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영역

Search Result 3,876, Processing Time 0.075 seconds

A Region Splitting Strategy for Spatial Access Structures Using Transformation Techniques (변환기법을 이용한 공간 액세스 구조의 영역분할 전략)

  • Yoon, Dong-Ha;Lee, Jong-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09-112
    • /
    • 2002
  • 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기법은 최적의 질의처리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액세스 구조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변환기법을 이용한 공간 액세스 구조의 물리적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를 위한 영역분할 전략을 제시한다. 변환기법을 이용한 공간 액세스 구조는 원공간(original space)에서의 공간 객체들을 공간의 차원을 두 배로 하는 변환공간(transformation space)내의 점 객체들로 변환하여 관리하는 방법이다. 먼저, 원공간에 주어지는 모든 공간 질의가 변환공간에서는 한가지 형태의 범위 질의로 변환되는 특징이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변환공간상에서 이 범의 질의가 위치하는 질의 영역의 모양과 데이터 페이지가 위치하는 페이지 영역의 모양 사이의 관련성을 이용하여 질의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역분할 전략을 제안한다. 성능평가의 결과에 의하면, 주어진 질의 패턴에 따라 최적의 공간 액세스 구조를 구성할 수 있었으며, 이차원 원공간에 대한 사차원 변환 공간인 경우에 질의의 형태에 따라 질의처리의 성능이 다섯배 이상까지 향상되었다.

  • PDF

Grouping Method Based Query Range Density for Efficient Operation Sharing of Spatial Range Query (공간영역질의의 효율적인 연산 공유를 위한 질의영역 밀집도 기반의 그룹화 기법)

  • Lim, Jung-Hyeun;Shin, Soong-Sun;Baek, Sung-Ha;Lee, Dong-Wook;Kim, Kyung-Bae;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348-351
    • /
    • 2009
  • 유비쿼터스 사회를 실현하는 핵심기술인 u-GIS 공간정보 기술은 데이터 스트림 처리 시스템(Data Stream Management System)과 지리정보 시스템(Geography Information System)이 결합된 플랫폼인 u-GIS DSMS를 요구한다. u-GIS DSMS는 GeoSeonsor에서 수집되는 센서 테이터와 GIS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처리하는 공간영역질의가 다수 요구된다. 이런 공간영역질의들은 특정 지역에 밀집하게 등록되는 경향이 있으며, 유사한 프리디킷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특징은 공간영역질의가 특정 지역에 밀집되면 다수의 비슷한 연산들이 반복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시스템 성능이 저하 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역질의 색인기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VCR-Index와 CQI-Index 기법은 질의영역을 셀 구조나 가상구조로 분할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자원 및 연산을 공유 할 수 없어 질의 처리 속도가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대량의 공간영역질의 처리에는 부적합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영역질의의 효율적인 연산 공유를 위한 질의영역 밀집도 기반의 그룹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질의영역의 밀집도를 이용하여 공간영역질의들을 그룹화 후 색인을 구성한다. 색인된 영역들의 데이터는 단일 큐로 구성 후 질의들의 프리디킷을 분석하여 자원 및 연산 공유기법을 통해 기존의 기법보다 처리 속도 향상 및 메모리 사용을 감소시켰다.

A Multi-dimensional Range Query Processing using Space Filling Curves (공간 순서화 곡선을 이용한 다차원 영역 질의 처리)

  • Back, Hyun;Won, Jung-Im;Yoon, Jee-Hee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8 no.2 s.17
    • /
    • pp.13-38
    • /
    • 2006
  • Range que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erations for spatial objects, it retrieves all spatial objects that overlap a given query region in multi-dimensional space. The DOT(DOuble Transformation) is known as an efficient indexing methods, it transforms the MBR of a spatial object into a single numeric value using a space filling curve, and stores the value in a $B^+$-tree. The DOT index is possible to be employed as a primary index for spatial objects. However, the range query processing based on the DOT index requires much overhead for spatial transformations to get the query region in the final space. Also, the detailed range query processing method for 2-dimensional spatial objects has not been studied ye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ulti-dimensional range query processing technique based on the DOT index. The proposed technique exploits the regularities in the moving patterns of space filling curves to divide a query region into a set of maximal sub-legions within which space filling curves traverse without interruption. Such division reduces the number of spatial transformations required to perform the range query and thus improves the performance of range query processing. A visual simulator is developed to show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performance of our technique.

  • PDF

Adaptive Range Aggregation Index Method for Efficient Spatial Range Query in Ubiquitous Sensor Networks (USN환경에서 효율적인 공간영역질의를 위한 적응형 영역 집계 인덱스 기법)

  • Li, Yan;Eo, Sang-Hun;Cho, Sook-Kyoung;Lee, Soon-Jo;Bae, Hae-Yeo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9 no.2
    • /
    • pp.93-107
    • /
    • 2007
  • In this paper, an adaptive range aggregation spatial index method is proposed for spatial range query in ubiquitous sensor networks. As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s are the new information-oriented paradigm, many energy efficient spatial range query methods in ubiquitous sensor networks environment are studied vigorously. In sensor networks, users can monitor environment scalar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user defined time and spatial ranges. In order to execute spatial range query efficiently, rectangle based index methods are proposed, such as SPIX. But they define the return path as the opposite of its query transmit path. However, the sensor nodes in queried ranges are closed to each other, they can't aggregate the sensed value in a queried range because their query transmission paths are different. As a result, the previous methods waste energy unnecessarily to aggregate sensing data out of the queried range. In this paper, an adaptive aggregation index method is proposed that can aggregate values in a user defined range adaptively by using its neighbor information. It is shown that sensor power is saved efficiently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ov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 PDF

