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빅데이터

Search Result 30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dministration Process Extension and Public Data Convergence Management (행정 프로세스 확장에 따른 공공 데이터 융합 관리 방안)

  • Kim, Sang 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5
    • /
    • pp.41-49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novative government's administrative services to the public by reflecting the social implications of 'Big Data'. In particular, the idea of OPP (Order Penetration Point) and SOP (Service Offering Point) as a management scheme for the extension of administrative processes into the resident's living space is proposed to overcome the inherent limits of e-government service quality, the root cause of which is believed in the segregation of two spaces - the resident's living space and the government's offices. Furthermore, a discussion is made on how to integrate sensor data from the resident's living space with traditional administrative database, which is a new challenge in the course of synchronizing the two spaces. The implications on the process extension are also provided centering around the shift from reactive to proactive services.

Priority Area Prediction Service for Local Road Packaging Maintenance Using Spatial Big Data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도 포장보수 우선지역 예측 서비스)

  • Minyoung Lee;Jiwoo Choi;Inyoung Kim;Sujin Son;Inho Choi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3
    • /
    • pp.79-101
    • /
    • 2023
  • The current status of local road pavement management in Jeollabuk-do only relies on the accomplishments of the site construction company's pavement repair and is only managed through Microsoft Excel and word documents. Furthermore, the budget is irregular each year. Accordingly, a systematic maintenance plan for local roads is necessary. In this paper, data related to road damage and road environment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to derive possible areas which could suffer from road damag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ology was reviewed through the on-site inspection of the area.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2018, the number of damages on general national roads were about 47,000. In 2019, it reached around 38,000. Furthermore, the number of lawsuits regarding the road damages were about 93 in 2018 and it increased to 119 in 2019. In the case of national roads, the number of damages decreased compared to 2018 due to pavement repairs. To measure the priorities in maintenance of local roads at Jeollabuk-do, data on maintenance history, local port hole occurrence site, overlapping business section, and emergency maintenance section were transformed into data. Eventually, it led to improvements in maintenance of local roads. Furthermore, spatial data were constructed using various current status data related to roads, and finally the data was processed into a new form that could be utilized in machine learning and predictions. Using the spatial data, areas requiring maintenance on pavement were predicted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establish new budgets and policies on road management.

해상 빅데이터 기반의 공간지도를 활용한 황산화물 배출규제 효과 분석

  • ;;;AKHAHENDA WHITNEY KHAYENZEL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7-139
    • /
    • 2023
  • MARPOL (Maritime Pollution Treaty) 부속서 (Annex VI) 경우 대기오염 규제 내용이며, 최근 선박 배기가스 배출규제 강화 목적 개정됨에 따라 관련 규정을 충족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Sulfur Dioxide (SOx, 황산화물) 경우 2020년 기준 전 세계 해역 내 운항하는 선박은 황 함유량 0.5% 기준의 배출 요구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배출규제 해역 지정 시 해당 해역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계산 산정 기준 확립이 필요함에 따라 대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화물 배출량 산출 방법론으로써 그리드 셀 내 선박 점유시간을 계산한다. 점유시간이 길수록 선박 통항 및 배기가스 배출이 밀집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밀집도 분석에 더불어 선박의 특성이 반영된 시간당 배출량을 적용하여 배출 공간 인벤토리를 구축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환경에서 공간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기존 국내 황산화물 배출규제 해역의 효과 평가에 더불어 외항 범위까지 규제 확대 시나리오확립 후 비교 평가를 통하여 배출량 감소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Hadoop-based Illegal Parking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하둡 기반 불법 주·정차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 개발)

  • Jang, Jinsoo;Song, Youngho;Baek, Na-Eun;Cha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1a
    • /
    • pp.167-170
    • /
    • 2017
  • 자동차 보급 증가로 인한 주차 공간 부족 문제는 불법 주정차 차량 발생의 원인이 되어, 교통 체증을 야기하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불법 주정차 문제 해결을 위한 법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불법 주정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의 발달에 의해 데이터의 양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아울러 공공 데이터의 양도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공공 빅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불법 주정차 데이터와 같은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주 정차 단속을 위한 하둡 기반 불법 주 정차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Big Data Visualization Strategy Based on Social Communication:Focusing on User Experience (UX) based on Big Data Visualization Types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빅데이터의 시각화(Big Data Visualization) 전략에 관한 연구:빅데이터 시각화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UX)을 중심으로)

