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영역

Search Result 3,87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ignaling Method for Spatial Information of UWV media under MPEG Media Transport Environment (MPEG Media Transport 환경 내 UWV 미디어 공간정보 시그널링 방안)

  • Kim, Junsik;Kang, Jeonho;Lee, Euisang;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23-126
    • /
    • 2017
  • UWV(Ultra Wide View) 미디어 전송 시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단말기의 자원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관심 영역만을 제공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의 영상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영상들의 공간적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MT(MPEG Media Transport)의 CI(Composition Information) 문서를 이용하여 UWV 를 구성하는 미디어들의 공간적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에게 관심 영역의 미디어들을 제공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서버가 사용자에게 미디어들의 화면 구성에 대한 공간적 정보와 재생에 필요한 시간적 정보를 MMT CI 문서에서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관심 영역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Signaling Message 를 정의한다. 서버는 본 논문의 기법을 통해 MMT 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사용자에게 관심 영역의 미디어들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Instructional Sequences Related to Spatial Sense (공간 감각 관련 지도 내용 계열 분석)

  • Choi Kyung Suk;Paik Seok Y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8 no.1
    • /
    • pp.63-87
    • /
    • 2004
  • This study was composed of series of guidance contents in the sub-field of spatial sense from the 7t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eries theory by the level by Gagne & Briggs. As for the guidance contents in this field, this study discovered that it had ‘experiencing the various space senses’,‘operating it mentally (internalization)’, and ‘utilizing and expressing the space sense mathematically’ in order largely. The contents of series constitution by the subject and by the stage, a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 and valuation standard by the stage.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gration method of spatial index in ORDBMS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환경에 적합한 공간 색인 통합 방법의 비교 연구)

  • Lee, Min-Woo;Park, Soo-Hong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75-80
    • /
    • 2004
  • 최근 공간 데이터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증가하면서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사용자 정의 타입과 사용자 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기존의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는 형태로 개발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공간 인덱스와 같은 사용자 정의 인덱스를 확장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공간 영역 질의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인덱스를 개발하고 객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통합시킬 수 있는 방법인 GiST와 Relational Indexing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이들 방법을 이용하여 공간 인덱스를 구현하고 공간 영역 질의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여 보다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patial Hashing: Dynamic Index Structure for Spatial Objects (공간 해싱: 공간 객체에 대한 동적 색인 구조)

  • 김용환;황수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270-272
    • /
    • 1999
  •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지리 정보 시스템 등은 2차원 이상의 공간 속성을 갖는 공간 객체들로 구성되며 데이터 양이 매우 방대하여 효율적인 공간 색인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공간 색인 기법들은 공간 객체의 크기와 밀도 차이, 공간 연산의 종류에 따라 각각 큰 성능차를 보이며 때로는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 객체의 크기와 밀도 차이에 독립적인 하나의 색인 구조로 다양한 공간 연산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공간 색인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 색인 기법인 공간 해싱(spatial hashing)을 제안하고 관련연산들을 정의하였다. 공간 해싱은 각 객체의 영역을 MBR로 단순화하고 그 MBR의 좌상점(Left-Top point)와 우하점(Right-Bottom point) 만을 이용해 객체의 영역 정보와 위치 정보를 확장성 해싱을 이용하여 유지하는 색인 기법이다.

  • PDF

A Real-time Video Watermarking Technique Using Spatial and Frequency Domain Feedback (공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을 이용한 실시간 비디오 워터마킹 기술)

  • 이한호;채종진;최종욱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6 no.2
    • /
    • pp.169-176
    • /
    • 2001
  • Most of the previous video watermarking algorithms cannot be supported by real-time video processing. The maul reason is that in order to develop a robust algorithm the watermarking technique requires a very high computational cost when embedding and extracting the watermark in various frequency domains. Previous embedding methods simultaneously try to compress a video by MPEG and embed a watermark supporting real-time processing. However, In this paper, our proposed algorithm can support real-time processing in both spatial and frequency domains. First. the watermark is created on the courier transform domain, and next is inverse-Fourier-transformed ; then, we directly embed it into the video frame In the spatial domain. This procedure does not require a lot of the computational cost during embedding because of the spatial domain processing. Also, it is possible to support a video stream service and a very robust algorithm from MPEG compression and various geometric attacks.

