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격 표면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Attack Surface Expansion through Decoy Trap for Protected Servers in Moving Target Defense

  • Park, Tae-Keun;Park, Kyung-Min;Moon, Dae-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25-3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보호대상 서버 네트워크에 디코이 트랩을 통한 공격 표면 확장의 적용 방법을 제안한다. 보호대상 서버 네트워크는 많은 수의 디코이들과 보호대상 서버로 구성되며, 각 보호대상 서버는 Hidden Tunner Networking이라는 네트워크 기반 이동 표적 방어 기법에 따라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변이한다. 이동 표적 방어는 공격을 막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시스템의 공격 표면을 변경하는 사이버 보안에서의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공격 표면 확장은 공격을 막기 위해 디코이와 디코이 그룹을 활용하는 접근방법이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공격자가 디코이 트랩에서 공격자의 모든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도록 커스텀 체인과 RETURN 타켓을 사용하여 보호대상 서버의 NAT 테이블을 수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이 적용되기 전과 후에 보호대상 서버 네트워크에서의 공격자 성공률을 수식으로 계산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보호대상 서버가 공격자에 의해 식별되고 공격당할 확률을 현저히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BT 대응을 위한 IoBE Kill Chain 프레임워크 (IoBE Kill Chain Framework against Blended Threat)

  • 송유래;김득훈;곽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97-199
    • /
    • 2022
  •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가 상호연결됨에 따라 융합환경인 IoBE(Internet of Things Blended Environment)가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IoBE 내 IoT 디바이스가 상호연결되고, 네트워크가 복잡해짐에 따라 공격 표면도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증가한 공격 표면에서 서로 다른 취약점들이 복합된 보안위협인 BT(Blended Threat)가 나타날 수 있다. 기존에 보안위협 대응을 위한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Cyber Kill Chain이 활용되고 있지만, 이는 공격자가 한 번의 공격을 수행하는 과정을 분석하므로 IoBE에서 발생 가능한 BT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BE 내 BT 기반 공격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IoBE Kill Chain을 제안한다.

IoT 환경에서의 취약점 악용 공격 대응을 위한 익스플로잇 수집 및 분석

  • 오성택;고웅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1-46
    • /
    • 2021
  • 홈, 산업 환경, 운송 네트워크 및 기타 장소의 사물 인터넷 장치가 계속 확산됨에 따라 악의적인 IoT 네트워크 공격자의 공격 표면도 증가하고 있다. 2021년 4월 IBM에 따르면 네트워크 공격 지표 중 전체 IoT 공격이 매년 500% 증가하고 있다. X-Force 연구에 따르면 이 급증은 주로 미라이 봇넷과 코드를 공유하는 비교적 새로운 봇넷인 Mozi 봇넷 활동에 의해 발생한다. 2020년에 이 악성코드는 한 해 동안 탐지된 총 IoT 공격의 89%를 차지했다. 2020년 3월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Unit 42 IoT Threat Report에 따르면 IoT 임베디드 기기 대상 위협은 익스플로잇 감염, 멀웨어, 사용자 정보 탈취로 나뉜다. 그 중 IoT 임베디드 기기의 주요 익스플로잇은 네트워크 스캔, RCE, Command injection, Buffer Overflow 등으로 관찰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IoT 환경에서의 취약점 악용 공격 대응 및 탐지 정책 생성을 위해 IoT 취약점을 악용한 익스플로잇을 분석 연구하였다.

콜드 부트 공격 기술 및 최신 동향 분석

  • 원유승;한동국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4
    • /
    • 2021
  • 일반·보안 기기에서 개인 정보 및 비밀 정보가 많은 부분에서 취급된다. 보안 기기라고 할지라도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초기화되는 RAM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보안영역으로 간과될 수 있다. 하지만 2008년 이후, RAM의 표면 온도를 현저히 낮추면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RAM 데이터가 초기화되지 않는 특징을 활용한 콜드 부트 공격이 제기되어, 지금까지 활발히 연구되어 하나의 보안이 필요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콜드 부트 공격의 방법론과 발전 동향, 콜드 부트 공격에 대한 물리적 특성 및 디스크 암호화 솔루션에 적용 가능한 콜드 부트 공격을 설명한다. 또한, 국내 연구에 간과될 수 있는 콜드 부트 공격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이에 대한 대응기법도 소개한다.

네트워크 보호체계에서 네트워크 주소변이 기술 적용에 대한 영향성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Applying Network Address Mutation Technology within the Network Protection System)

  • 이수원;황세영;홍석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939-946
    • /
    • 2023
  • IT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는 현대 초연결 환경은 네트워크 장비들이 다양해지고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해짐에 따라 사이버 공격자가 침투경로로 활용될 수 있는 공격표면(attack surface)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이버 공격을 원천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공격표면을 변이하는 MTD(Moving Target Defense)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에 네트워크를 통해 공격이 시작됨에 따라 주요 속성 네트워크 주소를 변이하는 기술이 있으나, 대부분 운용환경이 기존 고정 IP 기반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주소변이 기술이 기존 네트워크 보호체계 내에 적용되었을 때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트워크 보호체계에서 네트워크 주소변이 기술이 적용되었을 때의 영향성을 연구하였고 연구 결과로서 네트워크 보호체계의 주요 시스템인 방화벽, NAC, IPS와 네트워크 주소변이 기술이 동시 적용되었을 때 운용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사이버 대응체계 내에서 네트워크 분석시스템과의 연동성을 위해 네트워크 주소변이 기술에서 관리해야하는 요소를 제안하였다.

