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보간

Search Result 378,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Estimating Missing Precipitation Data in Not Covered Area by Climate Change Scenario (기후변화시나리오 데이터 누락지역의 강수자료 보완을 위한 최적 공간보간기법 선정)

  • Jang, Dong Woo;Park, Hyo Seon;Choi, Jin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14
    • /
    • 2015
  • 공간보간기법은 미계측지역의 강수예측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RCP 8.5 시나리오에 의한 남한상세 강수자료 중 지형이 복잡한 도서지역에서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 누락격자에 대하여 최적의 공간보간기법을 선정하여 강수자료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적합한 보간기법을 선정하기 위해 데이터 누락지역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최신 행정구역도에 맞추어 $1km{\times}1km$ 격자를 한반도 전체지역에 맞추어 생성된 격자를 사용하였다. ESRI사의 Arc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간보간기법을 적용하였다. 사용된 보간법은 역거리가중치법(IDW), 정규크리깅(Ordinary Kriging), 보편크리깅(Universal Kriging), 스플라인(Spline)이며 가장 적합한 공간보간기법을 선정하기 위해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한 데이터 중 해안선 주변 특정격자에서의 값을 누락시켜 공간보간기법을 통해 생성된 값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값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공간보간기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해 MAE(Mean Absolute Error), MSE(Mean Squared Error), PBIAS(Percent of BIAS), G(goodness of prediction) 분석을 수행하였고, 산점도 분석을 통해 실제값과 보간값의 오차율 평가를 병행하여 최적 공간보간기법을 결정하였다. 사용된 강수데이터는 RCP 8.5 시나리오에서 2015~2019년 중 강수가 높게 나타난 8월 자료를 이용하였다. 해안선 지역의 강수량 추정시 역거리 가중치법과 크리깅방법은 일부 지점에서 과다 추정되는 경향이 있고, 스플라인 방법이 전체적인 총 강수량이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한 실제값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값과 보간값의 교차검증을 수행한 결과 정규크리깅 기법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실제값과 유사한 범위내의 강수량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pping of Environmental Data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환경자료의 지도화)

  • Cho, Hong-Lae;Jeong, Jong-Chul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73-279
    • /
    • 2007
  • 환경분야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자료는 공간상 모든 위치에 그 값이 존재하나 모든 지점에서 자료를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몇 개의 대표 지점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미관측 지역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미관측 지점의 값을 예측하는 과정에는 공간보간 기법이 사용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지역경향면 모델, IDW, RBF, 크리깅 등의 공간보간 기법을 서울시의 미세먼지(PM10) 연평균 농도 공간보간에 적용하고 그 정확성을 살펴보았다. 정확성 평가를 위하여 예측값의 범위, RMSE, 평균오차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로부터 크리깅, RBF 기법의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Line Interpolation of Characteristic Method (공간 및 시간준위 보간 특성곡선법의 비교연구)

  • 백중철;배덕효
    • Water for future
    • /
    • v.29 no.1
    • /
    • pp.203-212
    • /
    • 1996
  • The subject research attempts to develop a new temporal interpolation scheme for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three-point time-line Lagrange interpolation Reachback (3PR) method is a temporal quadratic interpolation scheme using the three grid points near the intersection between a characteristic line and a previous time-line. The accuracy of the 3PR method is compared with those of temporal and spatial interpolation schemes such as Reachback, Upwind, and quandratic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for two pure advection problems. The results show that on the aspects of the numerical damping and/or oscillation the temporal interpolation schemes are better than the spatial ones under the same interpolation order conditions. In addition, the spatial ones under the same interpolation order conditions. In addition, the proposed 3PR method improves the accuracy of Reachback method as well as it contains the merits of time-line interpolation schemes.

  • PDF

Image Interpolation Using Multiple Neural Networks with Spa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공간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다중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영상 보간)

  • 우동헌;엄일규;김유신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5
    • /
    • pp.135-141
    • /
    • 2004
  • Image interpolation is an image enlargement method that calculates an empty pixel value using the information of given pixel values. Since a natural image is composed of various spatial frequency components, it is difficult for one method to interpolate pixels with various spatial frequenc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age interpolation method using multiple neural networks with spa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Input image is segmented according to spatial frequency by local variance, and each segmented image is interpolated using neural network established for spatial frequency band.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line doubling that becomes an important part in image interpolation because of deinterlacing. In simulation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the improved PSNR result compared with conventional algorithms and method using single neural network.

A Study of Spatial Interpolation Impact on Watershed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Study of Spatial Interpolation Impact on Watershed Rainfall (고도를 고려한 공간보간기법이 유역강우량 산정시 미치는 영향 연구)

  • Cheong, Hyuk;Jung, In-Kyun;Park, Jong-Yoon;Shin, Hyung-Jin;Lee, Ji-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70-270
    • /
    • 2011
  • 본 연구는 유역강우량을 산출을 위한 공간보간기법이 격자형 강우자료 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가장 큰 유역인 한강유역(26,018km2)을 선정하였다. 유역강우량 산출에 이용한 강우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2000~2010 년까지 11년간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108개소의 관측자료를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강우이벤트로 2004년~2009년까지 재산피해를 입힌 총 11개의 호우, 태풍 사상을 선정하였다. 공간 보간기법으로는 Thiessen법과 IDW(Inverse Distance Weight)법의 2가지 기법을 선정하였다. 대상 지역에 대하여 AWS의 자료를 기반으로 보간을 실시하여 미관측지역에 대한 격자분포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때, 격자분포자료는 국토해양부에서 분류한 19개 중권역을 기준으로 각 권역별 평균 강우량을 산출하였다. 2가지 공간보간기법을 이용한 한강유역전체 강우량 산출 결과 고도를 고려한 공간보간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한강유역의 유역평균강우량은 IDW법은 -1.81~8.1%, Thiessen법은 6.6~9.6%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연도별 편차가 증가하고 있었다.