  • PDF

Geometry Transformation in Spatial Domain Using Coefficient Changes in Frequency Domain toward Lightweight Image Encryption (주파수 영역에서의 계수 값 변환에 의한 공간 영역에서의 기하학적 변환과 이를 이용한 이미지 경량 암호화)

  • Joo, Jeong Hyun;Yi, Kang
    • Journal of KIISE
    • /
    • v.42 no.2
    • /
    • pp.162-168
    • /
    • 2015
  • Image data is mostly stored in compressed form because of its huge size. Therefore, a series of cumbersome procedures is required to apply a transformation to image data: decompression, extraction of spatial data, transformation and recompression. In this paper, we employ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to change the spatial presentation of images. DCT is commonly used in still image compression standards such as JPEG and moving picture compression standards such as MPEG-2, MPEG-4, and H.264. In this paper, we derived mathemat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metry transformation in the spatial domain and coefficient changes in the DCT domain and verified it with images in the JPEG file format. Because of the efficiency of transform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our findings can be utilized for light-weight partial image encryption for privacy data protection or entertainment contents protection.

A relationship among types of museum spac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collections (박물관 공간구성이 방문객수와 소장품수에 대해 갖는 관계)

  • Kim, Jung Hyun;Shin, Hyung-Deok;Park, Ji Hyon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
    • no.49
    • /
    • pp.65-8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ype of museum space, number of visitors, and number of collections. Museum space has been sorted in various ways(e. g. Seo, 2008; Lee, 2008; Ambrose & Paine, 2012), but this study adopted Lord et al. (2012)'s typology, which has public/non-public and collection/non-collection space, considering that Korean museums' space fits their typology. Using 853 museum data our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public-collection spa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visitors is bigger, while non-public-collection spa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number of collections.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showing there are differential relationship among those physical museum characteristics and museum performanc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Color and Block Region Features (컬러와 블록영역 특징을 이용한 내용기반 화상 검색)

  • 최기호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7 no.6C
    • /
    • pp.610-618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new image retrieval method that is based on color space and block region information. The color space information of images can be obtained by color binary set, and the block reg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regional segmentation and feature. The candidate images are decided by comparing with color features and its binary set of query image and image feature database for retrieval.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hat the retrieval using similarity-measurements has the weights of color spatial distribution arid its objective block region features. This retrieval method using color spatial and block region features is shown with the effectiveness on the result of implementation on image database with 6,000 images.

Three Step Face Region Detection Using Wavelet Packet Analysis (Wavelet Packet Analysis를 이용한 3단계 얼굴 영역 추출)

  • 안미선;송호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370-37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정지 영상을 대상으로 상반신 인물 영상이 입력되었을 때,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얼굴 추출과정은 1단계로 영상 내 피부색 영역을 추출한 다음, 후보 영역들에 대한 공간적 제한조건을 이용하여 1차 얼굴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2단계에서는 얼굴 구성 요소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서 눈 영역을 탐색하고, 눈 영역을 기준으로 한국인의 얼굴에 대한 구조적 통계값을 적용한다. 이로서 얼굴 포함 최소 사각형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영상 내 색상 정보와 공간 정보 그리고 구조적 통계치로부터 결정된 얼굴 후보 영역에 대하여 얼굴 영역의 텍스춰(texture)를 Wavelet Packet Analysis를 이용해 조사함으로써 얼굴 영역을 확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2단계에서 대부분의 얼굴 영역이 결정되지만 3단계에서 얼굴 내 텍스춰 정보를 활용하면 보다 적절한 얼굴 포함 사각형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Hybrid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Reinterpreted by the Idea of Liminal Space (역공간(Liminal Space) 개념으로 해석한 현대도시 공공공간의 혼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Zoh, Kyung-Jin;Han,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4
    • /
    • pp.49-59
    • /
    • 2011
  • This study is a reinterpretation of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with a view to liminal space. The conditions of pubic space now cannot be captured through the existing discourses of publicness, and public space. The basic premise of the study is that the idea of liminal space or liminality is useful to grasp the fluid and hybrid attribute of public space in contemporary cities. Liminal space, originally from anthropological studies, is the intermingled stage between two realms and the sustained period of the ritual. The idea has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cultural phenomenon and spatial experiences. A literature review on public space and liminal space was carried out. Cases pertaining to public space with a view to liminal space were examined and discussed in detail. Through the careful reading of several public spaces with an angle toward liminal space, the new perspective toward public space will be drawn out. First, we need to emphasize the fluid spectrum of public space rather than the serial stage such as the public, the semi-public, the semi-private, and the private. Second, the idea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lexible state depending upon time. What we can learn from case studies is the volatile characteristics in public space as a common phenomenon support its vitality. This interpretation will contribute to the perception of a new horizon of public space. The nature of public space is unpredictable and free. In reality, the spectrum of public space will expand and fluctuate. Ironically, public space can be vitalized through enhancing and activating the private space. The intimate and complicated interface between the two realms is a key issue. The boundary of public space might be redefined to embrace the flexible the fragile nature of changing public space. These research implications will guide the thoughtful design and management of pubic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