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조성 기법

Search Result 21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Understanding Lane Number for Video-based Car Navigation Systems (실감 차량항법시스템을 위한 확률망 기반의 주행차로 인식 기술)

  • Kim, Sung-Hoon;Lee, Sang-Il;Lee, Ki-Sung;Cho, Seong-Ik;Park, Jong-Hyun;Choi, Kyoung-H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1
    • /
    • pp.137-144
    • /
    • 2009
  • Understanding lane markings in a live video captured from a moving vehicle is essential to build services for intelligent vehicles such as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s), unmanned vehicles, video-based car navig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approach to recognize the color of lane markings and the lane number that he/she is driving on. More specifically, we present a background-color removal approach to understand the color of lane markings for various illumination conditions, such as backlight, sunset, and so on. In addition, we present a probabilistic network approach to decide the lane number. According to our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idea shows promising results to detect lane number in a various illumination conditions and road environments.

  • PDF

Memory Allocation Scheme for Reducing False Sharing on Multiprocessor Systems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거짓 공유 완화를 위한 메모리 할당 기법)

  • Han, Boo-Hyung;Cho, Seong-Je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7 no.4
    • /
    • pp.383-393
    • /
    • 2000
  • In shared memory multiprocessor systems, false sharing occurs when several independent data objects, not shared but accessed by different processors, are allocated to the same coherency unit of memory. False sharing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may degrade the performance of memory coherency protocols. This paper presents a new shared memory allocation scheme to reduce false sharing of parallel applications where master processor controls allocation of all the shared objects. Our scheme allocates the objects to temporary address space for the moment, and actually places each object in the address space of processor that first accesses the object later. Its goal is to allocate independent objects that may have different access patterns to different pages. We use execution-driven simulation of real parallel application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ur schem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y using our scheme a considerable amount of false sharing faults can be reduced with low overhead.

  • PDF

A Study on the Design & Construction Method of Traditional Landscape Space through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임원경제지』 「섬용지」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통해 본 전통조경공간 설계 시공방법)

  • Lee, Jung-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4
    • /
    • pp.1-1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 construction methods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of the past and the repair and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s to maintain it today. To this end, the method of narrative description, process extraction and construction related to traditional landscaping were compar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at the description methods of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and related processes in the field of traditional landscaping. 『Imwongyeongjeji』 「Seomyongji」 was an encyclopedia of the overall construction method of the living space, describing the location, effect,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component and presenting quantitative figures to institutionalize the construction of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s.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presented the entire process of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and it is becoming a kind of guide for reference at the site. Among them, foundation construction, roof construction, landscape construction, and fence construction were drawn as items that could be applied to traditional landscaping areas. Second,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construction method was divided into the processes of foundation construction, roof construction, landscaping construction, and fence construction. Foundation construction is a way of repeating the process of land-tramp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oof, the tile-roofed building was built on top of the rafters and roofed with tiles. And thatched roof was made to a number of rice straws bundles to cover the roof one after the other. Instead of tiles, the stone roof was made of thin and wide stones, and the wooden boards were used for the single roof and the bark roof were constructed with many layers of dried corrugations. Landscape construction mainly consists of the Paving technique through tramping rubble and the construction of terraced flower by planting stone, plants, and shrubs on the top. According to the building materials, the wall construction was derived from the earth-stacked earthen wall, stone walls using stone and clay, marble walls made of tile patterns, and the construction of a board wall using a wood board as a wall. Third, comparing the construction methods of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Imwongyeongjeji』 「Seomyongji」 focuses on standardizing the construction methods to create a new traditional spa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etting of the scope of the 『Imwongyeongjeji』 「Seomyongji」 and the construction becaus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provides the overall construction procedure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 cultural heritages. In addition, the traditional landscape space used to be a residential space in the past, but today, the maintenance process of the already established facilities as 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has been carried out, and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added to create viewing conditions. In terms of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knowledge, some similar methods were found in the repair of cultural assets today, and some cases were also confirmed in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technologies such as application of some materials or mix, separation of added facilities and introduction of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s.

