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정의

검색결과 1,886건 처리시간 0.025초

탄성파 데이트를 이용한 지하 불연속면 인식 시스템 개발연구 (Sub-surface Fault Detection System Development Using Elastic Wave data)

  • 방갑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상)
    • /
    • pp.191-194
    • /
    • 2003
  • 공간정보의 처리는 방대한 양의 자료처리가 필수적이므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과 함께 최근에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온 분야이다.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한 지리정의시스템(GIS)에 의한 공간정의의 분석과 처리는 근래에 많은 응용을 갖는 분야로서 자리를 잡고 있으며 파생되는 응용분야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지하정보에 대한 연구는 지하정보의 비가시적인 특성상 아직은 초기단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지하 지층 분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는 지하 광물자원에 대한 정보 또는 지상의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탄성파를 이용하여 얻어진 지하 지층구조를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시스템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 이와 관련된 사항을 기술하였다. 공간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지하지층을 인식하는 시스템의 개발은 지질 전문가의 해석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셀룰러 공간에 존재하는 이동객체 궤적의 유사성 측정 (Similarity measures for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in cellular space)

  • 강혜영;김준석;황정래;이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291-301
    • /
    • 2008
  • 대부분의 지리정보 시스템들은 유클리디안 공간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셀룰러 공간 역시 많은 지리정보 시스템 응용을 위한 기반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셀룰러 공간에 존재하는 이동객체의 이동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유클리디안 공간과 분명히 다른 특징을 갖는 셀룰러 공간상에 존재하는 이동객체들의 유사도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러 공간에 존재하는 이동객체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셀룰러 공간에 존재하는 궤적들 간의 유사도를 정의할 수 있는 2가지의 비교지수를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제시한 비교 지수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 PDF

3차원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의 설계 (The Design of 3D Web Map Service Components)

  • 조대수;최혜옥;이종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7-10
    • /
    • 2001
  • 웹의 특징인 조작의 간편함, 뛰어난 접근성 등으로 인해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검색, 접근을 위한 웹 맵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지리정보 분야의 대표적인 컨소시움인 OGC 를 통해서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가 정의됨에 따라 향후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공유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현재 정의된 웹 맵 서비스에는 3 차원 맵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3 차원 데이터 모델에 따라 구축된 공간 데이터가 거의 없으며, 맵 출력을 위한 출력 요소 정의 언어인 SVG 또는 WebCGM 등이 3 차원 기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OCG 의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준수하면서, 최소한의 확장을 통해 3 차원 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안한다. 3 차원 맵은 2 차원 공간 데이터와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므로, 3 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추가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 PDF

3차원 캘리그라픽 스트로크를 이용한 가상디자인 알고리즘 (Virtual design algorithm using the three dimensional calligraphic strokes)

  • 최한울;채영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556-558
    • /
    • 2005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3차원 인터렉티브 스케칭 시스템은 쉽고 간략한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유연하고 정교한 물체 생성 및 변형이 가능한 3차원 개념설계 시스템이다. 제품의 설계 과정에서 무선 완드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에 일련의 프리핸드 스트로크로 곡면을 정의하고 생성된 곡면은 캘리그래픽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형할 수 있는 공간 곡면의 정의와 실시간 자유 변형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공간 곡면 정의 알고리즘은 무선완드의 입력 방위에 따라 상이한 물체를 생성하고 변형하는 기술로서 물체 생성시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절러 차례 캘리그라픽 스트로크 입력으로 수정과 변형이 실시간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자유변형 알고리즘은 기존의 공학적. 수치적 접근방식에서 탈피한 직관적이며 유연한 모델링 방식을 제안하여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공학적 모델을 생성. 변형 할 수 있다. 누구나 쉽게 본 시스템의 도움으로 직관적이며 공학적으로 건전한 제품을 설계할 수 있는 디자인 설계의 획기적인 변화를 마련할 것이다.

  • PDF

임베디드 시스템의 객체 관계형 DBMS에 적합한 공간 인덱스 방법 비교 연구 (Comparison research of the Spatial Indexing Methods for ORDBMS in Embedded Systems)

  • 이민우;박수홍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3-74
    • /
    • 2005
  • 차량 및 교통 분야의 대표적인 임베디드 시스템인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 기반의 공간 DBMS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 DBMS는 기존의 ORDBMS의 사용자 정의 타입과 사용자 정의 함수라는 표준적인 기능을 이용하여 쉽게 확장 개발할 수 있지만, 공간 인덱스의 경우 SQL3에서 표준적인 개발 방법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은 환경에서 공간 인덱스를 개발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ORDBMS에서 사용자 정의 인덱스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는 Generalized Search Tree 방법과 Relational Indexing 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각 방법에 대해 R-트리의 구현 및 영역 질의에 대한 실험을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 적합한 공간 인덱스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On Cn-Semistratifiable over $\alpha$

