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 변화

Search Result 2,63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Visualizing Spatial Inform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Social Infrastructure using Text-Mining Method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사회기반시설 기후변화 영향의 공간정보 표출)

  • Shin, Hana;Ryu, Jaena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3 no.5_3
    • /
    • pp.773-786
    • /
    • 2017
  • This study was to analyze data of climate change impacts on social infrastructure using text-mining methodology, and to visualize the spatial information by integrating those with regional data layers. First of all, the study identified that the following social infrastructure; power, oil and resource management, transport and urban, environment, and water supply infrastructures, were affected by five kinds of climate factors (heat wave, cold wave, heavy rain, heavy snow, strong wind). Climate change impacts on social infrastructure were then analyzed and visualized by regions. The analysis resulted that transport and urban infrastructures among all kinds of infrastructure were highly impacted by climate change, and the most severe factors of the climate impacts on social infrastructure were heavy rain and heavy snow. In addition, it found out that social infrastructure located in Seoul and Gangwon-do region were relatively large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atypical data in media was used to analyze climate change impacts on social infrastructure and the results were translated into spatial information data to analyze and visualize the climate change impacts by regions.

Smart Space Technology based on Spatial Knowledge (공간정보 기반 스마트 공간 구성 기술)

  • Rhee, Sang Keun;Lee, K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83-108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우리 주변의 생활 공간을 지능화하고 편리하게 만들기 위한 연구 방향으로서 공간 정보를 토대로 한 스마트 공간 기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3D 공간 모델을 구성하고 공간 내의 객체를 인식 및 식별하고 추적함으로써 변화하는 공간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복합 공간 상황 모델로 구성 및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각 사용자의 작업 이력을 학습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안하기 위한 학습 기술 및 응용 서비스를 구현하고, 간단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술의 가능성을 검증한다.

A Basic Study on Ubiquitous Service Development in Apartment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Do, Sang-Rae;Lertlakkhanakul, Jumphon;Choi, Jin-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71-178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오늘날 인간생활 행태의 변화뿐만 아니라 미래건축 공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환경인 주거 공간의 변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형 홈, 사이버 아파트 등의 새로운 미래주거 공간이 나타나고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를 위한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공간에 적절히 적용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수요자 요구와 관련 없이 서비스가 설계되어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재의 홈네트워크가 IT 업계가 제공한 솔루션과 기기 중심으로 서비스가 개발되고, 공급자 위주의 기능의 편리성을 위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며, 주택을 잘 알고 있는 건설인과의 협업이나 최종 사용자의 기호가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수용되고 있지 못하고 공간 디자인과 서비스 개발이 유리화되어 선 시공 후, 서비스를 끼워 맞추기식으로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개발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공동 주택의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공간에 적용하여 부합되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절한 미래공간을 디자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그 목적을 둔다.

  • PDF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r Establishin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Matrix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매트릭스 작성을 위한 공간정보 특성 고찰)

  • HWANG, Jin-Hoo;JANG, Rae-Ik;JEON, Se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2
    • /
    • pp.44-55
    • /
    • 2018
  •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greenhouse gas inventory is emerging for policymaking and its implementation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us, it is needed to establish Approach 3 level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matrix that is spatially explicit regarding land use classifications and changes. In this study, four types of spatial information suitable for establishing the LULUCF matrix were analyzed - Cadastral Map, Land Cover Map, Forest Map, and Biotope Map. This research analyzed the classification properties of each type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mpar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aps in Boryeong city. Drawn from the conclusions of the quantitative comparison, the forest area showed the maximum difference of 50.42% ($303.79km^2$) in the forest map and 46.09%($276.65km^2$) in the cadastral map. The qualitative comparison drew fiv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data construction scope difference, data construction purpose difference, classification standard difference, and classification item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evident that the biotope map was the most appropriate spatial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ULUCF matrix. In addition, if the LULUCF matrix is made by integrating the biotope, the forest map, and the land cover map, the limitations of each spatial information would be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LULUCF matrix is expected to be improved when the map of the level-3 land cover map and the biotope map of 1:5,000 covering the whole country are completed.

The Comparative Research On 2D Web Mapping Open API for Designing Geo-Spatial Open Platform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설계를 위한 2D Web Mapping Open API 비교 연구)