Evaluating the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on Yeongsan River Stream (영산강 수계 저영향개발(LID)의 수질효과 평가)

  • Kim, Seok-Gyu;Kang, Jea-Hong;Park, Se-Hwan;Ko, Kwang-Yong;Ha, D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57-457
    • /
    • 2011
  •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은 물순환체계 개선을 위해 녹색 공간의 확보, 자연형 공간 조성, 자연상태의 수문순환 기능의 유지 기법 등을 활용한 개발 대상지에서의 강우유출 및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다. LID는 강우 유출수의 지하침투, 강우 종료시 증발산량의 확보, 강우 유출수의 재이용 등을 통한 강우 유출량을 최소화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LID 방법은 우수저류 공원, 생태저류지, 지붕층 저류공원, 보도 저류공간, 인공습지, 완충녹지대, 수목 보존지대, 지붕층 배수관, 강우 저장조, 투수성 포장, 토양 개량, 불투수층 최소화, 비점오염원 저감 등으로 효율성, 경제성, 유연성, 합리성, 토지 가치증대 등의 장점이 있다. 영산강 수계의 BOD 배출부하량이 점오염원(21,019kg/일)과 비점오염원(50,047kg/일)의 비율이 3:7 로 비점오염원 배출부하량이 훨씬 큰 상태이다. 특히, 광주광역시, 농업용 토지, 축산계 등의 비점오염원이 영산강 수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영산강 수계를 대상으로 앞으로 이루어지는 개발계획을 분석하여 LID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영산강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모델링을 통해 예측하고자 한다. 수질개선에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국내 실정에 맞고 QUAL2E 모델을 근간으로 WASP5 모형의 장점들을 접목시켜 Bottle BOD의 반응기작 및 조류의 생산에 의한 유기물 증가, 탈질화 반응 등 정체수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반응기작을 모의할 수 있도록 보완한 QUALKO2 모형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모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LID 기법이 도시화에 영향을 얼마나 덜 주는지, 수계의 비점오염원 효과를 통해 물순환 체계의 개선이 어느 정도로 어루어지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Probabilistic Analysis Method Considering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지반의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 Cho, Sung-Eun;Park, Hyung-Ch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8
    • /
    • pp.111-123
    • /
    • 2008
  • Geotechnical engineering problems are characterized by many sources of uncertainty. Some of these sources are connected to the uncertainties of soil properties involved in the analysis. In this paper, a numerical procedure for a probabilistic analysis that considers the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is presented to study the response of spatially random soil. The approach integrates a commercial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random field theory into the framework of a probabilistic analysis. Two-dimensional non-Gaussian random fields are generated based on a Karhunen-$Lo{\grave{e}}ve$ expansion in a fashion consistent with a specified marginal distribution function and an autocorrelation function. A Monte Carlo simulation is then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response based on the random fields. A series of analyse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effects of uncertainty due to the spatial heterogeneity on the settlement and bearing capacity of a rough strip footing. The simulations provide insight into the application of uncertainty treatment to the geotechnical problem and show the importance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roperties with regard to the outcome of a probabilistic assessment.

Heat Balance Monitoring in Seom River Basin using Satellite Imagery (위성영상을 이용한 섬강유역의 열수지 변화 모니터링)

  • Na, Sang-Il;Park, Jong-Hwa;Shin, Hyoung-Sub;Park, Jin-Ki;Oh,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50-750
    • /
    • 2012
  • 토지이용의 변화는 수문순환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는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 특성의 변화로 열수지가 변화함으로써 미규모 및 중규모 기상현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 등의 대규모 토목사업으로 인해 넓은 면적의 지표면 상태가 변화하고 이에 따른 수문순환 변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수문학 분야에서의 가장 큰 관심은 최신 기법을 적용한 수문분석 및 정확한 수문인자를 추출하고자 하는 것으로 원격탐사나 GIS 기법을 이용할 경우 유역의 물리적인 요소를 고려할 수 있으며 넓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공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길이 103.5km, 유역면적 $1,478km^2$, 한강의 제 1지류인 섬강유역을 대상으로 위성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에 따른 열수지 변화 특성을 모니터링 하였다. 대상지역의 토지피복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수역, 도심지, 나지, 초지, 산림, 농경지, 구름 및 그림자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위성영상을 열수지 모델에 적용하여 인자별 격자기반의 공간분포도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종류에 따른 유역내 열환경 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열환경 관점에서 유리한 토지피복 조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The Garden Drifts seen from Works by Gertrude Jekyll and Piet Oudolf (거투르트 지킬(Gertrude Jekyll)과 피에트 우돌프(Piet Oudolf)의 작품을 통해 본 정원의 드리프트 기법)

  • Park, Eun-Y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2
    • /
    • pp.125-131
    • /
    • 2020
  • In this study, the author comparatively analyzed the effects and applicability of drifts, one of planting design methods based on the principle of visual harmony, to look into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in planing techniques with examples of drifts in gardens designed by Gerturde Jekyll and Piet Oudolf. Sites chosen for the case studies included Jekyll's Upton grey and Hestercomb garden and Oudolf's At Scampston Hall and Trentham Estate Garden. The results showed that Jekyll set layers for vertical and horizontal structures by using plants of different height to make flowers look like floating with their stems unseen and appear in turn over time. Assemble planting of groups was used to conceal rigid, irregular lines so that the plants are recognized as mass with smoother horizontal lines. Clearly visible, repeated drifts creates a sense of unity. Oudolf, in combining grass and perennial plants, used one-to-one correspondence or expansion to express drifts. Grass serves roles as a connecting material inserted when changing space or making transitions of images. Blocks in single species are repeatedly crossed to set scenes, and overlapping and mixing makes them more lively.

