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특징

Search Result 2,82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 Adaptive ROI Detection System for Spatiotemporal Features (시.공간특징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ROI 탐지 시스템)

  • Park Min-Chul;Cheoi Kyu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
    • /
    • pp.41-53
    • /
    • 2006
  • In this paper, an adaptive ROI(region of interest) detection system for spatialtemporal features is proposed. It utilizes spatiotemporal features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ROI. It is assumed that motion representing temporal visual conspicuity between adjacent frames takes higher priority over spatial visual conspicuity. Because objects or regions in motion usually draw stronger attention than others in motion pictures. In case of still images visual features that constitute topographic feature maps are used as spatial features. Comparative experiments with a human subjective evaluation show that correct detection rate of visual attention region is improved by exploiting both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compared to the case of exploiting either feature.

  • PDF

Feature Point Tracking using Subregion Features (분할 영역 특성을 이용한 특징점 추적 기법)

  • 이대호;박세제;박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373-37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특징점을 추출하고 특징점의 유사도를 Hough 공간에 누적하여 정확한 이동을 찾아내는 기법을 제시한다. 특징점은 예지의 시작점, 끝점, 분기점과 굴곡점을 사용한다. 정합을 위하여 특징점 주위의 평균 밝기, 굴곡점의 굴곡각을 이용하며, 물체 주위에 물체보다 특징이 강한 배경에 민감하지 않게 동작하기 위하여 Hough 공간상의 극대값들에 대하여, 분할 영역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비교함으로써 정확한 이동 경로를 산출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실제 영상에 적응한 경우 배경의 특징이 매우 강한 경우 Hough 공간의 최대값을 찾는 기법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도 정확히 추적하는 결과를 보인다.

  • PDF

A Scale-Space based on Bilateral Filtering for Robust Feature Detection in SIFT (SIFT 알고리즘의 강인한 특징점 검출을 위한 양방향 필터 기반 스케일 공간)

  • Kim, Seungryong;Yoo, Hunjae;Son, Jongin;Oh, Changbum;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79-82
    • /
    • 2012
  • 컴퓨터 비전에서 영상 매칭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기술 중에 하나이다. 강인한 영상 매칭을 위해서는 정확하고 독특한 특징점을 검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기존의 SIFT나 SURF 등 영상 매칭 알고리즘은 등방성 가우시안 필터링을 사용한 스케일 공간을 생성하여 특징점을 검출한다. 이러한 기존의 특징점 검출 방식은 스케일 공간에서 영상의 경계선을 모호하게 만들어 정확한 특징점 검출을 어렵게 만들고 영상 매칭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IFT 알고리즘의 강인한 특징점 검출을 위하여 양방향 필터링을 사용하여 스케일 공간 생성을 제안한다. 이러한 스케일 공간 생성 방식은 스케일 공간에서 영상의 경계선을 보존해 줌으로서 강인한 특징점 검출을 가능하게 하여 영상 매칭 성능을 향상시킨다. 특히 왜곡이 존재하는 영상들의 매칭에서 제안하는 특징점 검출 방법이 적용된 SIFT 알고리즘은 기존의 SIFT 알고리즘보다 우수한 영상 매칭 결과를 보여준다.

  • PDF

Face Detection using Skin-tone Color Space Table (피부-색상 공간 테이블을 이용한 얼굴 검출)

  • 고경철;이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381-38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실험 영상으로부터 학습된 피부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컬러 공간테이블을 생성한 후. 입력된 영상의 컬러와 공간정보를 학습된 피부색상 공간테이블로부터 비교, 분석하여 얼굴후보영역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추출된 후보영역의 레이블된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지역적 특징을 찾아낸 후 얼굴 특징점의 위치에 따른 형태정보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자 하였다. 제안된 피부색상(Skin-tone)공간테이블은 변환하기 쉽고 계산이 빠른 RGB컬러 공간에서 실험, 평가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입력된 영상의 정규화된 책상 값을 유사성 정도에 따라 레이블링하여 보다 빠른 얼굴 후보 영역의 검출과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ep Subspace clustering with attention mechanism (데이터 표현 강조 기법을 활용한 부분 공간 군집화)

  • Baek, Sang Won;Yoo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721-723
    • /
    • 2020
  • 부분 공간 군집화는 고차원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특징들을 선별 및 추출하여 저차원의 부분 공간에서 군집화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딥러닝 활용한 부분 공간 군집화 연구들은 AutoEncoder을 기반으로 의미있는 특징을 선별하는 것이 아닌 특징 맵의 크기를 증가시켜서 네트워크의 표현 능력에 중점을 둔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utoEncdoer 네트워크에 Channel Attention 모델을 활용하여 Encoder와 Decoder에서 부분 공간 군집화를 위한 특징을 강조하는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네트워크는 고차원의 이미지에서 부분 공간 군집화를 위해 강조된 특징 맵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해서 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Keypoint Detection Using Normalized Higher-Order Scale Space Derivatives (스케일 공간 고차 미분의 정규화를 통한 특징점 검출 기법)

  • Park, Jongseung;Park, Unsang
    • Journal of KIISE
    • /
    • v.42 no.1
    • /
    • pp.93-96
    • /
    • 2015
  • The SIFT method is well-known for robustness against various image transformations, and is widely used for image retrieval and matching. The SIFT method extracts keypoints using scale space analysis, which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keypoint detection methods that depend only on the image space. The SIFT method has also been extended to use higher-order scale space derivatives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keypoints detected. Such detection of additional keypoints detected was shown to provide performance gain in image retrieval experiments. Herein, a sigma based normalization method for keypoint detection is introduced using higher-order scale space derivatives.