  • Choi, Won Geun;Kim, Min Soo;Jang, In Sung;Chang, Yoon-Seop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5
    • /
    • pp.87-98
    • /
    • 2014
  • Google Maps have changed the response time of Web-GIS using AJAX technologies. In addition, Google released the Open API named Google Maps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it lead to the big paradigm on the Open API, where the SDK(Software Development Kit) and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had ruled at the related map market. In short, the Open API has been paradigm-shifting for the web mapping. After this, government, many companies and open source foundations have guided Web-GIS market's growth through releasing the relevant Open APIs. So many comparative analysis on web-mapping API carried out by many researches. However there were no researches that can be applied to our current domestic environments. This paper investigates components of web-mapping API. Then we compare how many components supported and enumerate features for each of those API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Web Mapping API.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sotherm and Isohaline Forecast System using Temporal GIS (TGIS 개념을 이용한 등온선 및 등염분선 예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wak, Ho-Yo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 no.1
    • /
    • pp.73-86
    • /
    • 2000
  •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system that collects, stores, analyzes and processes geographic object data existing in space. The GIS is widely used in application fields related to geography such as city planning, land-register management, forest resources management, etc.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GIS have been well demonstrated, and therefore many studies on this system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most of those studies have just treated geographic information as spatial information, but have not considered or have overlooked changes of spatial data dependent on time. For example, transpor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atmospheric phenomena forecast, have not exactly reflected the actual world which changes with the flow of time. In this thesis, a temporal GIS is established to effectively and precisely process information on space objects changing with time and a database is built up in reference to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the isotherm and isohaline forecast system implemented to support graphical tool.

  • PDF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for Future Vegetation Information Using NOAA AVHRR Image and Weather Dat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NOAA AVHRR 위성영상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자료를 이용한 미래 식생정보 예측 기법 개발)

  • Ha, Rim;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62-168
    • /
    • 2007
  • 기후변화는 강수유형, 기온상승과 일사량의 변화로 인한 증발산량의 변화, 유역 식생피복변화로 인한 지표-대기 관계의 변화와 같은 현상을 통해 지역 부존 수자원과 유출량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지표면의 76%를 차지하고 있는 식생피복은 지표와 대기 사이의 물 순환과정에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넓은 지역에 대한 식생피복의 파악이 용이한 NOAA 위성의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센서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규화 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통하여 현 식생정보를 정량화하였다. 이로부터 토지피복별 NDVI와 기상인자(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풍속, 습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인자로 부터 토지피복에 따른 미래 NDVI를 추정하였다.

  • PDF

A study of strategy on Geo-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and data management for reservoir sediment deposition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DB구축방안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

  • Jung, Seung-Kwon;Choi, Jung-Min;Lee, Kyoung-Do;Yoon, Tae-Yo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52-1657
    • /
    • 2009
  • 종이지도, CAD 도면, 항공사진과 같은 형태로 구축되어 있는 저수지 퇴사자료는 자료의 훼손 변질 등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자료관리를 위한 인력의 업무중복 및 시간부족에 따른 조사자료의 질의 저하 및 부정확성 문제 등 퇴사자료 관리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수지 퇴사자료의 DB구축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구축되고 있는 항공사진과 같은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으로 기존 자료와의 상호 활용성 미흡, 관련 사업의 연계성 부족 등의 문제점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사업 추진방향을 제시하여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퇴사자료 구축현황을 분석하고, 저수지퇴사 공간정보에 대한 구축방안을 수립하였으며, 구축된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관리방안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공간정보 DB의 구축과 자료관리방안 수립으로 시 공간적 변화로 인한 저수지 퇴사를 쉽고 신속히 활용할 수 있는 공유기반 및 활용체계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효율적인 댐운영관리 및 수자원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rends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Network Configuration of Smart Society (공간정보 기술동향과 스마트사회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연구)

  • Kang, Young-mo;Kang, Chan-woo;Han, Kyeong-seok;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907-914
    • /
    • 2015
  • Currentl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configuration, and system regarding spacial information policies show the little progress. However, these studies only propose the basic structure system in terms of a policy theory, seeking and suggesting the basic concept to establish spacial information policies. In the shift of a new paradigm from a PC-based paradigm that began in the mid-2000s to the current smart society based on mobile devises, such as smart phones, this study thus reviewe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ropulsion to establish the desired future strategy for the spatial technology policy with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at can influence the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analyze a variety of issues and technological changes on geospatial intelligence at the global level and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road-map for policies and research & development on domestic geospatial information.

  • PDF

Concep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u-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u-행복도시 구상 및 추진전략)

  • Kim, Jeong-Hun;Choe, Byung-Nam;Sin, Jeong-Yeop;Lee, Mi-Su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13-120
    • /
    • 2005
  • 최근의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향후 도시를 건설할 때 도시운영 및 관리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이 향유할 각종 서비스에 정보통신기술 변화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건설하기 위해서도 이러한 정보기술의 변화를 전망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추진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는 과거의 전형적인 도시개발방식에서 탈피하고, 새로운 방식과 모델을 도입하여 21세기의 모범적인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IT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도시의 물리적 거리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무한한 정보를 매체로 새로운 도시공간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전을 통해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u-행복도시의 비전을 '사람과 자연과 기술이 하나되는 세계제일의 지능정보도시'로 정의하고 이러한 비전을 토대로 행적 효율과 시민 편익이 제고되는 전자 행정중심 도시, 자연과 인간이 함께 하는 지능형 환경 도시, 시민 안전을 도모하는 첨단정보관리 도시,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는 정보 네트워크 도시에 대한 구현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