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의

Search Result 1,88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pace-Based Approach to Organizing Local Records Using CIDOC CRM: A Case of the Port of Busan (CIDOC-CRM을 이용한 지역기록의 공간 기반 구조화 - 부산항을 사례로 -)

  • Hyun, Moon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5 no.2
    • /
    • pp.83-10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pability of organizing local record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pace can be a useful context of records. Accordingly, it designed a records model on additional space entity. It attempted to organize five sample records based on the space of the port of Busan (Busanhang) using CIDOC CRM (6.0). In conclusion, it presented that a space entity provides relations across other entities. As such, it is possible to propose a defining space entity when designing records model that can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records' contexts.

A Method of Representing Sensors in 3D Virtual Environments (3D 가상공간에서의 센서 표현 방법)

  • Im, Chang Hyuk;Lee, Myeong 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4
    • /
    • pp.11-20
    • /
    • 2018
  • Applications about systems integration of sensors and virtual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increasingl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ability to represent, control, and manage physical sensors directly in a 3D virtual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a method of representing physical sensor devices in a 3D virtual environment has been defined using mixed and augmented reality, including virtual and real worlds, where sensors and virtual objects co-exist. The research is intended to control and manage various physical sensors through data sharing and interchange between heterogeneous computing environ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eneral sensor types have been classified, and a sensor based 3D scene graph for representing the functions of sensors has been defined. In addition, a sensor data model has been defined using the scene graph. Finally, a sensor 3D viewer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scene graph and the data model so as to simulate the functions of sensors in indoor and outdoor 3D environments.

공간 통계 분석을 이용한 DEM 오차 패턴 연구

  • 안은자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07-210
    • /
    • 2003
  • 지리학적 정보는 지구의 표면이나 가까이에 나타나는 현상과 사상에 대한 정보로서 정의된다(Goodchild et al., 1999). 지리학에서, 이러한 지리학적 정보는 특정한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공간자료로 이용되는데, 이는 공간적 패턴을 통해 유형화된다. 이러한 공간자료는 현지답사를 통해 수집ㆍ분석되며, 관찰자의 주관적 판단, 기술적인 오류로 인해, 오차의 필연적 발생 가능성을 안고 있다(Maffini, 1989; Bolstad, 1990; Dunn, 1990; Keeler, 1991). (중략)

  • PDF

ON FUZZY SEPARATiON AXiOMS (퍼지 분리 공리에 관하여)

  • Cho, Jin-S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 no.1
    • /
    • pp.189-194
    • /
    • 1996
  • Several fuzzy separation axioms have been defined and Investigated by many authors. The purpose of this note Is to compare fuzzy T, -axioms due to Ganguly and saha with ones due to Mutton and Reilly.

  • PDF

Spatial Query Processing using Materialized Views in Client/Server Spatial Databases (클라이언트/서버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체화된 뷰를 이용한 공간질의 처리)

  • 문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593-596
    • /
    • 2002
  • 일반적으로 공간질의 처리는 복잡한 대용량 공간데이타를 대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특히, 클라이언트/서버 공간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자주 이용하는 질의를 반복하여 처리하는 경우에 서버의 부하가 증가되며 질의 응답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서버 공간 데이타베이스에서 클라이언트측의 공간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캐싱 등의 기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자주 이용되는 공간질의를 뷰로 정의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실체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캐싱을 처리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 실체화된 뷰를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질의 수정 기법을 적용한 공간질의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

  • PDF

Declustering of Moving object database based on Inertia (관성을 이용한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의 디클러스터링)

  • 서영덕;김진덕;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734-736
    • /
    • 2003
  • 이동체의 궤적을 저장하는 대용량 이동체 DB는 대규모의 이동 객체 궤적의 효과적인 검색을 위하여 디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한 객체 궤적의 분산 배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 공간 객체의 디클러스터링 기법은 이동체의 특성과 시간 영역에 대한 고려 없이 디클러스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단순히 현재 시점에서 색인 노드의 공간 관련성안을 판단의 근거로 삼고 있어서 효과적인 디클러스터링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에서 빠른 질의 수행을 위한 디클러스터링 기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체 궤적에 대한 질의 시 빠른 응답 시간을 얻고 전제 시스템의 처리율 향상을 위한 디클러스터링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되는 방법은 이동체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이동 시간에 의한 이동 궤적의 관성을 정의하고, 이를 색인의 노드 단위로 확장한 노드의 관성을 정의한다. 정의된 관성을 이용하여 이동체 궤적의 노드가 저장될 디스크를 정의함으로써 궤적 데이터의 디클러스터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PDF

