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활용성

Search Result 4,92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ystematizing and Improving of Spatial Environment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ning (공간환경계획 수립을 위한환경정보의 체계화와 개선방안)

  • Eum, Jeong-Hee;Choi, Hee-Sun;Lee, Gil-S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9 no.2
    • /
    • pp.111-133
    • /
    • 2010
  •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notwithstanding their feasibility and potential utility in constr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spaces, has long been perceived in practice as "declarative" and a "formality." Such perceptions are largely the result of the failure to provide spatial planning that is directly relevant to development of the space in question, and to sufficiently interconnect with urban development plan. This demonstrates the need for ways to link disparate plans, i.e. to enact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onse to these issues, this study proposes the systematization of spatial environment data a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which would provide both linkages with other plans, and ensure the applicability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environmental data, and then proposed systems for links with spatial environment plan. In respect of this, the study examined spatial data systems, and then classified applicable spatial according to each environmental medium. The study also produced spatial information and planning items that can be included in spatial environment plans for each of the nine environmental media, and then constructed a system that could link th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system, current spatial environment data, and spatial environment management plan.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matters for improvement in the construction of spatial environmental data to ensure the activation of spatial environment plan. The construction of a systematic spatial database, by facilitating the smooth establishment of spatial environment plan, can enhance and upgrade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 while contributing to enhanced linkages with related spatial plans.

  • PDF

Analysis on Preferred Element on Constructing Creative Play Space Design (창의적 놀이 공간 구축을 위한 디자인 선호 요소 분석)

  • Han, Hyun-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0
    • /
    • pp.389-39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perspectives that children can provide by utilizing specific physical spaces for play, and to study how to effectively apply them to surrounding spaces and environments. AHP was used to analyze the preferred elements for effectively designing a play area. The main keywords were derived through case studies of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play space designs, and each keyword was grouped and a keyword of a higher concept was derive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14 keywords that were finally drawn using AHP for each element were used to derive the priority for the preferred elements. As a result, preference was derived in the order of "Openness", "Safety", and "Diversity" in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he play space, and "Adventure", "Five senses elements", "Visual elements" and "Interactivity" in the content properties of the play space.

Study on Development of Flood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 Waterfront (친수지구 홍수정보제공체계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Oh, Chang Yeol;Lee, JunHo;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2-212
    • /
    • 2017
  • 친수공간은 하천주변의 가치를 적극 활용하고자 공원, 캠핑장, 관광 및 레져시설 등으로 조성된 친환경적 하천공간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친수공간은 주로 제외지의 고수부지에 조성되어 있음에 따라 중규모의 강수량에도 불구하고 쉽게 침수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산강과 섬진강수계를 대상으로 공원 캠핑장 자전거도로 등 하천 내 친수지구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침수도표 및 침수정보를 제공하고, 언제 어디서나 홍수정보를 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홍수정보제공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 수계에 대하여 자료수집 및 현장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친수지구내 시설물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4대강사업이후 여건변화를 반영한 최신 지형정보 활용하여 침수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다만 친수지구 예측모형의 정확도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해 친수지구 특성을 고려한 수치표고모델의 격자크기 및 해상도를 달리하였으며, 친수지구 예측모형의 정확도 검 보정을 위해 홍수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존 홍수예보시스템의 수행능력을 개선하고, 친수지구에 대한 침수도표 및 침수정보 등의 홍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홍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침수예측모형 및 홍수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 및 보완하여 공간 홍수예보를 실현함으로써 홍수예보 모형의 정확도 및 활용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업무 담당자의 업무추진 효율성이 증대가 되고, 공간홍수예보 실현으로 친수지구를 이용하는 국민의 안전이 담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ub-surface Fault Analysis System Development Using $R^+$--tree ($R^+$-tree를 활용한 지하 단층 분석 시스템 개발 연굴)

  • 방갑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299-302
    • /
    • 2002
  • 최근의 비약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달에 따라 효율적인 대량의 정보처리가 가능해졌고 특히 다차원의 공간정보처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한 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의한 공간정보의 분석과 처리는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분야는 지상에 존재하는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지하정보에 대한 연구는 지하정보의 비가시적인 특성상 아직은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지하 지층 분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지하 광물자원에 대한 정보 또는 지상의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지하 지층을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인식하는 시스템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 이와 관련된 사항을 기술하였다. 공간자료 구조를 활용하여 지하지층을 인식하는 시스템의 개발은 지질 전문가의 해석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Port Space and Hinterland Using FBCs (FBCs를 활용한 항만공간과 항만배후지의 연계성 강화에 관한 연구)

  • Hwang, Sun-Ah;Kim, Jong-Gu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1 no.4
    • /
    • pp.215-228
    • /
    • 2017
  • Taking a look at recent trends of port cities, many port cities in the world have been shedding new light on the function being kept by existing port spaces, caused by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ream of the times, developments of surrounding areas, and etc., and we can see that its meaning also has been changing. However, in case of domestic port spaces they are in the real situation not responding to those movements quickly.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zoning system dividing functionally urban spaces according to use simply, in this study FBCs getting the timelight recently as a system capable of reflecting spatial characteristics at the maximum have been utilized as a measure for solving current problems of urba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urban planning approach that harmonizes the whole harbor space by strengthening the interlinkage between heterogeneous spaces of port area and port area using FBCs. FBCs are institutional devices that are proposed and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at is, the location and the uniqueness, and the pedestrian-oriented space planning.

