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추론능력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 analysis on middle school students' space geometrical thinking based on cylinder (원기둥을 이용한 중학생의 공간기하 이해 능력 분석)

  • Chang, Hyun Suk;Hong, Jeong Ae;Lee, Bongju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59 no.2
    • /
    • pp.113-13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well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 space geometrical concept related to a cylinder. To this end, we developed the test tool based on prior research and examined 433 middle school students in November and December, 2018. And in March 2019, we interviewed 4 students who showed some type of errors. The difference in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questions by the grade and gender was tested, and the error type was analyzed based on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questions to evaluate the spatial reaso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y grad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questions evaluating spatial visual ab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wo questions for evaluating spatial measurement ability and spatial reasoning ability, the difference in the correct answer rate between the 7th graders and 8th is not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between lower graders and 9th was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patial geometric ability of all girls and boy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ird, analyzing the student's error type for an item which assessed spatial reasoning ability, we found that there are various error types in relation to visual, manipulative, and reasoning errors.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Extended Sewer Surcharge on Anyangcheon Watershed Using PCSWMM (PCSWMM 모형을 이용한 안양천 유역에서 내수침수의 시간적.공간적 해석)

  • Lee, Kil-Seong;Kim, S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50-1155
    • /
    • 2006
  • 대부분의 도시지역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상당히 높은 특징으로 인한 유출용적 및 첨두유출량의 증가와 외수위보다 낮은 지반고의 지형학적 특징으로 인한 내수배제의 불량으로, 저지대의 침수위험도가 상당히 높다. 이러한 이유로, 빈도별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침수위험지역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공간적인 치수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효율적인 치수관리를 위해서는 공간적인 측면뿐 아니라, 침수위험지역 내 침수발생의 시간적인 측면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지역 내 내수침수발생에 대하여 공간적.시간적으로 살펴보고, 내수침수발생 위험지역 및 우선관리지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안양천 유역에서 대부분의 침수가 발생하는 서울시에 포함된 안양천 하류유역으로 하였다. 서울시에 포함된 안양천 하류지역에서 내수침수발생의 주원인으로는 외수위보다 낮은 지반고와 배수계통의 통수능력 부족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들 지역의 침수위험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하도 및 관거의 유출해석에 우수한 SWMM 모형의 EXTRAN block을 이용하여 모의를 실시하고 맨홀이 월류되는 지역을 내수침수 위험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각 빈도별 지속시간별 모의결과, 목감천 하류부의 고척 1동, 신월 1동, 화곡 2동, 도림천과 봉천천, 대방천이 만나는 구로동, 대림 1동, 대방동에서 침수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이들 지역은 또한 10년에서 30년 빈도별 모의에서도 모두 침수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선정되어, 우선관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우선관리지역의 선정은 홍수예.경보 측면에서는 주민의 신속한 대피와 같은 홍수대처능력과 치수관리측면에서는 소요되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으로 홍수범람모의시스템을 구축하여 분석결과를 피해지역주민 및 관련기관 실무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재해관리와 신속한 재해 상황 대처가 가능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는 또 다른 형태의 주제도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료변환 및 가공이 필요하다. 즉, 각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한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된 1:5,000 수치지형도가 있으나 이는 자료가 방대하고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하지 않은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습침수지구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불필요한 레이어의 삭제, 서비스 속도를 고려한 데이터의 일반화작업, 지도의 축소.확대 등 자료제공 방식에 따른 작업 그리고 가시성을 고려한 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

  • PDF

Development of MDA-based Subsurface Spatial Ontology Model for Semantic Sharing (시멘틱 공유를 위한 MDA기반 지하공간정보 온톨로지 모델 개발)

  • Lee, Sang-Hoon;Chang, Pyoung-W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1
    • /
    • pp.121-129
    • /
    • 2009
  • Today, it is difficult to re-use and share spatial information, because of the explosive growth of heterogeneous information and specific characters of spatial information accumulated by diverse local agency. A spatial analysis of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one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eeds related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ical map, geologic map, underground facility map, etc. However, current methods using standard format or spatial datawarehouse cannot consider a se-mantic hetergenity. In this paper, the layered ontology model which consists of generic concept, measuremnt scale, spatial model, and subsurface spatial information has developed. Also, the current ontology building method pertained to human experts is a expensive and time-consuming process. We have developed the MDA-based metamodel(UML Profile) of ontology that can be a easy under-standing and flexiblity of environment change. The semantic quality of devleoped ontology model has evaluated by reasoning engine, Pellet. We expect to improve a semantic sharing, and strengthen capacities for developing GIS experts system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ability of ontology.