Face Detection using Skin-tone Color Space Table (피부-색상 공간 테이블을 이용한 얼굴 검출)

  • 고경철;이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381-38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실험 영상으로부터 학습된 피부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컬러 공간테이블을 생성한 후. 입력된 영상의 컬러와 공간정보를 학습된 피부색상 공간테이블로부터 비교, 분석하여 얼굴후보영역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추출된 후보영역의 레이블된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지역적 특징을 찾아낸 후 얼굴 특징점의 위치에 따른 형태정보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피부색상(Skin-tone)공간테이블은 변환하기 쉽고 계산이 빠른 RGB컬러 공간에서 실험, 평가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입력된 영상의 정규화된 책상 값을 유사성 정도에 따라 레이블링하여 보다 빠른 얼굴 후보 영역의 검출과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조작활동의 지도 방안

  • Kim, Chang-Il;Kim, Sin-Jw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83-192
    • /
    • 2002
  • 자기 주위의 상황과 그 물체에 대한 직감(intutive feeling)을 뜻하는 공간감각은 수학교육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로서, 수학과 과학에서 다른 영역을 공부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주위의 구조와 대칭성을 볼 수 있게 도우며, 모든 수학에서 창의적 사고를 지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학년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되는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여역에 ‘공간감각 기르기’를 신설하여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공간감각 지도의 변천과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 영역의 학습 내용을 비교,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의 공간감각영역의 학습내용을 살피고, 현행 7차 교육과정에 의거 초등학교 2학년의 공간감각 영역의 교수 ${\cdot}$ 학습과정을 실제 적용, 이후 아동의 학습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의 공간감각 형성을 위한 여러 가지 지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러한 수업으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감각 영역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몇 가지 기술하였다.

  • PDF

Cell Leveling Spatial Indexing Technique to Support Location Based Query (위치 기반 질의를 지원하기 위한 셀 레벨링 공간 색인 기법)

  • 정연욱;김유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127-129
    • /
    • 2003
  • 최근 GPS기능을 탑재한 휴대폰ㆍPDA등의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LBS : Location Based Service)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효율적 검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색인이 필요하다.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다차원 공간 색인 기법으로는 R-Tre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R-Tree를 이용한 검색은 질의 영역과 관계없는 공간 데이터까지 검색하는 고비용의 연산이 요구되며, 사용자의 질의 위치 단위(Granularity)를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의 빠른 검색 응답시간 및 질의 영역에 대한 정확한 공간 객체 검색에 대해 충족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임의의 셀 안에 존재하는 공간 데이터가 자신이 속한 노드의 전체 MBR(Union MBR)영역과 셀 영역에 따라 셀 레벨 값을 구성하는 CLR-Tree(Cell Leveling R-Tree)를 제안한다. CLR-Tree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질의 영역 셀 레벨 값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간 데이터의 셀 레벨 값을 비교한 뒤 겹침 연산 대상이 되는 공간 객체 수를 줄임으로써 검색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Motion Adaptive Temporal-Spatial Noise Reduction Scheme with Separated Pre- and Post-Spatial Filter (분리된 전처리 및 후처리 광간영역 필터를 가진 움직임 적응적 시공간영역 잡음 제거 기법)

  • Kim, Sung-Deuk;Lim, Kyoung-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5
    • /
    • pp.40-47
    • /
    • 2009
  • A motion adaptive video noise reduction scheme is proposed by cascading a temporal filter and a spatial filter. After a noise-robust motion detection is performed with a pre-spatial filter, the strength of the motion adaptive temporal filter is controlled by the amount of temporal movement.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temporal correlation of video signal, noisy input image is processed first by the temporal filter, therefore, image details of temporally stationary region are quite well preserved while undesired noises are suppressed. In contrast to the pre-spatial filter used for the robust motion detection, the cascaded post-spatial filter removes the remained noises by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temporal filter and the spatial self-similarity search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patial filter.

Association Between the Addiction of SNS and Ego-Identity of Youth's in Both Reality and Cyber Space (청소년의 SNS중독과 현실공간 및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의 관계)

  • Shin, Hye-Sun;Yun, Seok-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8
    • /
    • pp.225-23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ale/female teenagers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ir attachment to social media and their self-identity in both real space and cyberspace. Among the subjects, male teenagers tended to use social media more than female teenagers. Also, the more friends/followers they have, the more they would use the service itself. In the subordinate correlation of the subjects' self-identity in both cyberspace and real space, most are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each subregion of the areas of real-space ego-identity and social media addi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m as well. On the other hand, in areas of social media addiction and cyberspace ego-identity, all are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except the area of dominance.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proven apparent that there needs to be proper management of teenagers that are overusing and are addicted to social media, and tha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mediate the subjects in regards to each subregion of real space and cyberspace ego-identity.

A New Stereo Matching Algorithm Using Distribution of Match Values in Disparity Space (변위 공간상의 정합값 분포를 이용한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

  • 김재철;이경무;이상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661-66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을 특성에 따라 국부 영역으로 분류하고 변위 공간(disparity space)상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각각의 영역에 적합한 윈도우의 크기를 정하는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텍스쳐(texture)가 적은 영역이나 텍스쳐가 반복되는 영역, 그리고 깊이의 불연속선상에서는 고정된 크기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영역 기반 스테레오 기법은 잘 동작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역들의 변위 공간상에서의 정합 값 분포를 분석하여 스테레오 정합에 이용한다. 실험은 변위의 참값이 알려진 영상에 대해서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짧은 수행 시간 및 정확한 정합 결과를 보여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