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문화시설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31초

일본의 문화시설 현황과 디자인 특징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신축시설을 중심으로 - (Cultural Facility Design in Japan)

  • 김선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26
    • /
    • 2001
  • 일본의 문화시설 건축의 현대화는 메이지 시대 초기 서양건축가와 엔지니어들이 서구 건축을 일본인들에게 교육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공공홀과 공연장 건축의 문화시설에 그 영향이 더욱 현저히 나타나기 시작한다. 메이지 시대 일본의 공공홀 시설은 공공문화시설의 중추적 역할 담당이라는 목표 아래 건축되었음에도 실질적으로는 주로 대중의 모임과 대중집회를 위한 공간 제공이라는 제한된 기능을 수행하는 데 그치고 만다. 그러나 전후 일본 정부가 문화와 예술의 진흥을 위한 문화 시설의 필요성을 자각하면서 일본의 문화시설 건축은 질적인 전환을 맞이하게 된다. 즉 단순한 집객기능을 넘어선, 다양한 문화의 광범위한 공유를 위한 문화공간의 역할의 수행이라는 모토가 문화시설의 디자인에 실질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한 것이다. 즉 디자인 과정에서부터 무대시설, 조명, 및 음향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자문을 거침으로써 공연 공간 및 무대 시설의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건축되어진 문화시설들은 건축 당시 명확한 사용목적과 기능을 부여 받았으며, 이는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문화시설의 명칭에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본 문화시설의 유형과 문화시설에 대한 국가적, 기업적 차원에서의 문화정책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하여 일본 문화시설의 시설 보유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시설에 구현된 건축적 특징(간소화된 의장과 표현 재료, 구조, 그리고 비례의 절제된 사용)을 분석하였으며 일본 현대 문화시설 디자인에 재해석되어 나타난 전통적 모티브의 건축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20
    • /
    • 2015
  • 이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와 지역문화발전의 상의적 수수관계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평가하고 한계를 적시하였다. 이어 공공도서관과 밀접한 지역문화를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대중문화, 여가문화로 구분하고 이들의 발전과 진흥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기여전략(장서개발과 이용서비스 중심의 핵심역량 제고, 디지털 정보해득력 교육 지원기능 강화, 독서생활화를 위한 독서촉진과 저변확대, 평생학습(문화)프로그램 제공서비스의 최적화, 시설 공간의 개방화 및 친숙성 증대,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 협력사업 확대)을 제안하였다.

지자체별 공공 체육시설 현황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Sports Facility for the Korean Local Government)

  • 김공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17개 지자체별 문화시설 중 공공 체육시설 현황을 설치유형별, 종목별 간이운동시설로 구분 정리하여 지자체별 공공 체육시설의 분포도를 살펴보고, 이를 각 지자체별 인구수를 반영한 상대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지역별 적정한 공공 체육시설의 수를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공공 체육시설들은 지자체별 인구수와 상이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구수에 적합한 추가적 공공 체육시설 설치의 방향을 탐색할 수 있다.

  • PDF

혁신도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 사옥 활용방안 - 도입시설 유형 및 규모산정을 중심으로 (Utilizing an Office Building of Public Institution for Activating the Communities of Innovation City - Focused on the Facility Type and Scale)

  • 정연우;이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권1호
    • /
    • pp.91-102
    • /
    • 2010
  • 본 연구는 혁신도시 입지지역의 커뮤니티 조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공공기관 사옥내 커뮤니티시설의 도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커뮤니티시설의 유형과 조성 여건을 살펴보았고,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운영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사옥에 설치가능한 시설유형과 규모를 산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커뮤니티시설을 기능에 따라 크게 여가, 공공행정, 교육, 문화, 체육, 사회복지시설로 나누고, 생활권 위계에 따른 유형별 필요 시설을 제시하였다. 둘째,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도입사례 분석결과, 민간의 경우 주로 문화시설에 한정된 반면,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시설, 문화 및 체육시설 등 보다 다양한 시설을 도입,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사옥내 도입가능한 시설을 선정한 바, 도서관, 박물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과 축구장, 테니스장, 수영장 등 실내외 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어린이도서관 등 복지시설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들 시설에 대해 법적 설치기준 및 시설현황 조사, 관련문헌 검토 등을 통해 시설별 원단위를 설정, 이를 적용하여 공공기관 사옥에 도입가능한 커뮤니티시설의 규모를 구체적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들 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공공보건시설 색채이미지에 대한 국가간 인식 비교 -한국과 루마니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Public Health Facility Color Image Vocabulary among Countries -Focusing on korea and Romania-)

