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오차

Search Result 1,55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Robust Receiver for 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 under Channel Information Errors (채널 정보 오차에 강인한 일반화 공간변조 수신기)

  • Lee, JaeSeong;Woo, DaeWi;Jeon, EunTak;Yoon, SungMin;Lee, Kyungch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1
    • /
    • pp.45-51
    • /
    • 2016
  •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terative maximum likelihood (ML) receiver for 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 systems. In the proposed ML receiver, to mitigate the deleterious effect of channel information errors on symbol detection, the instantaneous covariance matrix of effective noise is estimated, which is then used to obtain improved ML solutions. The estimated covariance matrix is updated through multiple iterations to enhance the estimation accurac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L receiver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ML detection scheme, which does not take the effect of channel information errors into account.

A Pilot Project to Measure Propagated Error in Buffering Process (버퍼링 과정에서의 오차전파 측정을 위한 선험 프로젝트 수행)

  • Yu, Ki-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9 no.2 s.18
    • /
    • pp.17-27
    • /
    • 2001
  • Buffering is one of the popular spatial analytical functions widely used in many proximity analyses. The buffeting inevitably entails a new polygon of specified edge that is simulated by rolling a ball around the buffering object. While buffering, the error on the buffering object propagates to the new buffered object. In this paper the error propagation behavior during the buffering operation is analyzed based on a pilot project for two different data models: polyline and spline curve. Thus, the error on the buffered objects are classified, mathematically defined, and measured. For measurements, the pilot project is designed and performed using a test site that is a lake boundary at Wisconsin, USA.

  • PDF

Error Budget Analysis of Pseudorange for Improving the GPS Positioning Accuracy (GPS 위치정확도 향상을 위한 의사거리 오차의 분석에 관한 연구)

  • Kim, Yong-Il;Kim, Dong-Hyun;Kim, Byung-G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4 no.2 s.8
    • /
    • pp.79-90
    • /
    • 1996
  • It is well known that point positioning using a C/A-code receiver is severely biased by errors in pseudorange. This paper shows the procedures of quantitive analysis for several error elements and that some methods to monitor SA(selective availability) of witch process is not opened are proposed.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effects of SA in the Doppler shift and receiver clock drift variation. Easy methods to reduce SA effects are to fit second order polynomials for the one and a linear function for the other. With periodic autocorrelation functions. SA effects are analyzed and first order Gauss-Markov process parameters are decided.

  • PDF

Improved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Using Local Mean and Spatial Variation (국부 평균과 공간 변화량을 이용한 개선된 에지 강조 오차확산법)

  • Kwak Nae-J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2
    • /
    • pp.221-228
    • /
    • 2005
  • The paper proposes the improved error diffusion halftoning system to enhance the edges using the spati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isual system. The proposed method computes a spatial variation(SV),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ixel luminance and the average of its $3{\times}3$ neighborhood pixels' luminances weighted according to the spatial positioning. Information of edge enhancement(IEE) Is computed using the SV and the local average luminance. The IEE is added to the quantizer's input pixel and feeds into the halftoning quantizer. The quantizer produces the halftone image having the enhanced edg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by measuring the edge correlation. The halftone imag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show better quality due to the enhanced edge. And the detailed edge is preserved in the halftone imag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 PDF

KSTAR 중성입자빔 소송라인 해석

  • 임기학;권경훈;조승연;김진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37-37
    • /
    • 1999
  • KSTAR(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핵융합 토카막 실험 장치의 플라즈마 가열을 위한 수소 중성입자빔 수송라인 내에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열속 및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빔의 통과율을 해석하였다. 43cm$\times$12cm 크기의 이온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빔의 공간적 분산은 기본적으로는 Gaussian 분산(수직바향으로 1.2$^{\circ}$, 수평방향으로 0.5$^{\circ}$)의 형태를 가지지만 이온 가속 전장의 공간적 불균일로 인해 Gaussian 분산에서 다소 벗어나는 형태를 띠게 되는데, 이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정립하였다. 해석에 고려된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이온원을 수많은 점원의 집합으로 가정하여 각각의 점원으로부터 주어진 공간적 분산을 가지는 이온들이 방출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방출된 이온은 중성화 과정을 거쳐 40%의 이온만이 중성입자화되며, 중성화되지 않은 60%의 이온들은 bending magnet에서 ion dump로 유도되어 사라지며, 나머지 중성입자들은 직진 운동을 하게 된다. 빔 진행 도중 빔 중앙에서 크게 벗어나는 일부 중성입자들은 여러 겹으로 존재하는 빔 collimator에 의해 단계적으로 제거되며, 일부 중성입자들은 잔류 수소기체에 의한 재이온화 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여기서는 정립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이들 collimator에서 제거되는 양 및 재이온화 손실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플라즈마에 입사되는 중성입자 빔을 계산하였다. 한편, 빔 수송라인 설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설치 오차를 이온원 설치시의 오차와 빔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로 구분하여 이들의 의한 영향도 계산하였다. Gaussian 분산을 가정하였을 경우, 이온원에 가장 근접하여 설치되는 collimator에 가해지는 수직성분의 열속은 9.7kW/cm2로 계산되었다. 이 열속을 제어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서 collimator는 빔 라인과 거의 나란하게 설치될 것이다. 빔의 통과율은 약 33%로서 하나의 이온원에서 방출된 7.8MW 중 2.5 MW만이 플라즈마에 전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on-Gaussian 분산의 경우, 최대 열속은 9.1kW/cm2로 다소 낮아졌으나, 빔통과율은 28%정도로 더욱 낮아졌다. 설치상의 오차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면, 이온원이 1$^{\circ}$ 정도 기울어지게 설치된다면 collimaor에 가해지는 최대 열속 및 빔통과율은 약 15kW/cm2, 16.6% 정도로 나타나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collimator 설치상의 오차의 영향은 이보다 훨씬 작아 5mm 오차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최대 열속은 12kW/cm2까지 증가했으나, 빔 통과율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 PDF