Using the fusion of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for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공간과 시간적 특징 융합 기반 유해 비디오 분류에 관한 연구)

  • Jeon, Jae-Hyun;Kim, Se-Min;Han, Seung-Wan;Ro, Yong-Ma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8B no.6
    • /
    • pp.365-374
    • /
    • 2011
  • Recently,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techniques are of practical interest as ones can easily access to malicious multimedia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IPTV, online social network, and etc. Considerable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ing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systems. However, the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is not still being from mature in terms of reliable classification/filter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most of conventional approaches have been limited to using only the spatial features (such as a ratio of skin regions and bag of visual words) for the purpose of malicious image classification. Hence, previous approaches have been restricted to achieving acceptable classification and filtering performance. In order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limitation, we propose new malicious video classification framework that takes advantage of using both the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that are readily extracted from a sequence of video frames. In particular, we develop the effective temporal features based on the motion periodicity feature and temporal correlation. In addition, to exploit the best data fusion approach aiming to combine the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the representative data fusion approaches are applied to the proposed framework.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we collect 200 sexual intercourse videos and 200 non-sexual intercourse video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ncreases 3.75% (from 92.25% to 96%) for classification of sexual intercourse video in terms of accuracy. Further, based on our experimental results, feature-level fusion approach (for fusing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is found to achieve the best classification accuracy.

Robust Feature Normalization Scheme Using Separated Eigenspace in Noisy Environments (분리된 고유공간을 이용한 잡음환경에 강인한 특징 정규화 기법)

  • Lee Yoonjae;Ko Hanse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4
    • /
    • pp.210-216
    • /
    • 2005
  • We Propose a new feature normalization scheme based on eigenspace for achieving robust speech recognition. In general, mean and variance normalization (MVN) is Performed in cepstral domain. However, another MVN approach using eigenspace was recently introduced. in that the eigenspace normalization Procedure Performs normalization in a single eigenspace. This Procedure consists of linear PCA matrix feature transformation followed by mean and variance normalization of the transformed cepstral feature. In this method. 39 dimensional feature distribution is represented using only a single eigenspace. However it is observed to be insufficient to represent all data distribution using only a sin91e eigenvector. For more specific representation. we apply unique na independent eigenspaces to cepstra, delta and delta-delta cepstra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also normalize training data in eigenspace and get the model from the normalized training data. Finally. a feature space rotation procedure is introduced to reduce the mismatch of training and test data distribution in noisy condition. As a result, we obtained a substantial recognition improvement over the basic eigenspace normalization.

Model bas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ing New Feature Space (새로운 얼굴 특징공간을 이용한 모델 기반 얼굴 표정 인식)

  • Kim, Jin-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7B no.4
    • /
    • pp.309-316
    • /
    • 2010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odel based method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hat uses facial grid angles as feature space. In order to be able to recognize the six main facial expression, proposed method uses a grid approach and therefore it establishes a new feature space based on the angles that each gird's edge and vertex form. The way taken in the paper is robust against several affine transformations such as translation, rotation, and scaling which in other approaches are considered very harmful in the overall accuracy of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lgorithm. Also, this paper demonstrates the process that the feature space is created using angles and how a selection process of feature subset within this space is applied with Wrapper approach. Selected features are classified by SVM, 3-NN classifier and classification results are validated with two-tier cross validation. Proposed method shows 94% classification result an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improves results by up to 10% over the full set of feature.

A NOVEL VISUAL ATTENTION SEARCHING SYSTEM ADAPTED ON VARIOUS MOTION OF RECT SIZE (다양한 움직임 영역의 크기에 적응적인 시각 주의 탐색 시스템)

  • Choi, Byung Geun;Cheoi, Kyung 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580-58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시각 주의 탐색에 대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공간 주의 모델에 새로운 시간 특징 추출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색상 및 명암, 형태, 방위와 같은 공간 특징 외에 움직임과 같은 시간 특징을 추가로 사용한 시각주의 탐색 모델이다. 기존 시스템과 가장 큰 차이점으로 공간 특징의 가중치 결합 방법과 움직임 특징 추출방법, 공간과 시간 특징 간 결합방법에 있다.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다양한 환경의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제안하는 시스템은 영상에서 사람이 시각적으로 중요하게 인지하는 영역과 부합되는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