  • PDF

3D lattice information space for TV contents based on spatial metaphor : TV interface perspective (공간적 은유를 적용한 3D 격자구조의 TV 콘텐츠 정보공간 제안 : TV 인터페이스 사용성 관점에서)

  • Lee, Jae-Gil;Shin, Donghe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5 no.5
    • /
    • pp.651-661
    • /
    • 2014
  • The complexity to search a specific content over TV platform is drastically increas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from computer data management system,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helps users to search and select content effectively. In general, contents over computers are represented by spatial metaphor, which replicates our physical environment and value systems about space. We suggest 3D lattice structure to construct information space for TV platform. Users can infer relevance between contents via special clue in information space, so as to select content more easily. Also, they can search contents through its temporal property that also represented in space. We make full use of our natural capability that can reduce additional overload to learning new interf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and heuristic contributions, as they can be applied to diverse service areas utilizing video contents.

A Study on Automatic Navigation of Ship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인공지능 방법을 이용한 선박 자동 항해에 관한 연구)

  • Jae-Hyun Lee;Sung-In Kang;Sang-Bae L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24 no.4
    • /
    • pp.235-246
    • /
    • 2000
  • 인공 지능 분야에서 특히 퍼지와 같은 기술은 전반적인 산업 자동화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퍼지 제어는 인간의 추론 과정을 모델링한 기술로서 인간에 유사한 결정 능력과 복잡하고 다양한 환경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퍼지 제어의 장점을 연근해의 선박 자동 항해에 적용시켜 보았다. 심해에서는 공간상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선박의 자동항해는 원하는 목표지점까지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지만, 연근해안에는 심해와 달리 각종 장애물들(작고 큰 섬들과 해안, 연근해에 작업중인 선박들)이 있으며 이것들로 인한 충돌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연근해안에서 보다 안전하고 자율적인 항해를 위해 인공 지능 기술인 퍼지 기술을 선박에 적용시켰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다변수 퍼지 시스템을 2개의 서로 다른 동적 환경을 가지는 지형에 적용시켜 보았고, 그에 따른 실험들을 수행했을 때,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다변수 퍼지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선박이 동적인 환경에서도 스스로 장애물을 인식하고 회피함으로 안전하게 연근해를 운항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nalysis on Factors and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Visualiz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시각화의 구성 요소 및 활용에 관한 분석)

  • Joo, Hong-Yun;Kwean, Hyuk-Jin
    • School Mathematics
    • /
    • v.14 no.1
    • /
    • pp.1-28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to identify factors of mathematical visualization through the thirty students of highschool 2nd year and to investigate how each visualization factor is used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process. Specially, this study perform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in terms of the five of thirty students to obtain the high grade in visuality assess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isualization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mental images, external representation, transformation or operation of images, and spacial visualization abilities. Also, external representation, transformation or operation of images, and spacial visualization abilities were subdivided more specifically.

  • PDF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Very Short Range Forecast of Precipitation System (초단시간 강수예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

