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도서관 규모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18초

도서관 공공도메인 지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ation Plan for Public Domain of Library)

  • 노영희;최만호;김윤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1-170
    • /
    • 2021
  • 도메인이름은 사용자의 웹 접근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최소한으로 등록·사용하여야 하며, 도메인 이름만으로 도서관의 유형과 지역과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서관의 위상과 권위를 높이며, 이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지정 2단계 공공도메인 현황을 조사하고, 도서관과 유사한 성격의 교육기관의 2단계 공공도메인도 분석하여, 교육기관의 수와 비슷한 규모의 도서관이 2단계 도메인을 갖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서관의 유형별로 국가도서관(nl), 공공도서관(pl), 작은도서관(sl)의 2단계 도메인과 교육기관에 소속된 대학도서관(lib.대학도메인), 학교도서관(lib.학교도메인)은 해당교육기관의 2단계 도메인을 활용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이용자가 직관적으로 도서관임을 알 수 있고, 도서관의 유형도 구분하며, 도서관의 특성이나 지역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학계와 도서관계, 그리고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의 공동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on the Education of Library Space Planning)

  • 박혜진;노영희;최만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77
    • /
    • 2020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 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와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의 방향과 개선사항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은 공간기획 실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공간기획 과정에서 사서의 참여는 이용자 및 전문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방법과 교육과정을 도서관 규모와 예산에 따라 계획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공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사서의 공간실무 참여와 필요성은 강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서관 운영과 이용자들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혁신도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 사옥 활용방안 - 도입시설 유형 및 규모산정을 중심으로 (Utilizing an Office Building of Public Institution for Activating the Communities of Innovation City - Focused on the Facility Type and Scale)

  • 정연우;이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권1호
    • /
    • pp.91-102
    • /
    • 2010
  • 본 연구는 혁신도시 입지지역의 커뮤니티 조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공공기관 사옥내 커뮤니티시설의 도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커뮤니티시설의 유형과 조성 여건을 살펴보았고,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운영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사옥에 설치가능한 시설유형과 규모를 산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커뮤니티시설을 기능에 따라 크게 여가, 공공행정, 교육, 문화, 체육, 사회복지시설로 나누고, 생활권 위계에 따른 유형별 필요 시설을 제시하였다. 둘째,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도입사례 분석결과, 민간의 경우 주로 문화시설에 한정된 반면,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시설, 문화 및 체육시설 등 보다 다양한 시설을 도입,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사옥내 도입가능한 시설을 선정한 바, 도서관, 박물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과 축구장, 테니스장, 수영장 등 실내외 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어린이도서관 등 복지시설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들 시설에 대해 법적 설치기준 및 시설현황 조사, 관련문헌 검토 등을 통해 시설별 원단위를 설정, 이를 적용하여 공공기관 사옥에 도입가능한 커뮤니티시설의 규모를 구체적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들 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병원 내 도서관의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ervice for Patients and Carers in the Library in Hospital)

  • 신영지;이석형;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49-16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병원 내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현재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해 수행하고 있는 도서관 서비스 현황과 향후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병원 내 환자 및 보호자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병원 내 도서관의 의무적 설립을 위한 법 제정과 병원 내 도서관의 규모, 장서, 인력 등에 대한 기준이 제정되어야 한다. 둘째, 향후 국가적 차원에서 병원도서관을 의무적·자발적으로 설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셋째, 지역대표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타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운영이 고려되어야 한다.

공공도서관 사서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Public Librarian Jobs)

  • 홍현진;노영희;정영미;정대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등 새로운 시대 변화에 따라 현재 공공도서관 사서 및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의 환경요소(장서규모, 직원수, 운영 주체 등)와 더불어 현재 직무에 대한 내용 및 인식, 도서관 사서직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현 도서관 사서의 직무현황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현재 직무 내용 및 인식으로, 현재 사서들은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독서문화프로그램 계획수립, 이용자 정보서비스 등의 순으로 업무를 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들은 각자 맡은 업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노동강도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현재 맡고 있는 노동강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향후 각 업무에 해당하는 세부 능력단위 중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과 추가적으로 보완해야 하는 요소, 본 연구를 통해 낮게 나타난 요소 등을 고려하여 보다 적합한 능력단위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의 정규직 인원 수와 경력이 많을수록, 사서자격증 급수와 현재 직위가 높을수록 현재 업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전문성이 높게 나타나 향후 도서관의 정규직 사서 수를 확대시켜 지속적으로 해당 업무에 대한 경력을 쌓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도서관 명칭 수용 및 쟁점 연구 - 일본홍도회 부산포지회 도서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ceptance and Controversy of Word Library in Korea: Focusing on the Busan Library of the Nihon Kodo-kai)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24
    • /
    • 2023
  • 한국의 근현대 도서관 역사는 150년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도서실(관)이란 말이 언제 등장하여 어떻게 변용되어 왔는지, 그리고 개화기 일본홍도회 부산포지회가 개설한 도서관의 명칭 및 전모에 대해서는 쟁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쟁점을 분석하고 논증하였다. 그 결과, 도서실이란 말은 조선 초기부터 시문집, 묘비명, 일기에 등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도서관은 1895년 유길준이 「서유견문」 을 통해 최초로 소개하였다는 것이 중론이었으나 1881년 이헌영의 「일사집략」에 등장하며, 1884년 「한성순보」에도 소개되었다. 그리고 시설명에 부여한 최초의 명칭은 1901년 10월 10일 부산포지회가 개설한 홍도도서실이다. 많은 문헌에 기술된 도서구락부, 독서구락부(도서실), 부산(부산지부)도서실(관), 홍도도서관 등은 오류다. 홍도도서실 위치는 용두산 서산하정 임차지의 임시 가옥이었고, 규모는 방 1칸 정도와 화한서와 양서로 구성된 장서 1천권 내외였으며, 일본 거류민을 대상으로 유료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짐작된다. 비록 홍도도서실이 한국인에 의해 설립한 최초 공공도서관은 아니지만, 한국에 존재한 최초 공공도서관이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홍도도서실의 성격을 규정할 때는 민족적 정서, 역사적 갈등, 이념적 프레임을 초월하는 냉정함과 분별력이 요구된다.

