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평가

Search Result 7,12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Development of vegetation model for Restoration of Degraded stream Landscape (훼손된 하천 경관을 복원하기 위한 식생 복원 모델 개발)

  • Lee, Chang-Seok;Cho, Yong-Chan;Oh, Woo-Seok;Park, Sung-Ae;Seol, Eun-S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45-1148
    • /
    • 2007
  • 한국을 비롯하여 논농사 중심지역에서는 하천 주변이 과거에는 농경지로, 그리고 오늘날은 도시지역으로 개발되어 하천의 원형이 거의 유지되지 못하고 있다. 하천은 수역과 수변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여러 개의 이질적 생태적 공간이 이어지는 복합생태계로서 하나의 경관으로 볼 수 있다. 하천이 하나의 온전한 생태적 계로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천의 원형이 복원되어야 한다. 현존하는 하천복원사업이 수변 구역의 복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진정한 복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온전한 강변 식생의 복원이 선결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적군락의 형태로 잔존하는 강변 식생을 조사하여 식생복원 모델로 삼고자 한다. 수위와 침수체제에 의해 하천의 횡단구조를 수변, 홍수터 및 제방으로 구분한 후 각 지소의 적합한 식생단위를 구분하여 생태적 복원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를 구축하였다. 수변식생으로는 달뿌리풀군락과 갈대군락이 자주 출현하고, 홍수터에는 갯버들군락과 키버들군락이 우세하였다. 그 중 전자의 식물군락은 하상재료가 거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고, 후자의 것은 미세한 입자의 지소에 성립하는 경향이었다. 제방역에는 버드나무군락, 다릅나무군락, 귀룽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산사나무군락, 신나무군락(한탄강 지류), 참느릅나무군락, 물푸레나무-갈참나무군락(한탄강 본류), 오리나무군락(민통선 북방지역), 소나무군락, 황철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소양강 상류), 왕버들군락(금강 중류) 등이 성립하였다. 이러한 식생정보를 하천의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구분하였고, 생태적 복원 시 도입식물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삼기 위해 각 식생단위를 이루는 종 조성을 정보 체계화하였다.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Solar Unit으로부터 나오는 전기를 중전기에서 밧데리로 축전을 시키고 완전 충전 후에는 나머지 전기는 방전이 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사통수문 자원조사 결과에 의하면 현재 저수지에 물공급을 하는 수문은 취수탑 형식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 30%의 사통수문 중 원형수문비가 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저수지 사통수문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전력을 사용하는 사통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20% 이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수리시설 개보수시 적은 예산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사통수문의 설치방향의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되며 수리시설의 운영관리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다.분류되었다. 지표 유거가 많아 배수등급이 매우양호로 분류되던 토양은 정 등(1995)의 분류와 비교하여 대부분 강우 유출 가능성이 큰 쪽으로 조정되었다.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이용할 경우 낮은 토심에서 암반층이 발견되는 산림토양이 분포한 유역이나 산림, 밭 등에 식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강우 유출량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불투수층의 존재시 일괄적으로 D유형으로 분류된 토양의 경우 깊이에 따라 C 또는 D 유형으로 세분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가 있었다. 에틸아세테이트분회물의 경우 디글로로메탄 분회물에 비해 다소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지만 250 ${\mu}$g/ml 농도에서 약 60%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디클로로메탄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

  • PDF

Estimation of the Flash Flood Severity using Runoff hydrograph and Flash flood index (유출수문곡선과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 Kim, Byung-Sik;Kim, H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2
    • /
    • pp.185-196
    • /
    • 2008
  • The flash flood has been studied in the climatological aspect which considers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However, we have not interested in runoff hydrograph for flash flood study. Therefore, our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pply a work of Bhaskar et. al (2000) which studied runoff hydrograph to represent the flash flood to Korea and also to distinguish flash flood event from general flood event. That is, we quantified the severity of flash flood by estimation of flash flood index using runoff hydrograph. This study estimated the flash flood index for investigating the relative severity of flash flood in Han river basin with 101 flood events. Also we quantified the flash flood severity for flood event by heavy rainfall occurred in July of 2006. As a result, Kangwon-do province showed more severe flash flood than other areas in Han river basin and urban area such as Jungrang cheon stream also showed severe flash flood. We analyzed a flash flood of July of 2006 by dividing July into 1st to 3rd terms. From the analysis we knew that the 1st term of July showed the severe flash flood was occurred in Seoul area and the 2nd term showed it was occurred in Kangwon-do province.