  • PDF

A comparison of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the drought indices over South Korea (한반도 가뭄 지수에 대한 공간 보간 기법 비교)

  • Kim, Yong-Tak;Do, Ki-Bong;Lee, Jong-Hwa;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2-252
    • /
    • 2016
  • 수자원에 대한 효율적 활용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한반도 수리적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모의하고 이를 활용한 의사결정이 요구되고 있다. 한반도는 지리적 특성상 약 70%가 산학 구조로 되어 있어서 지형적 기상 현상이 복잡하여 가뭄지수의 공간 보간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지형적 특성-거리, 고도, 해양에서의 거리, 지향면 등을 고려할 수 있는 PRISM 기법을 기존의 공간 보간 기법과 비교 분석하여 한반도 전역의 가뭄 특성에 적합한 공간 보간 기법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강우 관측소중 40년 이상의 연한을 가지고 있는 60개 지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방법 간의 비교는 지점을 선정하여 추정된 오차를 기초로 하여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PRISM 기법이 복잡한 지형적 특성을 가진 지역에서 더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미개측 지역의 가뭄지수 분석을 시행하여 관측소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의 적합한 가뭄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자원 활용을 위한 적절한 의사결정 지표를 선정하고자한다.

  • PDF

Saptio-temporal Deinterlacing Based on Edge Direction and Spatio-temporal Brightness Variations (에지 방향성과 시공간 밝기 변화율을 고려한 시공간 De-Interlacing)

  • Jung, Jee-Hoon;Hong, Sung-Ho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6 no.5
    • /
    • pp.873-882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deinterlacing algorithm which interpolates the missing scan lines by weighted summing of the intra and the inter interpolation pixels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variation. In the spatial interpolation, we adopt a new edge base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which includes edge directional refinement. The conventional edge dependent interpolation algorithms are very sensitive to noise due to the failure of estimating edge direction. In order to exactly detect edge direction, our method first finds the edge directions around the pixel to be interpolated and then refines edge direction of the pixel using weighted maximun frequent filter. Futhermore, we improve the accuracy of motion detection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otion detection error using 3 tab median filter. In the final interpolation step, we adopt weighted sum of intra and inter interpolation pixels according to spatio-temporal variation ratio,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in slow moving area. Simulation results show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method with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previous methods in terms of the objective PSNR quality as well as the subjective image quality.

Application of Spatial Interpolation to Rainfall Data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 Cho Hong-Lae;Jeong Jong-Chu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1 s.36
    • /
    • pp.29-41
    • /
    • 2006
  • Geostatistical data are obtained only at selected sites even though they are potentially available at any location In a continuous surf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unknown values at unsampled locations based on observation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ccuracy of 5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local trend surface, IDW, RBF, ordinary kriging, universal kriging. These interpol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annual rainfall data. As the results of validation tests, universal kriging with gaussian variogram model showed the best accuracy in comparison with other interpolation methods. In the case of kriging, the predicted values were more accurate and within a more narrow range than other methods. In contrast with kriging, local trend surface analysis, IDW and RBF showed the wide range of predicted values and abrupt changes between neighbors.

  • PDF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oot Mean Square for Parameter Setting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 Lee, Hyu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3
    • /
    • pp.29-41
    • /
    • 2010
  •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errors of variou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used to model values at unmeasured locations was compared and the accuracy of these predictions was evaluated. The root mean square (RMS) was calculated by processing different parameters associated with spatial interpolation by using techniques such as inverse distance weighting, kriging, local polynomial interpolation and radial basis function to known elevation data of the east coastal area under the same condition. As a result, a circular model of simple kriging reached the smallest RMS value. Prediction map using the multiquadric method of a radial basis function was coincident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btained by constructing a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of the study area through the raster mathematics. In addition, better interpolation results can be obtained by setting the optimal power value provided under the selected condition.

A Study of Interpolation Methods for the Water Hammer Analysis using the Method of Characteristics (특성선 방법을 이용한 관망 수격현상 해석의 보간방법연구)

  • Jung, Bong Seog;Kim, Chu In;Kim, Sang Hyun;Park, Nam 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2 no.2
    • /
    • pp.363-373
    • /
    • 2000
  • It is necessary to employ the interpolation technique to resolve problem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 locus in time-distance space, in the unsteady analysis of pipe flow. Various interpolation methods such as linear timeline interpolation, linear spaceline interpolation, wave speed adjustment, cubic spaceline interpolation and cubic timeline interpolation have been suggested and tested to investigate the interpolation error. Performance of various interpolation techniques was evaluated both a single pipeline and a complex one. The range of error was calculated as the courant number varied between 0 and 1 in a single pipeline. Reorganization of computational element and proper selection of interpolation method are found to be prerequisites for the effective computation of unsteady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