인구감소지역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경북 의성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Depopulation Areas: Focusing on Uiseong-gun)

  • 김신영;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95-117
    • /
    • 2022
  •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의성군의 도서관의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다. 먼저 의성군 지역의 사회·문화·환경적 특성을 분석하고 의성군과 규모가 유사한 인구감소지역의 도서관 인프라와 비교하였다. 또한 의성군 주민의 도서관 이용현황,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방안, 비이용 요인, 신규 건립 도서관에 대한 요구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성군 도서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성군 도서관 발전을 위한 4대 전략방향(미래 지향, 커뮤니티 기능 활성화, 정보취약계층 특화, 지역사회 정신문화 고양)과 5대 서비스 핵심과제(의성군 도서관의 브랜드 구축, 혁신형 공간 및 서비스 구현, 주민 정주환경 강화를 위한 도서관 기능 확대,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인서비스 개발 및 제공, 책 읽는 의성을 위한 독서문화 활성화)를 도출하였다. 제시한 핵심과제는 인구감소지역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의성군의 잠재력 개발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도서관서비스에 초점을 두었다.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 방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Branch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곽동철;심경;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7-8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의 논리적, 법적 근거 및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 분관 건립(안)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현황에 보다 적합한 분관 건립을 위해 지향할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을 "또 다른 대규모 공공도서관"과 동일시하거나 "지역균형"이라는 단순한 지역안배 차원의 논리에 기반하여 건립해서는 안되며, 국가차원의 기록문화유산 보존 및 지식강국화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역할 재정립 및 국가 전체의 도서관 체제 발전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 지향점으로는 첫째, 국립중앙도서관 정체성 확립 및 기능의 강화,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직접적 대국민 서비스 강화, 셋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지식격차 해소 기능 분담 및 특성화를 담당할 것을 제안하였다.

신축 공공도서관의 지위적 역할에 따른 규모와 지역 특성에 따른 건립공사비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construction cost according to Size of posi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ew Public Libraries)

  • 이철재;윤지원;이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13-120
    • /
    • 2017
  • As the functions and roles of public libraries expand, it is time for qualitative growth.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libraries, it is important to plan actual construction costs through systematic feasibility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guideline of construction costs considering the siz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atus role of the new public libraries. The construction costs are based on actual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rived the analysis framework according to the siz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tatus role of the public libraries was considered theoretically. The siz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status role of the public libraries.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rough this, an analysis framework was derived according to size and region. Second, the actual data on construction costs of the new public librar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Basic factors, size, area, and construction costs were analyzed for 285 libraries nationwide that opened from 2010 to 2016. The data of 129 newly opened public libraries were classified. To present construction costs depending on price fluctuation, construction cost index was analyzed as of September 2016. Third, a guideline of construction costs for new public libraries was suggested. The construction cost per $1m^2$ of building area was analyzed. By multiplying 116.70(p), the construction cost index, the construction cost per $1m^2$ of total building area was calculated to be 2,472,350 won. When applying the research result, construction costs can be gained by adding construction cost index of the month.

공공도서관의 지위별 규모와 지역적 특성에 따른 공간 면적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Area of Space Size according to Size of posi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ies)

  • 이철재;윤지원;이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92-100
    • /
    • 2017
  •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s of libraries in each reg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deline of area of space size according to size and reg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guideline of area of space size of public libraries for the revision of the manual of 2013.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and preceding studies have raised a need to present the guidelines on the area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since the guidelines of areas presented in Gyeonggi Province have been derived from the provincial libraries of Gyeonggi only.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and verify the guidelines of area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in Korea based on the guidelines of areas for Gyeonggi Province. Second, I have analyzed the areas of public libraries nationwide. I hav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and verification in comparison with the areas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the ${\pm}5%$ error range presented in the existing manual, which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guidelines of areas in Gyeonggi Province are within the error range and thus are applicable to public libraries nationwide. Third, I have presented the five different types of guidelines of areas.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accelerating the decision-making and policy establishment as part of the construction and remodeling plans. In the future, however, more detailed studies on libraries bigger than $5,000m^2$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