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증강현실

Search Result 30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Spatial Analysi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s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의 공간 분석)

  • Kim, Hyo-Joung;Sung, Jung-Hw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9 no.4
    • /
    • pp.5-14
    • /
    • 2019
  • This essay analyzes space in augmented reality games, and attempts to offer space analytic standard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games in regards to space in existing games. This article proposes categorizing criteria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Analysis of space in existing games, Jason Jerald's Three Virtual Space Horizon Categories, interaction between virtual world and real world, and Lavroff's Three deciding factors of reality perception in virtual reality.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criteria of the Augmented Reality game space is presented through this analysis.

A Precise Tracking System for Dynamic Object using IR sensor for Spatial Augmented Reality (공간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적외선 센서 기반 동적 물체 정밀 추적 시스템)

  • Oh, JiSoo;Park, Jinh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3 no.3
    • /
    • pp.115-122
    • /
    • 2017
  • A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augmented reality showed infinite possibilities throughout society. However, current augmented reality systems such as head-mount display and hand-held display systems suffer from various problems such as weariness and nausea, and thus space-augmented reality, which is a projector-bas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Spacial augmented reality requires precise tracking of dynamic objects to project virtual images in order to increase realism of augmented reality and induce user 's immersion. The infrared sensor-based precision tracking algorithm developed in this paper demonstrates very robust tracking performance with an average error rate of less than 1.5% and technically opens the way towards advance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such as tracking for arbitrary objects, and Socially, by easy-to-use tracking algorithms for non-specialists, it allows designers, students, and children to easily create and enjoy their own augmented reality content.

A Study on u-GIS Outdoor Augmented Reality System Development (u-GIS 야외 증강현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eong-Hwan;Kim, Shin-Hyoung;Kil, Woo-S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1
    • /
    • pp.183-188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t a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u-GIS outdoor augmented reality(AR) system. The proposed system is consist of three parts. First, sensor acquisition and calibration for AR, Second, camera and sensor based tracking for AR, Third, integration of sensor information and 3D models. We combine spatial information of real and virtual spaces through u-GIS AR system.

  • PDF

Designing Structure of Context-aware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AR Interface (공간과 사용자 맥락을 반영한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상의 지능적 정보 시각화 방법론 설계)

  • Choi, I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445-447
    • /
    • 2012
  • 현재 증강현실 인터페이스 상의 정보시각화는 공간과 사용자 그리고, 구조를 적절히 반영하여 제공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증강현실이 만들어낸 현실과 가상의 병치된 공간 안에서, 인터페이스는 우리가 생활하는 물리적 공간 그 자체가 된다. 따라서 증강현실을 위한 UI를 구조화 할 때, 기존 인터페이스가 가진 특성을 AR공간안에서 재해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상 지능적 정보 시각화에 있어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정보디자인의 설계 과정을 토대로 추출하여 AR공간에 특화된 UI구축의 방법론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Coloring Book (상호작용형 증강현실 색칠공부 설계 및 구현)

  • Cho, Kwangmoon;Kim, Hadong;Lee, Youngh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1 no.1
    • /
    • pp.5-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esign of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coloring book.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user's participation and interest by using real space, augmented reality space, and virtual reality space all together.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we implemented the PlayingHouse, an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coloring book.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AR coloring book could be the category of the library.

Context-aware Mobile AR System for Personalization, Selective Sharing, and Interaction of u-Contents in u-Space (지능형 정보 공간에서 u-콘텐츠의 개인화, 선택적 공유 및 상호작용을 위한 맥락 인식 증강 현실 시스템)