  • Han, So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55-61
    • /
    • 1988
  • 이 논문에서는 CS-Semistratifiable 공간보다 더 일반화된 공간 Cn-Semistratifiable을 정의 하며 그에 따른 여러가지 성질들을 조사하였다. 위상 공간(X, $\tau$)에 대하여 $\alpha$$\times$$\tau$에서 X의 폐집합족으로의 함수 S가 존재하여 다음 조건들을 만족할 때 공간X는 Cn-Semistratifiable over $\alpha$라 정의한다. a) 임의의 개집합 U에 대하여 U=U{S($\beta$, U) : $\beta$<$\alpha$} b) U, V가 X의 개집합이고 U⊂CV이면 모든 $\beta$<$\alpha$에 대하여 S($\beta$, V)⊂S($\beta$, V)이다. c) 만약 ${\gamma}$<$\beta$<$\alpha$ 이라면 임의의 개집합 U에 대하여 S(${\gamma}$, U)⊂S($\beta$, U)이다. d) X의 수렴하는 net $X_{\beta}$$\longrightarrow$X와 X를 품는 임의의 개집합 U에 대하여 적당한 $\beta$<$\alpha$가 존재하여 X$\in$S($\beta$. U)이고 { $X_{\beta}$}는 S($\beta$, U)안에 eventual하게 들어간다. 위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들이 증명되었다. 1 . Strstifiable over $\alpha$$\longrightarrow$cn-semistratifiable over$\longrightarrow$semistratifiable over $\alpha$ 2, 어떤 공간이 cn-Semistratifiable over $\alpha$이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은 그것이 linearly cushioned cn-pairnet를 갖는 것이다. 3. cn-semistratifiable over $\alpha$의 부분공간 역시 cn-semistratifiabie over $\alpha$ 하다. 4. on-semistratifiable over $\alpha$의 유한개의 적공간 역시 cn-semistratifiabie over $\alpha$한다. 5. 폐 cn-semistratifiable over $\alpha$ 부분공간들의 합공간 역시 on-semistrbtifiable over $\alpha$ 하다. 6. 폐연속 net-cevering 함수에 의하여 cn-semistratifiable over $\alpha$ 성질이 보존된다.

  • PDF

다중 스케일 평균곡률 기반 전역 희소치를 이용한 메쉬 돌출 정의 (Mesh Saliency using Global Rarity based on Multi-Scale Mean Curvature)

  • 전지영;권영수;최유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79-158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메쉬 모델의 중요 영역을 표현하는 메쉬 돌출맵(mesh saliency map)을 생성하기 위하여 다중 스케일 평균 곡률 (multi-scale mean curvature)을 기반으로 정의된 전역 희소치(global rarity)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우선, 메쉬 모델의 지역 영역 특성을 정의하기 위하여 기존 관련 연구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가우시안 가중치 평균곡률(Gaussian-weighted mean curvature)을 5단계 서로 다른 스케일에서 정의하고, 메쉬의 각 정점(vertex)에 대하여 중심주변 연산자(center-surround operator)를 적용하여 5단계 지역 돌출특성(local saliency)을 정의한다. 주어진 메쉬 모델의 전역 희소치를 구하기 위하여 메쉬의 모든 정점쌍 (vertex pair)에 대하여 5단계 지역 돌출 특성 공간에서의 거리를 계산하고, 각 정점별로 5단계 지역 돌출 특성 공간에서의 다른 정점과의 거리의 합으로 전역 희소치를 정의한다. 이러한 전역 희소치를 각 정점의 메쉬 돌출치로 정의한다. 서로 다른 형태의 3차원 모델에 대하여 제안방법에 의한 메쉬 돌출맵과 지역 특성만을 고려한 기존 메쉬 돌출맵을 생성하여 중요 영역 표현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OpenGIS의 Simple Feature Geometry컴포넌트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imple Feature Geometry Component of OpenGIS)

  • 황정래;강혜경;강인수;이기준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3권2호
    • /
    • pp.139-153
    • /
    • 2000
  • 지리 정보 시스템을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간의 이질성을 최소화하고 공간 데이터의 호환성이나 상호 연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OGC에서 OpenGIS의 사양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penGIS에서 정의된 공간 데이터 모델을 지원하는 컴포넌트를 구현한 것이다. 즉, OpenGIS에서 요구되어진 사양에 따라 SFG (Simple Feature Geometry) 컴포넌트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구현상의 발생되었던 문제점과 이 해결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구현 도중에 발견된 OpenGIS SFG의 사양 자체의 문제점도 함께 제시한다.

  • PDF

상호운용성을 고려한 GIS 메타데이터의 관리 (The Management of GIS Metadata for Interoperability)

  • 이성종;이순희;류근호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2권2호
    • /
    • pp.121-127
    • /
    • 1999
  • 지형공간 정보 시스템의 상호운용성 및 메타데이터에 관한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모델의 개발과 표준 사양의 정의, 데이터 포맷의 표준화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시스템 상호 운용성을 고려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계와 구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아직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지형공간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기술 표준화 동향을 수용하며 이기종 분산환경에서 지형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통합메타데이터 저장소의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설계된 메타데이터 관리자의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기능 명세를 세부적으로 정의하여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메타데이터의 관리방법으로써의 통합메타데이터저장소 시스템과 관리자의 기능을 제시하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