  • Choo, Jin-K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
    • /
    • pp.142-151
    • /
    • 2020
  • The reason why today's public actively uses social communication is that the necessary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classified under the name of social big data through the web space to create the big data era, an ecosystem of information. In order for big data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public, it is necessary to visualize it easily. This study categorized the types of visualiz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social big data, and targeted the experienced students including the related majors and the general public who need to directly utilize and study the actual big data visualization as an experience evaluation targ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experienced peopl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visualization method for managing, analyzing, and utilizing the data were derived. The big data visualization strategy is to be expressed in a way that fits the data environment and user's eye level on SNS. In the future, if big data visualization is applied to product service or social trend, it will be an important data in terms of broadening its role, scope of application, and application.

Estimating runoff changes after the flood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홍수 후 유출변화 추정)

  • Sunwoo, Wooyeon;Lee, Jae Gyeong;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97-297
    • /
    • 2022
  • 홍수 발생으로 인해 야기되는 피해가 매년 일어나고 있으며, 현재 수재와 관련된 방대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어 이를 활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홍수 전후의 시공간적인 변화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여 수재 대응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 탐지 및 재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파머 가뭄 지수(PDSI), 강우량, 유출량, 실제 증발산량(AET), 대기 온도 등의 수재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지수분석을 통해 공간 변화를 파악하고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자연 현상을 다루는 환경 영역에서의 데이터 기반 연구의 가능성이 확대될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big data-based water supply and demand analysis technique for digital new deal (디지털 뉴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물수급 분석 기법 개발)

  • Kim, Jang-Gyeong;Moon, Soo-Jin;Nam, Woo-Sung;Kang, Shin-U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6-76
    • /
    • 2021
  • 물정보 중 가뭄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원인은 무엇을 가뭄으로 볼 것인지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댐 및 저수지, 광역상수도 등 수자원시스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개별 요소만을 고려한 기존 가뭄모니터링 및 전망은 현실적이지 못하며, 가뭄 위험도 관리 측면에서도 부족한 부분이 있다. 가뭄 현상의 경우 기상학적 영향인 강수의 부족이 가장 큰 요소로 기여하지만 실질적으로 국민에 필요한 양보다 적은 양의 물이 공급될 때 국민들은 가뭄을 체감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사용하는 수원 및 물수급 시설 등을 세분화하고, 실적기반 분석을 통해 분석대상 지역의 가뭄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한 합리적인 물수급 분석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즉, 공간분석단위를 표준유역 단위 이하의 취방류 시설물을 기준으로 구성하고, 이들 시설물의 운영정보와 수문기상 빅데이터를 연계한 물순환 모형을 구현함으로써 댐, 저수지, 하천 등 다양한 수원을 가지는 유역 내 가용 수자원량을 준실시간 개념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을 중심으로 물수급 관련 수요·공급 시설의 위치를 절점으로 부여하고 연결하는 물수급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통해 빅데이터 기반 물수급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요 모니터링 지점 및 모든 이수 시설의 위치를 유역분석 기법을 통하여 점(point), 선(line), 면(shape)으로 구성된 지형공간정보의 위상(topology) 관계를 설정하여 물수급 분석의 계산순서를 선정하고, 시계열 DB를 입력하여 지점별 물수급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권역별 주요 수위-유량관측소 1:1 Nash 계수를 검증한 결과 저유량에서 0.8 이상의 높은 재현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물수급 분석 모형은 향후 물관련 이슈 지역의 용수공급능력 평가 및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등 다양한 수자원 정책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공간분석을 통한 연안해역 해상교통망 식별

  • 조익순;이정석;김학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57-58
    • /
    • 2023
  •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급증하는 해상풍력단지 등 대규모 해양개발 행위로 인해 무분별한 해역을 점용하게 됨에 따라, 과거 관습적으로 이용해오는 해상교통로와 상충되어 발생하는 사회적 충돌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선박 대형화 및 자동화, 자율운항선박 등장 등 해상교통환경 변화에 따라 안전한 연안 해상교통환경 조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모든 연안해역의 해상교통 흐름 및 교통밀집도 분석에 따른 관습적 해상교통망을 식별하고, 이를 지정·구축하고자, 빅데이터 및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해양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검토 및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 및 식별된 결과는 DB화하여 디지털 GIS 관리시스템과 연계하도록 추진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