Edge Response Analysis of UAV-Images Using a Slanted Target (경사 타겟을 이용한 무인항공영상의 경계반응 분석)

  • Lee, Jae One;Sung, Sa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8 no.4
    • /
    • pp.317-325
    • /
    • 2020
  • UAV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mmetry has recently emerged as a means of obtaining highly precise and rapid spatial information due to its cost-effectiveness and high efficiency. However, current procedures or regulations for quantitative quality verification methods and certification processes for UAV-images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current verification method for image quality is not evaluated by an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analysis or edge response analysis, which can analyze the degree of contrast including image resolution, and only relies on the GSD (Ground Sample Distance) analysi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dge response analysis using a Slanted edge target was performed along with GSD analysi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analyzing edge response analysis in UAV-images quality analysis. Furthermore, a Matlab GUI-based software tool was developed to help streamline the edge response analysis. As a result, we confirmed the need for edge response analysis since the outputs of the edge response analysis from the same GSD had significantly different outcomes.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quality of the edge response analysis of UAV-images is proportional to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mounted on the UAV.

Self-forming Barrier Process Using Cu Alloy for Cu Interconnect

  • Mun, Dae-Yong;Han, Dong-Seok;Park, J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89-190
    • /
    • 2011
  • Cu가 기존 배선물질인 Al을 대체함에 따라 resistance-capacitance (RC) delay나 electromigration (EM) 등의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그러나 지속적인 배선 폭의 감소로 배선의 저항 증가, EM 현상 강화 그리고 stability 악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Cu alloy seed layer를 이용한 barrier 자가형성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공정은 Cu 합금을 seed layer로 사용하여 도금을 한 후 열처리를 통해 SiO2와의 계면에서 barrier를 자가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매우 균일하고 얇은 barrier를 형성할 수 있고 별도의 barrier와 glue layer를 형성하지 않아 seed layer를 위한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via bottom에 barrier가 형성되지 않아 배선 전체 저항을 급격히 낮출 수 있다. 합금 물질로는 초기 Al이나 Mg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낮은 oxide formation energy로 인해 SiO2에 과도한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최근 Mn을 합금 물질로 사용한 안정적인 barrier 형성 공정이 보고 되고 있다. 하지만, barrier 형성을 하기 위해 300도 이상의 열처리 온도가 필요하고 열처리 시간 또한 긴 단점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co-sputtering system을 사용하여 Cu-V 합금을 형성하였고, barrier를 자가 형성을 위해 300도에서 500도까지 열처리 온도를 변화시키며 1시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Cu-V 공정 조건 확립을 위해 AFM, XRD, 4-point probe system을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 결정성과 비저항을 평가하였다. Cu-V 박막 내 V의 함량은 V target의 plasma power density를 변화시켜 조절 하였으며 XPS를 통해 분석하였다. 열처리 후 시편의 단면을 TEM으로 분석하여 Cu-V 박막과 SiO2 사이에 interlayer가 형성된 것을 확인 하였으며 EDS를 이용한 element mapping을 통해 Cu-V 내 V의 거동과 interlayer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PVD Cu-V 박막은 기판 온도에 큰 영향을 받았고, 200 도 이상에서는 Cu의 높은 표면에너지에 의한 agglomeration 현상으로 거친 표면을 가지는 박막이 형성되었다. 7.61 at.%의 V함량을 가지는 Cu-V 박막을 300도에서 1시간 열처리 한 결과 4.5 nm의 V based oxide interlayer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열처리에 의해 Cu-V 박막 내 V은 SiO2와의 계면과 박막 표면으로 확산하며 oxide를 형성했으며 Cu-V 박막 내 V 함량은 줄어들었다. 300, 400, 500도에서 열처리 한 결과 동일 조성과 열처리 온도에서 Cu-Mn에 의해 형성된 interlayer의 두께 보다 두껍게 성장 했다. 이는 V의 oxide formation nergyrk Mn 보다 작으므로 SiO2와의 계면에서 산화막 형성이 쉽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V+5 이온 반경이 Mn+2 이온 반경보다 작아 oxide 내부에서 확산이 용이하며 oxide 박막 내에 여기되는 전기장이 더 큰 산화수를 가지는 V의 경우 더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Self-formation of Diffusion Barrier at the Interface between Cu-V Alloy and $SiO_2$