  • Choi, Ji-Hye;Nam, Kyung-Yeub;Suk, Mi-Kyung;Choi, B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15-151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단시간 강수예보(VSRF, Very Short-Range Forecast of precipitation) 시스템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VSRF 모델은 레이더 반사도 자료와 지상 AWS 자료를 이용하여 레이더-AWS 강우강도를 산출하는 강수분석과정과 분석된 강수량 자료와 중규모 수치예보장을 사용하여 외삽법에 의한 초단시간 강수예보를 수행하는 예보과정, 실시간으로 산출된 강수예보 자료를 검증하고 홈페이지에 제공하는 자료지원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예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모델을 개선하였다. 첫째는 모델의 입력자료인 레이더-AWS 강우강도 자료를 기상연구소 원격탐사연구실에서 운영하던 WPMM (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과 기상청 기상레이더과에서 운영하던 RQPE(Rada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의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정확한 강우강도 자료인 레이더-AWS 강우강도(RAR, Radar-AWS Rain rate)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선하였으며, 둘째는 외삽과정을 통한 예보가 3시간이 지나면 예측능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업 중규모 모델(RDAP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의 예측강수와 병합하여 모델을 개선하였다. 또한 이를 시계열 검증 및 공간 검증하는 실시간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있다. 그 결과 입력자료 개선을 통한 모델의 정확도는 크게 향상된 결과는 볼 수 없었지만 미약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델의 병합을 통한 모델의 개선은 예측 3시간 이후부터는 50% 정도 향상되었다.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X>${\mu}_{max,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 PDF

A Case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al Pathway of Spatial Reasoning on Earth Revolution and Apparent Motion of Constellations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 Maeng, Seungho;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8 no.4
    • /
    • pp.481-494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Earth revolution and its accompanied apparent motion of constellation in terms of spatial reasoning. We designed a set of multi-tiered constructed response items in which students described their own idea about the reason of consecutive movement of constellations for three months and drew a diagram about relative locations of the Sun, the Earth, and the constellations. Sixty-five sixth grade students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tests both before and after science classes on the relative movement of Earth and Moon. Their answers to the items were categorized inductively in terms of transforming frames of reference which are observed on the Earth and designed from the Space-based perspective. We analyzed those categories by the levels of spatial reasoning and depicted the change of students' levels between pre/post-tests so that we could get an idea on the preliminary developmental pathway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is topic. The lower anchor description was that constellations move around the Earth with geocentric perspective. Intermediate level descriptions were planar understanding of Earth movement, intuitive idea on constellation movement along with the Earth. Students with intermediate levels did not reach understanding of the apparent motion of constellations. As the upper anchor description students understood the apparent motion of constellations according to the Earth revolution and could transform their frames of reference between Earth-based view and Space-based view. The features as the case of evolutionary learning progressions and critical points of students' development for this topic were discussed.

Relationships between thinking styles and the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of the Elementary Math Gifted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및 수학적 능력 구성 요소)

  • Hong, Hyejin;Kang, Wan;Lim, Dawo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7 no.2
    • /
    • pp.77-9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nking styles and the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of elementary math gift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inking styles: The gifted students prefer legislative, judical, hierarchic, global, internal and liberal thinking styles. General students prefer oligarchic and conservative thinking styl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The gifted students scored high in all sections. And if when they scored high in one section, then they most likely scored high in the other sections as well. But the spacial related lowly to the generalization and memorization.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morization and calculation Thir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inking styles and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Some thinking styles were related to components of mathematical ability. In functions of thinking styles, legislative style have higher effect on calculation. And executive, judical styles related negatively to the inference ability. In forms of thinking styles monarchic style had higher effect on space ability, hierarchic style had higher effect on calculation. Monarchic, hierarchic styles related negatively to inference ability. In level of thinking styles global, local styles have higher effect on calculation. Local styles related negatively to the inference ability. In the scope of thinking styles, internal style had a higher effect on generalization, and external style had a higher effect on calculation. And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leaning of thinking styles.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for Iden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교 수학 영재 판별을 위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 Cho, Seok-Hee;Hwang, Dong-Jou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7 no.1
    • /
    • pp.1-2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th test for iden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on the basis of their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o evaluate the goodness of the test. Especially,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oring method on the basis of fluency only for evaluation of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one of the main purposes. Ten closed math problems and 5 open math problems were developed requiring math thinking abilities such as intuitive insight, organization of information, in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generalization and applic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The 10 closed math test items of Type I and the 5 open math test items of Type II were administered to 1,032 Grade 7 students who were recommended by their teachers as candidates for gifted education programs. Students' responses were scored by math teachers.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by BIGSTEPS and 1 parameter model of item analyses technique. The item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oblems were good in reliability, validity,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ng power even when creativity was scored based on the single criteria of fluency. This also confirmed that the open problems which are less-defined, less-structured and non-entrenched were good in measuring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candidates for math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s discriminated applicants for the two different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