  • 박혜경;;김혜영;오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85-191
    • /
    • 2020
  •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인식은 부족하나 점차 교역이 확대되는 동유럽 국가인 루마니아를 대상으로 공공보건시설 색채이미지에 대한 국가 간 문화적, 감성적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색채이미지를 선정하였으며, 공공보건시설인 의료시설 8개소, 사회체육시설 4개소, 요양시설 8개소를 직접 방문하여 환경색채를 측색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한국인 89명, 루마니아인 86명을 대상으로 공공시설 색채이미지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인과 루마니아인의 공공보건시설 색채이미지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가 간 공공보건시설에 대한 색채이미지 인식이 어휘평가와 이미지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는 공공보건시설의 색채이미지가 다른 문화권에 거주하는 집단에게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향후, 이와 관련된 환경 구축 시 문화적 인식차이를 고려해야함을 시사한다.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Collaboration with Public libraries in Facilitating Arts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 심효정;이용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3-177
    • /
    • 2003
  •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지역의 핵심적인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여 실시할 경우 그 성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하에 공공도서관에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교육연계에 따른 현행 공공도서관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박물관의 개념적 변화와 건축적 대응(1)

  • 김용승
    • 건축사
    • /
    • 4호통권396호
    • /
    • pp.78-84
    • /
    • 2002
  • 90년대 이후 국내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을 포함하여 많은 박물관 관련시설이 건립되었거나 건립 중에 있으며, 앞으로도 지역적 여건과 특수성에 부합하는 미술관, 전시관, 홍보관 등 다양한 전시 관련시설들이 요구될 것으로 예상된다. 양적인 면에서 보더라도, 아직 선진외국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현재 약 400여개(등록,미등록 포함)의 박물관이 전국적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다양한 사회문화적 욕구를 수용해야 하는 시기에 이르렀으며, 동시에 단순히 보여주기만 하는 소극적 자세의 박물관으로부터 보다 다양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해주는 적극적 자세의 공공박물관으로의 인식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현대적 개념의 박물관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 사회적 역할이 달라지고 있다. 즉 과거 고전적 의미의 박물관이 수집과 보존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서 사실상 일반대중과의 관계는 그다지 중요하게 고려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반면에 오늘날의 박물관은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과 함께 전시와 문화적 교육에 보다 중점이 주어지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진정한 의미의 공공문화시설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박물관건축의 세계적 성공사례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국내의 박물관건축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이 이용자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ublic Library Service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 오동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61-78
    • /
    • 2005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인쇄형태 출판물과 인터넷 및 전자자원, 문화프로그램 및 서비스, 도서관시설 및 환경, 직원)이 공공도서관의 이용에 따른 전반적인 만족도 및 불평의도, 충성도(재이용의도포함)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8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4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시한 인과적 모델을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인쇄형태 출판물과 문화프로그램 및 서비스, 도서관시설 및 환경, 직원은 각각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시설 및 환경의 품질은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디자인 정책과 현황분석을 통한 해양공공디자인 연구

  • 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6-248
    • /
    • 2019
  • 2016년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이래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은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이후 문화체육관광부 주도하에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등10개 부처는 2018년 5월에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공공디자인개념을 해양공간에 적용하기 위하여 <항만공간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을 공모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해양공공디자인 개념을 적용하는 생활공간 및 도시공간과는 달리 해양에 관련된 독특한 조건의 공간에 적용하는 <해양공공디자인>개념이 필요하다.

  • PDF

공공도서관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방안 (Confusion and Overcoming Plans of the Public Library Identity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20
    • /
    • 2017
  • 모든 공공도서관의 본질적 정체성은 당대 및 후대의 통시적 접근 이용을 보장하는 지식정보센터이다. 그럼에도 최근에 평생학습 산실, 문화활동 거점, 정보게이트웨이, 커뮤니티센터, 지방공공재, 정보공통체, 민주주의 요람, 제2의 거실 등으로 회자되면서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이 요동치고 있다. 이에 각종 관계법령, 지방행정기구, 정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정체성 혼란의 실상과 증거를 제시한 후에 공공도서관 정체성 혼란의 극복방안을 제안하였다. 차제에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센터를 기반으로 지역문화 향유 확산을 위한 베이스캠프로 정립되려면 집단주의, 귀속주의, 편의주의를 경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