  • Suh, Young-Jung;Park, Young-Min;Shin, Choon-Sung;Yoon, Hyo-Seok;Chang, Yoon-Je;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98-60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정보 공간에서의 모바일 증강 현실 기반 환경 제어, u-콘텐츠의 개인화, 선택적 공유 및 협업의 개념을 포함하는 맥락 인식 모바일 증강 현실 (Context-aware Mobile AR) 시스템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인프라의 발전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컴퓨팅 리소스들로부터 획득되는 환경 및 개인의 맥락정보와 u-콘텐츠 활용의 용이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스마트 오브젝트들을 인지하기가 어려우며, 인터페이스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스마트 오브젝트들을 제어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또한, 다양한 u-콘텐츠의 획일적인 증강은 사용자에게 혼란만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제안된 시스템은 맥락 인지 기술과 모바일 증강 현실 기술을 접목하여 개인화된 스마트 오브젝트 컨트롤과 개인화된 u-콘텐츠의 증강 및 선택적인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 PDF

An Efficient Framework for Making Spatial Augmented Reality Digital Contents (공간 증강 현실 디지털 콘텐츠 제작을 위한 효율적인 프레임워크)

  • Chun, Young-Jae;Oh, Kyoung-Su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3 no.3
    • /
    • pp.77-84
    • /
    • 2013
  • We introduce a new framework for making spatial augmented reality contents fast and with low cost. The framework allows us to make projection-based augmented reality using off-the-shelf webcams and projectors. Contents producers can make a projection-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s easy and fast by setting a webcam and a projector and then controlling user interfaces of our framework. Since most of previous solutions are expensive and it is too difficult that the producers apply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themselves, the framework helps them to concentrate contents. Once we set a webcam and a projector correctly, our framework projects a virtual object contents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a trackable real object. As a result we can see realistic augmented reality contents.

Trend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증강현실(AR) 기술개발 동향)

  • Chun, H.W.;Han, M.K.;Jang,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54-61
    • /
    • 2017
  •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실제공간에 가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증강하여 사용자가 증강된 가상정보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현실공간을 직접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로 활용하는 증강현실은 가상세계 구성을 위한 3차원 모델링의 부담을 줄인 반면, 사용자 이동과 주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실시간 정보나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 PDF

가상 증강현실에서의 OpenXR과 WebXR

  • Gang, Jin-Gyu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6 no.1
    • /
    • pp.12-18
    • /
    • 2021
  • 최근 3D 그래픽스 기술과 관련된 기기들의 비약적 발전을 통해 가상, 증강, 확장 현실이라는 기존의 현실 세계에 새로운 정보를 더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선 앱 기반의 가상, 증강, 확장 현실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기기별 또는 브라 우저별, OS별로 개발 환경이 다름으로 인한 개발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애로사항들이 있었고, 이로 인해 Web 환경에서의 가상, 증강, 확장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표준형 통합 플랫폼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OpenXR, WebXR이 가상 증강현실에서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기술을 공개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산업 모두에서 좋은 호응을 얻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가상 증강현실에서의 OpenXR과 WebXR 표준에 대한 정의 및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고, 가상 증강 환경에서의 기술 동향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A Spatial Index Technique supporting Efficient Spatial Query Processing for AR Applications (AR 응용을 위한 효율적인 공간 질의 처리를 지원하는 공간색인)

  • Park, Jang-Yoo;Yang, Pyoung-Woo;Nam, K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50-52
    • /
    • 2010
  • 전통적인 공간 정보 기술인 GIS는 최근 첨단 정보통신 기술들과의 융 복합을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진화하고 있다. 한편, 증강현실 기술은 (Augmented Reality) 가상의 그래픽 환경을 실제 환경에 합성하여 사용자가 실제와 가상을 동시에 인식하게 하는 기술이다. 최근 휴대기기의 발달로 전통적인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에 증강현실을 접목하여 다양한 정보를 실제 환경에 더해 보여주는 기술들이 증가 하고 있다. 전통적인 GIS에서의 공간 질의는 최소 정계 사각형을 사용하지만 증강현실이 적용되는 공간 질의는 삼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증강현실 응용을 위한 공간 질의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데드 스페이스 발생으로 인한 노드의 추가 검색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서 기존의 R-tree 기반의 공간 색인들의 성능 향상을 꾀한다. 마지막으로 PostGIS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