The Consistency Control of Client Views in Spatial Database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클라이언트 뷰의 일관성 제어 기법)

  • Im, Deok-Seong;Ban, Jae-Hun;Mun, Sang-Ho;Hong, Bong-Hui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2
    • /
    • pp.140-152
    • /
    • 2001
  •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버의 공간 데이터를 검색, 접근하기 위한 공간 질의는 대용량의 공간 객체에 대해 복잡한 공간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자주 이용하는 공간 질의를 매번 서버에서 처리하는 경우에 서버의 부하가 증가하며 질의 응답시간도 길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간 질의를 뷰로 정의하고 클라이언트에 실체화하면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뷰를 유도한 서버의 소스 객체의 변경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실체화된 뷰 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환경에서 질의 수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체화된 공간뷰 개념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 뷰를 정의하고 유형을 분류한다. 그리고 실체화된 클라이언트 뷰의 리관성 제어를 위해 재수행 방법에 비해 변경 속도가 빠른 점진적 변경 방법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일관성 제어시 필요한 추가정보를 기술하고, 추가정보를 이용한 일관성 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그리고, 제시한 실체화 방법과 일관성 제어 알고리즘의 실현을 위하여 객체지향 GIS시스템임 고딕(GOTHIC)에서 설계 및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 PDF

Spatial Object-Relational Data Model in iSTORM (iSTORM에서의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

  • 박경현;남광우;박성희;류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4-26
    • /
    • 2000
  • 공간 데이터는 복합적인 속성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연산 또한 복합적이라는 점에서 일반 데이터와 다른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는 일반 속성 데이터와 구별되는 파일이나 별도의 저장 구조를 사용하여 관리되어야 한다. 이것은 비공간 데이터와 공간 데이터간의 상호 동기화 문제와 트랜잭션의 처리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간 데이터와 비공간 데이터를 단일 데이터베이스화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일화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지원하기 이한 공간 객체-관계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고 이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타입 저장 방법들에 대해 기술한다.

  • PDF

거리의 확장화에 대하여

  • 양인환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no.1
    • /
    • pp.5-7
    • /
    • 1976
  • Euclid 기하학이 성립하는 공간은 우리들과 가장 밀접한 공간이다. Descartes의 해석기하학은 Euclid의 3차원공간에서 성립한다. 이 경우 점이라 해도 그것은 3개의 실수의 순서쌍(x, y, z)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 생각해도 좋다. 일반의 n차원 Euclid 공간 R$^n$에 대해서도 같은 생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n=1은 수치선, n=2는 평면, n=3은 소위 3차원의 공간으로서 직관적으로 상상할 수 있으나 n(equation omitted)4인 경우는 상상하기 어렵다. 여기서는 거리의 성질과 추상공간을 논하고 Euclid 공간의 거리에서 출발하여 그 성질중 삼각부등식을 계산을 통하여 증명하므로서 공간의 확장화가 이루워짐을 보였다.

  • PDF

가속도 집합이론과 매니퓰레이터 설계에의 응용

  • 김용일
    • Journal of the KSME
    • /
    • v.31 no.1
    • /
    • pp.51-59
    • /
    • 1991
  • 본 글에서는 일반적인 공간 매니퓰레이터에 관한 가속도 이론을 서술하였다. 즉, 주어진 매 니퓰레이터에 대하여 액튜에이텨 토크집합 T에 대한 치역 $S_t$와 관절변수변화율집합 F에 대한 지역 $S_q$를 정의하였다. 또한 상태공간에서의 한 점 u에서의 상태가속도 집합 $S_u$를 정의하였다. 치역 $S_t$를 결정하고 그 성질인 최대가속도와 동방가속도를 결정하였다. 아울러, 가속도이론의 하나의 적용례로서 정해진 동방기동가속도를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액튜에이터 토크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본 결과의 다양한 응용예는 기존연구를 참조하기 바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