  • Mun, Dae-Yong;Park, Jae-Hyeong;Han, Dong-Seok;Gang, Yu-Jin;Seo, Jin-Gyo;Yun, Don-Gyu;Sin, So-Ra;Park, J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56-256
    • /
    • 2012
  • Cu가 기존 배선물질인 Al을 대체함에 따라 resistance-capacitance delay와 electromigration (EM) 등의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그러나 지속적인 배선 폭의 감소로 배선의 저항 증가, EM 현상 강화 그리고 stability 악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Cu alloy seed layer를 이용한 barrier 자가형성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공정은 Cu 합금을 seed layer로 사용하여 도금을 한 후 열처리를 통해 $SiO_2$와의 계면에서 barrier를 자가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이 공정은 매우 균일하고 얇은 barrier를 형성할 수 있고 별도의 barrier와 glue layer를 형성하지 않아 seed layer를 위한 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via bottom에 barrier가 형성되지 않아 배선 전체 저항을 급격히 낮출 수 있다. 합금 물질로는 초기 Al이나 Mg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낮은 oxide formation energy로 인해 SiO2에 과도한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최근 Mn을 합금 물질로 사용한 안정적인 barrier 형성 공정이 보고 되고 있다. 하지만, barrier 형성을 하기 위해 300도 이상의 열처리 온도가 필요하고 열처리 시간 또한 긴 단점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co-sputtering system을 사용하여 Cu-V 합금을 형성하였고, barrier를 자가 형성을 위해 300도에서 500도까지 열처리 온도를 변화시키며 1시간 동안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Cu-V 공정 조건 확립을 위해 AFM, XRD, 4-point probe system을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 결정성과 비저항을 평가하였다. Cu-V 박막 내 V의 함량은 V target의 plasma power density를 변화시켜 조절 하였으며 XPS를 통해 분석하였다. 열처리 후 시편의 단면을 TEM으로 분석하여 Cu-V 박막과 $SiO_2$ 사이에 interlayer가 형성된 것을 확인 하였으며 EDS를 이용한 element mapping을 통해 Cu-V 내 V의 거동과 interlayer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PVD Cu-V 박막은 기판 온도에 큰 영향을 받았고, 200도 이상에서는 Cu의 높은 표면에너지에 의한 agglomeration 현상으로 거친 표면을 가지는 박막이 형성되었다. 7.61 at.%의 V함량을 가지는 Cu-V 박막을 300도에서 1시간 열처리 한 결과 4.5 nm의 V based oxide interlayer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열처리에 의해 Cu-V 박막 내 V은 $SiO_2$와의 계면과 박막 표면으로 확산하며 oxide를 형성했으며 Cu-V 박막 내 V 함량은 줄어들었다. 300, 400, 500도에서 열처리 한 결과 동일 조성과 열처리 온도에서 Cu-Mn에 의해 형성된 interlayer의 두께 보다 두껍게 성장했다. 이는 V의 oxide formation energy가 Mn 보다 작으므로 SiO2와의 계면에서 산화막 형성이 쉽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V^{+5}$이온 반경이 $Mn^{+2}$이온 반경보다 작아 oxide 내부에서 확산이 용이하며 oxide 박막 내에 여기되는 전기장이 더 큰 산화수를 가지는 V의 경우 더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Performance of NCAR Regional Climate Model in the Simulation of Indian Summer Monsoon (NCAR 지역기후모형의 인도 여름 몬순의 모사 성능)

  • Singh, Gyan Prakash;Oh, Jai-H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3
    • /
    • pp.183-196
    • /
    • 2010
  • Increasing human activity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land use change alters the patterns of the Asian monsoon, which is key to crop yields in Asia. In this study, we tested the performance of regional climate model (RegCM3) by simulating important components of Indian summer monsoon, including land-ocean contrast, low level jet (LLJ), Tibetan high and upper level Easterly Jet. Three contrasting rain years (1994: excess year, 2001: normal year, 2002: deficient year) were selected and RegCM3 was integrated at 60 km horizontal resolution from April 1 to October 1 each year. The simulated fields of circulations and precipitation were validated against the observation from the NCEP/NCAR reanalysis products and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Centre (GPCC), respectively. The important results of RegCM3 simulations are (a) LLJ was slightly stronger and split into two branches during excess rain year over the Arabian Sea while there was no splitting during normal and deficient rain years, (b) huge anticyclone with single cell was noted during excess rain year while weak and broken into two cells in deficient rain year, (c) the simulated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was comparable to the corresponding observed precipitation of GPCC over large parts of India, and (d) the sensitivity experiment using NIMBUS-7 SMMR snow data indicated that precipitation was reduced mainly over the northeast and south Peninsular India with the introduction of 0.1 m of snow over the Tibetan region in April.