A Study on the Open Platform Architecture for the Integrate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Statistics (공간정보와 통계정보의 융합 활용을 위한 오픈플랫폼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Kim, Min-Soo;Yoo, Jeong-Ki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6 no.2
    • /
    • pp.211-224
    • /
    • 2016
  • Based on the 'Government 3.0', the government opens the public data and encourages the active use in the private sector. Recently, the spatial and statistical information that is one of the public data is being widely used in the various web business as a high value-added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rchitecture of high-availability, high-reliability and high-performance open platform which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such as searching, analysis, data mining, and thematic mapping. In particular, we present two different system architectures for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rvices, by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security and the respective utilization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We also compared a variety of server architecture configurations such as a clustered server configuration, a cloud-based virtual server configuration, and a CDN server configuration, in order to design a cost- and performance-effective spatial-statistical information open platform.

River management technology using Drone (하천관리를 위한 드론활용기술)

  • Kim, Young Joo;Lee, Geun Sang;An, Min Hyeok;Kim, Jin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5-345
    • /
    • 2020
  • 우리나라는 물산업 강국 도약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2015년 세계물포럼 이후 복합 수재해 대응과 능동적 하천관리 분야가 중요시되고 있다. 기존의 하천관리는 수위관측소 및 하도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최근에는 항공측량, 드론 등 원격관리시스템에 기반을 둔 하천 통로에 대한 입체적인 3차원 관리로의 인식 전환이 고려되는 추세이다. 대부분 수위 및 하도를 중심으로 한 조사방식은 계측장비, 인력, 시간 등 많은 소요비용이 필요하게 되어 급변하는 하천 공간 조사 기술로 제한적 요소가 많아 현재의 하천조사 시스템으로는 하천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환경변화에 맞추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하천관리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적기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한 실정이다. 사회 환경의 발달로 급변하는 환경에 맞는 적정한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및 하천에 대한 수문정보 생산 및 하상변동조사가 필요하고 첨단기술(ICT)을 활용하여 조사의 효율성, 안전성 및 정확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하천유역조사는 하천유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하나 그간 유역조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요자의 요구 자료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수심, 하상, 하천재료 등 하천법에 규정된 측량은 현장 직접계측을 통해 실시되고 있으며 측량의 공간적·시간적 범위의 변동으로 기존 방식의 비용이 급증하게 되어 신기술을 통한 효율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하천조사를 위해 위성 및 유인항공기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고빙용을 수반하고 위성영상은 공간해상도가 낮아 폭이 좁은 하천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하천의 특성상 항공측량 보다 드론이 효율적으로 드론에 레이저 광선으로 지형을 측량하는 장비를 탑재해 3차원 지형을 측량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상류 하천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할 경우 투입인력 및 소요시간 절감, 장비 및 인력 진입 불가지역에 대한 정보획득, 높은 공간해상도, 항공측량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지형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유역관리 및 수질모델링에 필요한 지도 생성 및 유역의 공간 정보를 획득하여 향후 유역관리 모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수압파쇄를 이용한 현지암반 초기지압측정

  • 신중호;신희순;최성웅;이희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4.03a
    • /
    • pp.62-69
    • /
    • 1994
  • 최근 국내에서도 지하공간의 활용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활용방안과 개발구상안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의 실현을 위해서는 지하공간의 합리적 설계, 시공 및 안전유지를 위한 공학적 기술확립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앞으로 심부 대규모 지하공간개발을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지하천부개발시 중요하게 인식되지 않았던 지하암반의 구조지질적, 역학적, 수리적 특성의 정밀평가가 필요하다. 이러한 현지암반특성 및 특히 지압상태는 기초골격설계와 안정성평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중략)

  • PDF

Comparative Assessment of Usability of Web-storming System between Administrator and Designer Groups in Space Design Process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관리자·실무자 그룹의 웹스토밍 시스템 활용성 비교평가)

  • Choi, Gil-Dong;Kim, Kwang-M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9
    • /
    • pp.154-165
    • /
    • 2011
  • Considering the online idea generation, or web-storming, system would be used differently by space designers depending on their job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usability of web-storming using a factor correlation table with a designer group in the field. Then, for analyse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findings on the usability of web-storming in a design administrator group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applicable to web-storming.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nalysed following a process of observation-interpretation-application, and the space design process and web-storming function factors were also analysed based on a factor correlation table. The analyses found that the most correlated space design process in both administrator and designer groups was the schematic design phase, and that the correlation started to lower upon division of labour. The assessment phase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designer group and the administrator group. The assessment phase showed the second highest correlation in the designer group. In terms of the aspects related to project operation, the correlation was found higher in the designer group. Based on the findings, new applicable measures to each phase of web-storming were derived and summed up to suggest how to take advantage of web-storming in th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