable and eco-friendly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generations than developing new green fields. Such a perspective of the UK and Australia will be able to give policy implications for our slightly rigid urban development system.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overnance for Water-Saving in Agricultural Water (농업용수의 물절약을 위한 거버넌스 구축 연구)

  • Lee, Seul Gi;Choi, Kyung 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5-365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수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일으키며, 그 중에서도 가뭄은 물과 식량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OECD(2015)는 미래의 세계 인구 40%가 2050년까지 물이 부족한 강 유역에서 살 것이라 예측하고 있으며, 물의 다층적 거버넌스를 개발하여 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상향식 의사결정, 통합물관리 체제의 개념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가뭄으로 인한 피해발생이 빈번하고, 그 강도나 범위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2000년부터 한국농어촌공사(출범은 '농업기반공사')가 농업용수를 관리해오고 있으며, 농업용 수리시설의 증축, 관리 등이 공적인 관리쳬계로 변화해오면서 자연스럽게 농업인의 물관리는 배제되었다. 또한, 농업용수는 무상·무제한 공공재라는 인식과 농업인 평균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농업인의 물꼬관리 및 수로 훼손, 무단취수 행위 등에 대한 제제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최근 농식품부의 「2019년 정부가뭄종합대책」에 포함되어 있는 물절약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 내용을 바탕으로 농업용수 관리 및 사용구조를 고려하여 두 개 지역의 농어촌공사(여주이천지사, 경주지사) 주도 하에 거버넌스를 간담회 형식으로 운영하였다. 농업용수 물절약 거번넌스 이해관계자들은 각 지역별 공기업, 공무원, 농업인, 언론인, 학계 전문가 등이 참가하였으며, 거버넌스 운영 2회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이해관계자들은 농업용수 절약을 위한 현재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농어촌공사의 신뢰도 및 중요도가 가장 높고, 높은 중요도에 비하여 농업인 및 지자체 등은 신뢰도가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인이 농업용수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진 간담회 형식의 거버넌스보다 운영효과 및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형태의 거버넌스가 연구되어야한다. 향후 농촌형물 거버넌스 모형이 개발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Policy Direction of River Management based on Public Awareness Survey (시민인식조사 기반의 하천관리 정책 방향)

  • Kim, Ik Jae;Kwak, Hyoeun;Ryu, Mun Hyun;Choi, Hyo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40
    • /
    • 2019
  • 시민인식은 하천관리를 포함한 공공정책 수립에 결정적 요소들 중 하나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하천관리체계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하천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우리나라 물관리 일원화 후 하천의 이용과 관리 및 정책에 대한 시민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향후 하천 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이용, 관리(주체), 정책, 기후변화 등에 대한 시민의 관심도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번 설문 대상은 전국의 남녀 4,500명(10대~60대)이었으며 패널 참여 방식으로 조사되었다. 설문 문항의 구성은 크게 하천 이용, 하천 관리, 그리고 물관리 일원화와 기후변화 등을 포함한 하천정책 등으로 3대 주제로 세부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는 조사대상 시민들의 약 22.9%는 매주 하천을 방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1년간 1번은 하천을 방문(이용)하는 시민들은 85.5%로 나타났다. 자주 방문하는 하천의 규모 혹은 위치는 중(中)하천이 42.2%로 가장 높았고, 대(大)하천은 23.9%, 소(小)하천은 17.5%, 도랑이나 개울은 15.5%로 나타났다. 기타(0.9%)로는 하천 외에도 물을 접할 수 있는 저수지, 인공하천 및 호수공원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천 방문자 중 최소 2시간을 체류하는 시민 중 약 96.4%는 걸어서 하천을 접근하고, 지하철을 이용하여 하천을 접근하는 방문자는 최소 1시간에서 2시간 이상을 체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 시민들은 하천관리 중에서 접근 편의성(28.4%), 친수시설(자전거 도로, 산책로 등) 관리(24.2%), 수질관리(9.9%)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질(27.4%, WQ(water quality))과 냄새 및 쓰레기(25.5%, OW(odor and waste))가 가장 높게 하천관리의 불만족도를 가지고 있었다.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는 WQ (29.6 %), OW (17.7%), 그리고 물부족 (15.1%)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하천의 바람직한 미래상에 대한 관심도는 깨끗한 수질의 하천(36.1%, WQ), 휴식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하천(22.9%), 다양한 동 식물의 생태서식공간(14.6%)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들은 하천관리 기관의 가져야할 역량은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 중 가장 큰 문제로 우선순위 1~3순위 누적 조사 결과, 수질악화(79.9%, WQ), 하천 수생물 훼손(49.6%), 정부부처 간 협력부족(37.6%)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2018년 추진된 물관리 일원화 후 정부의 물관리 및 하천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는 WQ (46.0%), 물공급 관리 (17.6%), 그리고 생태계 복원 (8.4%)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들 중 하나는 현재와 미래 하천에 대한 가장 높은 시민들의 수요는 깨끗한 수질과 생태서식공간이었으며 이는 향후 하천 정책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