Evaluation of the pre treatment tank filter media layer in LID technologies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 특성 평가)

  • Choi, Hye Seon;Jeon, Min Su;Geronimo, Franz Kevin;Reyes, Nash Jett;Kim, Le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7-367
    • /
    • 2022
  •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라 비점오염원 부하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 증가 등으로 지표면에 축적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LID 기법은 자연적 기작(mechanisms)과 공정(process)을 이용하여 생태계의 물질순환(물순환 포함)과 에너지 흐름이 원활하도록 조성하는 기법으로, 불투수층면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관리 가능하다. LID 시설에는 전처리 시설을 두어 초기 고농도의 입자상 물질을 저감시키고, 강우유출수 저류공간을 통한 유출저감, 첨두유량 등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전처리 시설에는 유기물질 및 영양소의 생물학적 제거를 위한 미생물 서식공간의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여재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점오염물질 유입이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환경을 평가하였다. 3개 시설 모두 100%의 불투수층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LID 시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전처리 시설에는 자갈, 우드칩, 쇄석 등이 적용되어 있다. 퇴적물의 경우 가장 상부에 존재하는 층으로 퇴적물의 오염물질 농도는 2~10.7배 이상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드칩의 경우 다른 여재에 비해 높은 함수량과 유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우드칩의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과 거친 표면공극에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무기성 여재인 쇄석과 자갈의 경우 여재 크기의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의 군집구성과 함수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기물의 함량이 낮은 강우유출수의 생물학적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기성 여재가 필요하며, 다공성 무기 멀칭재를 적용하고 하부의 토양은 적정 유기물을 배합하여 질산화 및 탈질화 유도가 가능하도록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Sustainable Outdoor Design Strategies and Assessment System through Analysis of SITES Certified Projects (미국 외부공간 친환경 인증(SITES)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 조성기법 및 평가체계 연구)

  • Lee, Hy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3
    • /
    • pp.56-64
    • /
    • 2016
  • While many assessment systems for buildings and indoor environment have been created with increasing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assessments for sustainable landscaping and outdoor environments have received less attention. Recently, the Sustainable Site Initiatives(SITES) was developed in the USA in order to evaluate and certify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projec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ustainable landscape strategies and to review the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case studies of SITES certified projects. Three certified projects in Texas were selected and literature review, site visits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sustainable and practical strategies were applied including soil preservation, use of native plants and recycled materials, and water harvesting. Also, SITES has benefits to encourage an integrated design proces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public. This suggests that a certification system for landscaping and outdoor environments needs to be developed to ensure sustainable site development, which helps extend the role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fession in sustainable design.

Research on creating information map for water-friendly facilities based on RS/GIS (RS/GIS 기반 친수시설 정보맵 작성 연구)

  • Kim, Seong J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2-222
    • /
    • 2021
  • 도시 내 하천 친수공간은 레저 및 여가를 위한 공간과 더불어 자연경관 및 생태체험 등의 다목적으로 활용되어 지역사회에 있어 중요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 4대강 사업으로 국가하천 내 휴식공간을 조성하였다. 그 후 친수지구 중에서 이용도가 저조한 곳을 해제하였으며, 현재 297개의 친수지구를 중점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친수지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보수 비용들을 지자체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친수지구 지정 후 운영단계에서 지역 주민들의 특성 및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하천 친수공간에 대한 정보구축은 조사원 조사, 유지관리 기관 조사 등 인적 조사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으로 많은 비용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DB 갱신 부분에도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S/GIS를 기반으로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 작성 방안 연구와 친수시설 뿐만 아니라 유역조사 시 하천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대저생태공원과 삼락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지역 항공영상의 정합 및 전처리를 실시한 후 QGIS를 활용하여 LSMS(Large-Scale Mean Shift) 기법으로 시설물 분류를 실시하였다. 공원 내 친수시설 분류를 위해 공간 반경(Spatial radius)를 10 ~ 25까지 변화시키면서 최적 분류 결과를 도출하는 공간 반경을 찾았으며 친수시설 규모와 시설의 특성에 따라 공간 반경을 조절하여 친수시설 분류맵을 작성하였다.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분류맵과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현황 및 친수시설별 코드와, 위치정보(위도, 경도 및 표고), 면적 및 관리현황으로 분류하여 입력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친수시설 자동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전국 단위 통합 하천관리체계 구축 및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을 작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