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pen Platform Architecture for the Integrate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and Statistics

공간정보와 통계정보의 융합 활용을 위한 오픈플랫폼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Kim, Min-Soo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
  • Yoo, Jeong-Ki (Department of Electronics, Informatics and Communications, Daejeon University)
  • 김민수 (대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유정기 (대전대학교 전자.정보통신공학과)
  • Received : 2016.10.06
  • Accepted : 2016.12.07
  • Published : 2016.12.10

Abstract

Based on the 'Government 3.0', the government opens the public data and encourages the active use in the private sector. Recently, the spatial and statistical information that is one of the public data is being widely used in the various web business as a high value-added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n architecture of high-availability, high-reliability and high-performance open platform which can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such as searching, analysis, data mining, and thematic mapping. In particular, we present two different system architectures for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services, by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security and the respective utilization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We also compared a variety of server architecture configurations such as a clustered server configuration, a cloud-based virtual server configuration, and a CDN server configuration, in order to design a cost- and performance-effective spatial-statistical information open platform.

정부 3.0에 근거하여 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민간 활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공공데이터와 관련하여 다양한 비즈니스에서 기반 정보로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공간통계정보가 웹상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이러한 대용량 공간통계정보에 대한 조회, 분석, 마이닝, 주제도 생성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고가용성, 고신뢰성, 고성능의 오픈플랫폼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모든 영역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정보의 종류에 따라 보안성이 매우 중요한 공간통계정보의 특성을 반영하여 행정망 기반의 내부 서비스 시스템과 인터넷망 기반의 외부 서비스 시스템 아키텍처를 상호 분리하여 제시한다. 또한, 비용 효율적이며 성능이 우수한 공간통계정보 오픈플랫폼 시스템 아키텍처를 구성하기 위하여 클러스터 기반의 다중화 서버 구성,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서버 구성, 그리고 CDN 기반의 서버 구성 등과 같은 기존의 다양한 서버 아키텍처 구성 방식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방식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희, 임용화, 김민수, 장인성. 2015. 차세대 브이월드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에 관한 연구: 최적의 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신기술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4):13-22. GO JH, Lim YH, Kim MS, Jang IS. 2015. A Study on the Next VWorld System Architecture: New Technology Analysis for the Optimal Architecture Desig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4):13-22.
  2. 국토교통부. 2016. 브이월드[인터넷]. [http://map.vworld.kr] 2016년 10월 4일 검색.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VWorld [Interent]. [http://map.vworld.kr].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3. 김문기, 윤동현, 고준환. 2015. 미래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2):59-68. Kim MG, Yoon DH, Koh JH.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GeoSpatial Open Platform.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2):59-68.
  4. 김문수, 이지영. 2015. 격자 기반의 통계정보 표현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5):31-40. Kim MS, Lee JY. 2015.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5):31-40.
  5. 김민수, 장인성. 2015. HTML5/WebGL 기반 3D 공간 정보 오픈플랫폼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6):57-66. Kim MS, Jang IS. 2015.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 D Geospatial O pen P latform B ased o n HTML5/WebGL Technology.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6):57-66.
  6. 김민호. 2015. 연결형 마이크로맵: 공간통계자료의 탐색적 분석 및 지리적 시각화. 한국지도학회지. 15(2):39-50. Kim MH. 2015. Linked Micromap : Exploratory Data Analysis and Geographic Visualization of Spatial Statistics Data. Journal of Korea Cartographic Association. 15(2):39-50.
  7. 김병선, 안종욱, 신동빈. 2014.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2(2):11-18. Kim BS, Anh JW, Shin DB.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among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2(2):11-18.
  8. 김봉준, 김태영. 2015. 공간통계를 활용한 도시지역 토지가격의 변화분석. 한국지적학회지. 31(3):97-105. Kim BJ, Kim TY. 2015.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Area Land Price using Spatial Statistic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adastre. 31(3):97-105.
  9. 이건학, 최은영. 2011. 센서스 GIS와 지리통계시스템의 구축. 통계연구. 16(2):1-21. Lee K H, C hoi E Y. 2011. Development of Census GIS and Spatial-Statistic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16(2):1-21.
  10. 이봉환, 김민수, 유정기 2015. GIS 기반 통계플랫폼 표준화 방안 수립. 통계청. Lee BH, Kim MS, Yoo JK. 2015.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Methods for Statistic Platform based on GIS. Statistics Korea.
  11. 이인수, 이준석. 2014. 공간정보 포털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지적과국토정보. 44(2):125-138. Lee IS, Lee JS. 2014. A Study on Analysis on Geospatial Information Portal Trends. Journal of Cadastre. 44(2):125-138.
  12. 장한솔, 고준희, 김민수, 장인성. 2015.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서비스의 성능 분석 및 자원 재조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4):1-11. Jang HS, GO JH, Kim MS, Jang IS. 2015.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and Resource Re-distribution Method of th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Servic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4):1-11.
  13. Auer M. 2012. Real-Time Web GIS Analysis Using WebGL, International Journal of 3-D Information Modeling. 1(3):49-61. https://doi.org/10.4018/ij3dim.2012070105
  14. Christen M, Nebiker S, Loesch B. 2012. Web-Based Large-Scale 3D-Geovisualisation Using WebGL: The OpenWebGlobe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3D Information Modeling. 1(3):16-25. https://doi.org/10.4018/ij3dim.2012070102
  15. Google. 2016. Google Maps [Interent]. [https://maps.google.com].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16. Kakao. 2016. Daum Map [Interent]. [http://map.daum.net].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17. KT. 2016. olleh Map [Interent]. [http://map.ollehmap.com].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18. Microsoft. 2016. Bing Maps [Interent]. [http://www.bing.com/maps].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19. Naver. 2016. Naver Map [Interent]. [http://map.naver.com].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20. OpenStreetMap Foundation. 2016. OpenStreetMap [Interent]. [https://www.openstreetmap.org].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21. VW Group, BMW, Daimler. 2016. [https://here.com]. Last accessed 4 October 2016.

Cited by

  1. 오픈소스 기반 UAS 영상 재현 알고리즘 및 필터링 기법 비교 vol.50, pp.2, 2016, https://doi.org/10.22640/lxsiri.2020.50.2.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