Error analysis and performance test of the volumetric interferometer for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measurements (삼차원 좌표 측정을 위한 부피 간섭계의 오차분석 및 성능평가)

  • 이혁교;주지영;김승우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3 no.6
    • /
    • pp.521-529
    • /
    • 2002
  • We have recently proposed the new concept of a phase-measuring volumetric interferometer that enables us to accurately measure the xyz-coordinates of the probe without metrology frames. The interferometer is composed of a movable target and a fixed photo-detector array. The target is made of point diffraction sources to emit two spherical wavefronts, whose interference is monitored by an array of photo-detectors. Phase shifting is applied to obtain the precise phase values of the photo-detectors. Then the measured phases are fitted to a geometric model of multilateration so as to determine the xyz-location of the target by minimizing least square errors. The proposed interferometer has been designed and built with a volumetric uncertainty of less than 1.0 $\mu\textrm{m}$ within a cubic working volume of side 120 mm. Here, in this paper, we also present error sources, an evaluated uncertainty, and test results from the prototype system. The self-calibration of two-dimensional precision metrology stages is applied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interferometer.

Rainfall Seasonality and Estimation Errors of Area-Average Rainfall (강수의 계절성과 면적평균강수량의 추정오차)

  • Yoo, Chul-S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5
    • /
    • pp.575-581
    • /
    • 2002
  • This study evaluates the variation of estimation error of area-average rainfall due to rainfall seasonality. Both the cases considering and not considering the spatial correlation are compar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stimation error. Similar cases with different accumulation time without considering the rainfall seasonality are also investigated.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Geum-river basin with total 28 rain gauge measurements haying more than 30 years of daily rainfall measurements. As results of the study we found that: (1) The absolute estimation error of monthly area-average rainfall show strong seasonality like the total rainfall amount. However, the relative estimation error normalized by its mean was estimated to have similar values about 5 to 8% except January and December. (2) The relative estimation error of annual area-average rainfall estimated was found to have the estimation error about 3% of its annual mean. (3) However, the relative estimation error normalized by the standard deviation remains almost the same for both monthly and annual rainfall amounts, which was estimated about 11% of its standard deviation. (4) Finally, the estimation error without considering the spatial correlation was found to become almost twice the estimation error with considering the spatial correlation.

Optimization of Thinned Sensor Arrays Using A Weighted Leastd Square Method (계수 최소 자승 방법을 사용한 희소어레이의 최적화)

  • 장병건;전창대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17-120
    • /
    • 1999
  • 본 논문은 희소어레이의 패턴을 원하는 패턴과 실제 희소어레이의 패턴간의 오차의 계수적 자승치를 최소화하여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센서의 간격이 어레이 중심에 관하여 대칭인 경우와 비대칭인 경우에 대하여 성능을 점검하며, 어레이 공간의 주어진 영역의 오차함수에 성능 향상을 위하여 계수를 적용한다. 주빔 부근의 측면롭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하여 지수 함수적인 계수를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측면롭의 수준이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는 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입력잡음신호가 어레이 공간상에 균등하게 입사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공간선형모형을 이용한 전산실험의 분석

  • Park, Jeong-Su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17-24
    • /
    • 2006
  • 오늘날 과학 및 공학연구를 위하여 복잡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전통적 물리적 실험이 입력수의 한계와 출력의 측정오차를 가지는 반면 시뮬레이션 실험 또는 전산실험은 입력수에 제한이 거의 없고 대부분 출력 또한 측정오차가 없거나 매우 작다. 이러한 전산 실험의 분석을 위해 비교적 새롭게 등장한 통계적 방법이 DACE(Design and Analysis of Computer Experiments)이나. 본 발표에서는 이 DACE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간단히 소개하고, 실제로 기계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된 사례를 보이고, 향후 연구방향 등을 논의하겠다. 특히 시뮬레이션 코드에 존재하는 절대상수의 추정문제(calibration)와 공간선형 모형의 최적선택을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 PDF

Analysis of Baseline Vector by Different Ephemeris (GPS궤도력에 따른 삼각망의 기선벡터해석)

  • Jung, Young-Dong;Park, Jung-Nam;Park, Sung-Kyu;Kang, Sang-Gu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9-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광주를 고정으로 전라남도 4점과 전라북도 5점으로 삼각망을 구성하고 각 측점에서 관측한 데이터를 방송력과 정밀력을 이용하여 기선 해석을 실시하고 기선거리별 궤도력의 영향을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전라남북도에 이르는 GPS관측망의 궤도력에 따른 각 기선별 오차분포를 정량화 할 수 있었고, 정밀력을 이용한 기선해석은 기준 공분산 값이 모두 1 미만으로 나타나 두 지역간의 지역적 변환계수와 지구중심절대좌표를 선정함에 있어 과대오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