마우스와 기니픽에서 PDT-Hepa의 효능시험

  • 강경선;이영순;임윤규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4-140
    • /
    • 1991
  • B형 간염바이러스의 표면항원, 파상풍, 디프테리아균의 toxoid, 백일해의 혼합백신인 PDT-Hepa의 효능을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험물질을 기니픽에 접종하였을 때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과 파상풍 및 디프테리아균의 toxoid에 대한 항체형성이 뚜렷이 관찰되었으며, 항체형성의 정도는 접종용량에 비례하였다. 백일해의 경우는 시험물질을 마우스에 접종시킨 후 마우스에 감수성이 있는 Bordetella pertussis 18323주로 직접 공격 접종하여 이 균에 대한 방어력이 형성되어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방어정도는 투여 용량에 비레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oving Target Defense 이슈 및 평가인증 요구사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oving Target Defense Issue and Certification Requirements)

  • 문서연;김재웅;박종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8-161
    • /
    • 2018
  • 2011년 미국에서 최초로 소개된 후 기존 보안 기술과 다른 새로운 정보시스템 보호 기술로 Moving Target Defense(MTD)가 활발히 연구 되고 있다. MTD는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을 뷸규칙적이고 동적으로 변화시켜 공격표면(Attack surface)을 줄임으로써 외부 공격에 대한 보안성을 높인다. 주로 시스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공격하는 보안 위협들에 효과적이며 특히 지능형 지속 보안 위협(Advanced Persistent Threat), 킬 체인(Kill-Chain) 보안에 뛰어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MTD 시스템 구현 및 개발로 상용화가 시작되었으나 MTD 활용을 통해 어느 정도의 보안성 및 효율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성능 평가인증, 시험지침 등이 표준화 되어있지 않아 기준이 모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최근 MTD 이슈에 대해 살펴보고 MTD와 연관 되어있는 각 분야에 어떤 평가인증 요구사항들이 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MTD에 어떠한 평가인증 요구사항이 있는지 도출하여 앞으로 MTD 평가인증 표준화 참고 및 활용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Membrane fouling reduction by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 강민수;김성수;전배혁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6-58
    • /
    • 1997
  • 최근 polyolefin계열의 고분자 분리막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그 중 polypropylene막은 특성상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 막 손상이나 성능 저하가 비교적 적은 고분자 막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재질의 소수성 특성 때문에 심각한 fouling을 유발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막 표면을 hydrophilic agent로 개질 시켜 fouling을 제어하는 기술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막 재질을 개질 시키기 위하여 sulfonating agents, ozone, 그리고 hydrophilic monomer등을 grafting하는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완벽한 친수성의 부여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막 기공 구조의 변화와 붕괴를 초래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밖에 hydrophilizing agent 등을 이용하여 wetting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친수화 처리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membrane matrix로 부터 hydrophilizing agent가 새어 나가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특히 의료용 분리막으로 이용될 경우 유출된 hydrophilizing agent가 cell membrane을 공격하여 cell 분해와 같은 인체에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최근 들어 저온 plasma를 이용한 표면 개질의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데, 이는 plasma가 고분자 물질의 구조나 화학적 반응성과는 상관없이 모든 고분자 물질의 표면을 일정하게 개질 시킬 수 있으며 여타의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막 제조시 residual solvent의 문제점과 swelling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 때문에 최근 각광받고 있는 기술 중의 하나이다. 또한 다른 방법에 비해 막과 plasma와의 강한 흡착력 때문에 영구적 친수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 plasma를 이용한 표면 개질이 막의 친수성 향상 및 fouling 방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 PDF

다치 디더링 화상을 이용한 정보 은닉 기법 (Information Hiding Using Multi-Level Dithering Image)

  • 박영란;이혜란;박지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30-533
    • /
    • 2000
  • 암호 통신의 한 방법인 화상 심층암호(image steganography)는 화상 내에 기밀정보를 몰래 숨겨서 전송하는 것으로 표면상은 의미 있는 형태를 유지하지만, 실제로는 그 속에 기밀 정보를 몰래 은닉하는 형태로서 제3자는 기밀 정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공격의 위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디지털 화상을 이용하는 화상 심층암호는 저작권 보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256레벨의 그레이 화상에 다치 오차확산법을 이용하여 디더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기밀 정보를 은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 PDF

키 기반 블록 표면 계수를 이용한 강인한 3D 모델 해싱 (Robust 3D Hashing Algorithm Using Key-dependent Block Surface Coefficient)

  • 이석환;권기룡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1호
    • /
    • pp.1-14
    • /
    • 2010
  • 3D 콘텐츠 산업 분야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3D 콘텐츠 인증 및 신뢰, 검색을 위한 콘텐츠 해싱 기술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영상 및 동영상과 같은 2D 콘텐츠 해싱에 비하여 3D 콘텐츠 해싱에 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키 기반의 3D 표면 계수 분포를 이용한 강인한 3D 메쉬 모델 해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에서는 기본적인 Euclid 기하학 변환에 강인한 3D SSD와 표면 곡률의 평면계 기반의 블록 표면 계수를 특징 벡터로 사용하며, 이를 치환 키 및 랜덤 변수 키에 의하여 최종 이진 해쉬를 생성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한 해싱 기법은 다양한 기하학 및 위상학 공격에 강인하며, 모델 및 키별로 해쉬의 유일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