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공교육시설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3초

미국 공공도서관의 성인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dults in US Public Libraries)

  • 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59-380
    • /
    • 2018
  • 디지털 리터러시는 ICT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디지털 사회에서 일의 능률을 높이고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 된다. 세계의 선진 국가들은 국민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수행해왔다. 본 논문은 이들 중 노인을 포함한 성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미국 공공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우수 사례 도서관을 중심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유형, 교육 방식 및 내용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담당사서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다수의 교육 프로그램이 기본적인 컴퓨터나 인터넷 기술에 관한 것이었고 Micro Office, 이메일, 소셜미디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사용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가장 빈번하고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방식은 비공식적인 현장교육이었고 그것의 교육 내용과 수준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추가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공공도서관 담당사서들은 사서의 디지털 역량과 이를 위한 재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적합한 도서관 시설과 최신 장비 도입, 시기적절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의 중요성도 함께 제기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공도서관과 문예회관의 문화교육프로그램의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Public Libraries and the Culture & Art Cent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오동근;여지숙;최성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91-30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공공도서관과 문예회관에서 운영하는 문화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수강자들의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도서관 수강자들은 전반적인 만족도와 충성도, 프로그램 내용 및 강사 품질을, 문예회관 수강자들은 기관의 지원 및 제반서비스와 시설 및 환경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수강자의 고객만족도(LCSI)는 78.02점으로 나타났으며 문예회관 수강자의 고객만족도는 77.22점으로 산출되었다.

  • PDF

교육시설의 개념단계 공사비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at Conceptual Stage)

  • 손재호;김청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91-99
    • /
    • 2006
  • 본 연구는 신축 교육시설 프로젝트의 개념단계에서 공사비를 예측하기 위한 인공신경망모델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현행 공공 교육시설의 개념단계 공사비예측에는 기본인자인 연면적에 의한 단일변수 모델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개념단계에서 단일변수 공사비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예측된 공사비는 그 오차범위가 크고, 실시설계 완료 후 물량산출에 의해 산정된 상세공사비와 비교하여 큰 차이를 보일 경우 프로젝트의 수정이 불가피하며, 이는 프로젝트의 비용을 증가시키고 공기를 지연시킨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 프로젝트의 사업계획 수립 및 예산확보 과정에서 공사비예측에 적용이 가능한다 변수 인공신경망모델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평가한 결과 평균오차율이 6.82%로써, 평균 93.18%의 정확도를 기록하였다. 제안된 인공신경망모델은 지난 5년간 신축된 교육시설의 공사예정금액을 실적자료로 사용하여 학습되었기 때문에, 차후 교육시설 신축공사의 예산편성에 그 활용이 기대된다.

지상(紙上) 블로그 -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도서관 및 평생학습관 변천 III - 프로그램 및 행사를 중심으로 -

  • 윤수정
    • 도서관문화
    • /
    • 제54권1호
    • /
    • pp.19-23
    • /
    • 2012
  • 1920년대 문을 연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그저 시설과 장서를 갖추고 그야말로 가장 기본적인 서비스만 제공하였다. 그러다가 이용자수도 늘어나고 그들의 요구도 다양해지면서 독서교실을 비롯한 독서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고, 현재는 독서는 물론 취미 교양, 인문학강좌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다양한 프로그램 및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의 프로그램은 기관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개 독서교실처럼 독서 관련 프로그램들이 주류를 이뤄 왔으나 평생교육프로그램(문화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교양 취미생활까지 광범위하게 운영되고 있다. 또한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도서관 평가에 프로그램 및 행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양적, 질적 성장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및 평생학습관의 변천 중 프로그램 및 행사 부문에 대하여 주요 내용과 특색, 성과 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학교시설 통합정보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정보화 구축설계 방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for School Facilities -on the Design Direction of Information Implementation-)

  • 이상민;노근철;유승호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1호
    • /
    • pp.30-38
    • /
    • 2017
  • 학교 시설이 가장 중요한 공공시설 중 하나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학교시설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 정책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학교시설 현황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방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시설 정보 관리 절차 및 학교시설의 정보 자료 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수있는 시스템 구축방향을 제안하였으며, 실무적인 활용이 가능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구축 설계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의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 지역공공시설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Utiliz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Local Public Facilities -)

  • 최진희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1-48
    • /
    • 2013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social change. Contemporary primary education is oriented creative-education and institutional changes were required. As a result, it is appearing movement wants to get out of uniform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analyze after-school programs other tha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education school an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pace use of school facilities.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proposed utilization of spatial associatio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and local public facilities.

공공도서관에 대한 사서와 이용자 인식 비교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n Public Librarie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A Survey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ublic Libraries)

  • 표순희;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21-24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와 이용자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발전방안 수립 및 서비스 방향 설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 각각 270명, 820명을 대상으로 현재 도서관의 환경, 미래 도서관의 역할 및 위상, 도서관 정책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사서들은 오랜 역사와 축적된 자원을 가장 큰 강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이용자들은 인적자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미래의 위상에 대해서는 사서와 이용자 모두 독서와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두 집단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공통된 기대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래 도서관의 정책 방안으로 사서는 노후시설의 개선과 사서의 재교육을 제시한 반면, 이용자는 장서 확충과 열람실 이용 확대를 원하는 등 두 집단 사이의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인식 차이를 고려한 공공도서관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 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The Curriculum Need for a Public Child-care Teacher)

  • 정다운;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47-168
    • /
    • 2012
  • 본 연구는 현장 중심의 어린이집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사, 원장, 보육관련학과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직무요구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는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ANOVA 검증 및 Sch$\acute{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공공형 어린이집에서는 전문대 출신 보육교사에 대하여 채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채용 시 성실성과 수업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 및 교사들은 보육교사 자격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데 비하여 재학생들은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과 각종 실기관련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과 재학생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아동보호 및 안전 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교사들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시설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보육현장중심의 교육과정개발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매각 학교시설용지의 발생원인 규명 및 용지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 of Occurrence of unsold School Facilities and the Use of Sites)

  • 이성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1호
    • /
    • pp.40-49
    • /
    • 2018
  • 학교시설은 근린주거지역의 핵심시설로서 물리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학교시설용지가 활용되지 못하는 경우, 규모와 입지의 특성상 지역주민들의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지역의 토지자원에 막대한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학교시설용지의 미매각화 현상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제도의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발생한 미매각 학교용지에 대해서는 용도의 전환 등을 통하여 빠른 활용이 가능하도록 유도 할 필요가 있다.

도서공간의 재구축 사례 (The example of Library Space Construction)

  • 윤남희;이소진
    • 교육시설
    • /
    • 제18권2호
    • /
    • pp.30-39
    • /
    • 2011
  • 학교 도서실은 단지 자료를 축적해 놓은 자료실로서의 역할만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곳이 아니라, 학습활동, 독서활동 자료 및 정보제공, 그리고 레크리에이션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학교의 도서실은 일반 공공도서실과는 다른 학교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교육공간으로 자아학습의 장이다. 지식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생중심의 학습을 위한 독서활동과 다양한 자료의 활용이 없이는 불가능하며 학교 도서실을 이용하지 않고서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단지 장서수와 컴퓨터 등의 물리적인 수치가 더 이상 지표가 되어서는 안 되고 학생들의 정서함양 및 인격소양에 도움이 되는 독서공간을 통한 청소년기의 마음의 안정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진정한 자아학습의 장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문화관광부의 문화로 아름답고 행복한 학교만들기 사업 가운데 선정된 도서공간의 재구축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