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파악

검색결과 3,821건 처리시간 0.03초

아동의 공간 직관력 향상을 위한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 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8권
    • /
    • pp.91-105
    • /
    • 1999
  • 직관력은 현대와 같이 급변하는 사회에서 어떤 문제의 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거나 그 본질을 인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공간 직관력은 매일을 공간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에게는 더욱 소중한 교육적 대상이 된다. 공간 직관력은 눈에 보이는 구체물이나 감각적으로 받아들여진 사물을 통하여 그 배후에 있는 공간으로서 추상적, 이상적인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힘이다. 수학교육학적 관점에서 보면 공간 직관력에는 시각화(도형을 인식하는 능력, 도형을 구성하는 능력 등), 공간적 관계(도형이나 공간의 확장을 이해하는 능력 등), 공간적 방향 파악(위치를 파악하는 능력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공간 직관력을 육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적절한 학습 내용 및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강우 지속기간 변화에 따른 공간규모 분포 및 변동특성 분석 (The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Rainfall Duration up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

  • 문장원;유철상;김중훈;이동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88-592
    • /
    • 2005
  • 강우는 시간적인 분포특성과 함께 공간적인 분포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 기상현상이다. 강우 발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분포특성에 대한 분석과 함께 공간적인 발생양상에 대한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Coverage 개념을 이용하여 공간규모의 분포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속기간의 변화에 따라 공간규모 분포가 어떠한 변동특성을 나타내는 지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대상유역으로 한강유역을 선정하였으며, 한강유역 내에 위치한 39개 강우관측소의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였다. 강우의 지속기간별 공간규모 변동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0가지 경우의 지속기간(1, 2, 3, 4, 6, 8, 12, 16, 24, 48시간)에 대해 자료를 구성한 후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을 통해 강우 공간규모의 발생양상에 대해 개략적인 파악이 가능하였으며, 지속기간 변화가 공간규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유역면적을 3가지 경우로 나누어 동일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면적 변화에 따른 공간규모변동을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강우발생 시의 공간규모에 대한 보다 명확한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 아파트 거주자의 지역별 실내 디자인 선호 연구 (The Preference of Interior Design for the Urban Apartment Residents by Region)

  • 박영순;신인호;한정원;황유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
    • /
    • pp.32-37
    • /
    • 1995
  • 본 연구는 아파트가 밀접되어 있는 서울, 부산, 광주, 천안 등의 지역을 대상으로 아파트 거주자들의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하여, 아파트 실내공간에 개성과 기호를 부여할 수 있는 근거를 말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쩨. 개조실태 파악을 통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한다. 둘째. 실내분위기와 실내색채와 실내마감재의 선호조사를 통해 실내디자인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한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조사가 서울, 부산,광주, 천안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 2,60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지역별로 선호하는 실내디자인을 종합하여 볼 , 서울은 우아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고, 천안은 일상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은 화려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과 광주는 중후한 실내공간을 선호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지역에 따라 선호가 뚜렷이 구분되는 결과는, 실내디자인 계획에 있어 지역이 중요한 변수로서 충분히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을 시사한다.

  • PDF

미국 건축 및 조경디자인에 나타난 일본양식에 관한 고찰 (An Examination of Japanese Modes Expressed in American Spatial Design)

  • 김신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9-214
    • /
    • 1995
  •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 및 조경공간 형성에 미친 일본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문화 및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미국건축 및 조경에 나타난 그 면모에 관한 것이다. 1853년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일본의 예술과 건축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1893년 Chicago에서 열렸던 Wor1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선보인 일본의 건축물은 당시 미국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후 일본의 공간디인은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미국의 공간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준 일본문화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구별되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미국 현대건축의 선구자인 Frank Lloyd Wright, Greece and Greene, Philip Johnson, Richard J. Neutra의 작품 및 조경디자이너인 Ethelbert E. Furlong, James C. Rose의 작품속에 나타난 일본식 공간디자인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장래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미국문화의 특성이 고찰되어 미국과 일본의 두 문화가 비교 파악되기 위한 개념적 근거가 마련되고, 일본식 공간디자인이 미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어졌으며 미국식 공간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는지 살펴보며, 어떤 이유에서 일본의 공간디자인 양식이 미국의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문화적으로 일본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과 중국의 공간디자인 양식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를 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공간상관구조 분석 (Analysi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 박창열;김경준;황정호;전경수;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90-7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변량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한 후 정규분포와 대수 정규분포를 고려하여 시간해상도별로 공간상관함수를 유도하고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단위 강우 자료를 호우 발생 특성별(태풍, 장마, 대류성 강우)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공간상관함수를 각각 유도하였다. 이때 시간해상도를 고려하기 위한 대상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이고, 대상지점은 중부지역의 27개 우량관측소 지점을 이용하였다. 그 적용 결과 분단위 강우자료의 경우 무강우 자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상관거리는 적용 분포형, 호우 발생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분의 경우 약 $9{\sim}15km$, 60분의 경우 약 $21{\sim}53km$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우의 집성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간상관특성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공간상관거리가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단위 강우자료의 관측소 밀도가 시단위 강우자료 관측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나타내며,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과 같은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할 경우 적절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rgonomic design of the cockpit interior space)