Spatial Distributions of $^3H$ and $^{14}C$ in the Shielding Concrete of KRR-2 (연구로 2호기 수조 콘크리트의 $^3H$$^{14}C$ 공간분포)

  • Hong, Sang-Bum;Kim, Hee-Reyoung;Chung, Kun-Ho;Kang, Mun-Ja;Jeong, Gyeong-Hwan;Chung, Un-Soo;Park, Jin-H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4 no.4
    • /
    • pp.329-334
    • /
    • 2006
  • The depth distributions of total $^3H$ and $^{14}C$ activities were characterized for the activated shielding concrete from a decommissioning of KRR-2 us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tube furnace and a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The correlation of measurement results between $^3H,\;^{14}C$ and gammer emitter was evaluated to apply for estimating radionuclide inventory of the concrete waste generated from decommissioning KRR-2. The detection limits for $^3H$ and $^{14}C$ are 0.048 and 0.028 Bq/g respectively. The specific activities of the $^3H$ and $^{14}C$ tend to decrease exponentially as the depth of the concrete becomes deeper from the surface. In addition, the $^3H$ and $^{14}C$ activities were in good correlation with the $^{60}CO$ activities analysed for the shielding concrete of KRR-2.

  • PDF

Street furniture design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regional impression - Focusing on the Sam-san street in Ulsan city -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를 중심으로 -)

  • 김도경;임창빈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1
    • /
    • pp.63-7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concerned local area through using roadside space that is space for daily experience of citizen as target, extracting symbolic image re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 and clarifying the local identity on the basis of it. Through applying image of local symbolism and future-oriented roadside to street furniture, I tried to express local symbolism and through composing symbolic roadside of local that can be newly recognized as unique street, I tried to give a local symbolism and compose active roadside environment. Through providing basic material and actual design example, this paper tried to activate characterized local culture. As the method to approach design of symbolic roadside, the researcher divided local symbolic image into present local image and future-oriented image through selecting the roadside that historical element is lost and urbanization is achieved as target. The researcher characterized local roadside, using street furniture as symbolic tool of future-oriented roadside on the basis of symbolic image extracted from image evaluation testing. This paper has the meaning to suggest one direction for extracting symbolism when organizing distinguished roadside through applying symbolic image to roadside environmental facility, helping for of local resident's sense of place, his self-esteem and love for his hometown and public authority's establishing and promoting the policy concerned to the context of this paper.

  • PD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and Heavy Metal Contents on the Sediment of Kwangyang Bay (광양만의 퇴적물에 대한 이화학적 조성 및 중금속 함량)

  • Park, Jong-Chun;Kim, Jin;Lee, Woo-Bum;Lee, Sung-Woo;Joo, Hyun-S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3 no.1 s.89
    • /
    • pp.31-37
    • /
    • 2000
  • For the purpose of surveying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diment collected from Kwangyang Bay, the percentage of water loss, COD, $H_2S$, grain size and 10 heavy metals were studied at 17 sites. During the surveying period, the changes of the percentage of water loss were appeared $35.5\;{\sim}\;53.8%$. COD and $H_2S$ were showed $3.8\l{\sim}\;12.9\;mg/g$, and $0.1\;{\sim}11.4\;{\mu}g/g$, respectively, In composition of grain size on the sediment, percentages of grain sizes under $74\;{\mu}m$ were varied from 40.5% to 86.7% and above $74\;{\mu}m$ were varied from 11.5% to 43.0%. From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avy metal using contour map, we can suppose some heavy metal discharges which affect sediment of Kwangyang Bay, It was estimated that Shinpung creek, Ssang-bong creek, and draining area of sewange treatment plant were the main discharge among the heavy metal output sources. By comparison between present study and heavy metal guideline of nonpolluted sea sediment that is provided by EPA, US, it wa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Pb and Hg were acceptable but contents of Mn, Zn, Cu, Fe, As, and Cr were higher than those of EPA guideline.

  • PDF

The effects of S-STEAM program on creativ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young children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 Song, Min-Seo;Kim, Hyoung-Ja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361-37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EAM-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 S-STEAM-based scienc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through careful analysis of prior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S-STEAM. The participants were 29 four-year-old children from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 experimental group of 14 and comparative group of 15). The S-STEAM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went through a general science education cours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TCT of Creative Thinking (TTCT: Figures A and B)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d a multiple intelligence test tool was applied to teachers of the groups. Afterwards, analysis of covariance was implemented to find the S-STEAM program's effects. First, the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s on overall creativity, as well as in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elaboration, and openness components of creativity. Second, the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s on overall multiple intelligences and its components of linguistic, musical, spatial, logical/mathematical, physical exercise, interpersonal, and naturalist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