  • 이창민;김영준;이종선;박세권;유희천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5-162
    • /
    • 1993
  • 조종실은 항공기-조종사 시스템에서 항공기와 조종사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일한 공유영역으로서, 조종사의 인간성능 특성과 조종업무 특성의 체 계적 반영이 요구되어 진다. 인간공학적으로 설계된 조종실은 조종 편이성, 운용성 및 비행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항공산업 육성의 초기 단계에 있는 국내 에서는 항공기 장비성능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조종실에 대한 인간 공학적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조종사의 인간요소특성에 적합한 조종실 공 간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기 위하여, -조종실 공간 설계요소의 체계적 추출 및 계층적 구조 설정 -공간 설계에 적용될 인체측정요소의 정의 및 계층적 구조 설정, -설계요 소의 특성 파악을 위한 설계요소간 연관관계 분석, -설계요소와 인간요소간의 연관 관계 분석, -기존 전투기, 훈련기의 설계 제원 현황 및 설계지침 파악, -한국인 인체 측정자료의 Data Base화,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제원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종실 공간 설계요소로는 143 항목이 정의 되었으며, 설계요소들 간의 연관관계 Matrix 분석을 통하여 선행/병행/후행 설계요소 및 설계요소의 중요도가 파악되었다. 조종실 공간 설계에 적용될 인간 측정요소로는 133개 항목이 정의 되었으며, 설계요소 와 인간요소간의 연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설계요소별로 고려되어질 인간요소를 분석 하였다. 또한 설계요소와 관련된 다른 설계요소, 인간요소 및 인체측정치, 설계지침을 종합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인간공학적인 조종실 공간 설계제원을 제시하였다.

  • PDF

예외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 (Switching Positionality of Border Region as Exceptional Space)

  • 김부헌;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7-286
    • /
    • 2017
  • 본 논문은 주체와 대상 간의 상대적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 위치성 개념이 예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역의 공간성 파악에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접경지역은 거리상으로 국경선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국가와 가까이 위치하고 있지만 국경을 둘러싼 지정학적, 지경학적 변화에 따라 갑작스러운 단절과 개방이 나타나는 다중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위치성의 전환이란 측면에서 파악하기에 적절하다. 본 논문이 접경지역을 위치성 전환의 관점에서 재개념화함으로써 기대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1) 접경지역의 변화 가능성을 로컬에 기반을 둔 내적 조건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맥락과 정세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2) 접경지역의 발전 궤적을 다양한 힘들 간의 아쌍블라주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3) 지경학과 지정학 간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위치성은 기존 공간과 시간, 공간성에 대한 논의를 관계론적/변증법적, 사회-공간론적, 권력-위상학적 측면에서 새롭게 확장시켜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위치성 전환을 통해서 북중 접경지역의 예외적 성격을 파악하였다. 북중 접경지역은 한반도의 지정학적 안보 불안이라는 '예외 상태'가 상례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다양한 지경학적 논리가 작동하면서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예외적인 성격을 창출한 것으로 이해된다.

상업 휴게 공간의 디자인과 이용 행태 연구 -부산 신세계 백화점 휴게 공간과 가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and Behavioral Analysis of Commercial Rest Area -Focused on the Rest Area and Furniture of Shinsegae Department Store, Busan-)

  • 위더셩;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80-292
    • /
    • 2019
  • 본 연구는 부산의 대표적 상업 공간인 센텀 신세계백화점을 대상으로, 실내 휴게 공간과 가구 디자인 현황을 파악하고, 가구를 중심으로 한 방문객의 이용 행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상업공간에서 공공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휴게 공간 디자인이 방문객의 특성과 행태를 지원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추후 상업 휴게 공간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현장 방문 관찰을 진행해 휴게공간에서 각 층별 휴게공간의 위치, 휴게가구 디자인의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파악한 후, 주요 층별 휴게 가구 이용자의 특성과 행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휴게공간과 가구를 분석한 결과 휴게공간의 위치나 크기는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휴게 가구는 베이지에서 브라운, 밝은 회색에서 블랙에 이르는 저채도의 편안한 색채에 부채형, 호형 벤치, 소파, 의자 형 등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어 있어, 쉬기, 휴대폰 사용, 대화와 같은 가장 일반적인 이용 행태를 적절히 지원하고 있었다.

공간 추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이용, 이동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 연구 (To collect the data of deduction of distance Estimating Position of Mobiles b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System)

  • 장혜숙;정규철;이진관;위선정;최영희;박기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47-949
    • /
    • 2006
  • 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는 교통관제 시스템에서 화물 운송용 차량이나 비행기 또는 선박의 운행 정보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SDSS: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을 이용한 이동물체의 위치를 인식하는 시스템은 실세계의 복잡하고 다양한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대안들을 도출시키고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평가받는 연구가 될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 결정 파라미터으로 수신 신호 세기, 기지국과 이동체간의 거리, 이동체의 이전 위치, 이동체의 이동 방향 등을 고려한 공간 추정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간적 의사결정을 이용한 이동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위상-방향 관계에 대한 추론 (Reasoning about Topological-Directional Relations in Spatial Databases)

  • 황환규;문현수;정호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165-167
    • /
    • 1999
  • 공간 관계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최적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일 공간 객체간의 공간 관계를 미리 알 수 있다면, 비용이 많이 드는 질의 처리는 피할 수 있다. 공간 데이터에 대한 공간 관계의 질의를 효과적으로 답하기 위해서는 각 공간 객체들의 공간 관계 파악이 중요하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터에 대하여 객체간의 모든 공간 관계를 저장한다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주 사용하는 공간 관계를 저장하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관계는 필요시 생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관계가 일부 주어졌을 때 주어진 공간 관계로부터 새로운 공간관계를 추론하기 위한 공간 관계 추론 규칙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