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 기기

Search Result 52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공간정보 기기 품질인증을 위한 기초연구)

  • Kim, Jae-Myeong;Choi, Yun-Soo;Seo, Jae-Pil;Chang, Eun-Mi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4
    • /
    • pp.33-43
    • /
    • 2011
  •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operating various certification systems to protect their consumers, and these systems have become trade barriers between countries. Also, KS and KCC were not designed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plan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through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Secondly, we set the boundary, factors and process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through classifying it in detail. Lastly, we suggested about fundamental concept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a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Three-Dimensional Placing of Lighting Devices and 3D Viewer Technology Using AR Foundation (AR Foundation을 이용한 조명기기 3차원 배치 및 3D뷰어 기술 개발)

  • Lee, Su-Young;Park, Chan-Hyung;Kwak, Yo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737-74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AR Founation을 이용하여 조명기기를 생활공간에 배치시키는 소비자 맞춤형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조명기기를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바닥, 벽면, 천장에 맞게 배치 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우선 조명기기를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한다. 그리고 모델링된 개체에 블렌더를 이용하여 받침대 및 부수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3차원 조명기기를 완성한다. 완성된 조명기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 위치 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간단한 스마트폰 터치를 통해 손쉬운 공간 설계 지원이 가능하다. 구현된 시스템은 모바일 AR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AR 어플리케이션의 가구 배치 프로그램에 비해 다양한 연출 효과를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생생한 현장감을 주는데 효과적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et Disk for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를 위한 인터넷 디스크 설계 및 평가)

  • Noh Tae-Ho;Cho Kyung-Won;Song Seok-Il;Kwak Yoon-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2
    • /
    • pp.253-261
    • /
    • 2005
  • The proposed internet disk for mobile devices is a new technique in order for mobile devices to recognize remote storage spaces as local storage card. The proposed technique is not to upload and download data of remote sites. It virtualizes remote storage space as local storage of mobile devices. Then mobile users can use the virtualized storage space as their local storage card. Also the remote storage space can be virtualized to desktop as local hard disk. It is possible to share data between mobile devices and desktop through the proposed internet disk.

A Design of Real-time Road-Traffic Monitoring System based on GML for Mobile (모바일을 위한 GML기반 실시간 교통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 Kim Myung-Hwan;Chung Yeong-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19-321
    • /
    • 2005
  • 최근 효율적인 교통 흐름 제어 및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의 소통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이용자들에게 웹이나 지역에 설치된 VMS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GIS가 OpenGIS와 같은 표준화 단체에서 제안하고 있는 구조를 따르지 않고 있으며, 지리정보의 표현도 검증 없이 자체적으로 GIS정보를 이용함으로 인해 서비스의 성능과 품질 저하는 물론 정보통합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penGIS에서 공간정보 표현에 권고되고 있는 GML을 기반으로 도로망에 구축되어진 각종 교통정보 기기로부터 ITS로 수집된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반영하여 모바일 기기 또는 웹서비스를 통해 교통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GML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DB와 각종 교통정보 기기로부터 수집된 실시간 교통정보의 통합을 통해 모바일 기기나 웹을 통해 공통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Client/server 시스템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시스템은 전용 공간데이터를 구축하지 않고, 표준화된 공간정보인 GML을 이용한 변환 메커니즘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 기종의 시스템에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TestBed for Performance Inspection of Underground Surveying Equipment (지하공간탐사기기 성능검사 테스트베드 구축 연구)

  • Bae, Kyoung 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6
    • /
    • pp.525-531
    • /
    • 2021
  •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tial is increasing due to urban concentration. And so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s being built. Becaus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s an important NSDI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the accuracy and performance of underground spatial exploration devices used for construction are managed sepa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the government is conducting performance tests for underground facilities surveying equipment. The current performance test site mainly targets metal pipelines, and there is no absolute position surveying inspection system. In this study, test bed model for performance inspection of underground space exploration equipment was presented. The test be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est site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omestic test bed an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latest equipment.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vice Based on Digital Literacy (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한 디지털 기기 활용방안 연구)

  • Go, HakNeung;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19-22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언급되면서 3D 프린터, 로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발전하고 이는 사회 구조를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새로운 디지털 기기, 기술들을 이해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요해지고 있다. 2015 OECD PISA에서 ICT 배경조사 중 한국은 접근성, 활용성 부분과 2018 국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연구,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의 인식 여부 및 활용 여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 구성 및 디지털 기기 활용 콘텐츠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생임을 고려하여 디지털 기기 위주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은 기반 기기로 컴퓨터(노트북), 유 무선 인터넷, 디지털 기기로 3D 프린터 및 3D 프린팅 펜, 스마트폰 기반 VR기기, AR마커, 블록코딩 기반 피지컬 컴퓨팅 교구 등을 이용해서 구성하였다. 활용하는 콘텐츠는 학생들의 인식 여부 및 수준에 맞춰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과 학습, 콘텐츠 제작, 문제해결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 PDF

Design of Customiz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Based on PHR.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 Shim, Jae-Sung;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68-5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HR과 만성질환 및 공간정보에 대하여 분석하고, 식당, 커피숍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PHR 정보를 활용하여 자가 건강관리에 필요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서비스 공간정보 관리 기능과 사용자 정보 관리 기능 및 맞춤형 공간정보 매칭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절차를 설계하였다.

Directional Motion Recognition of Mobile Devices using a 3-Axis Accelerometer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의 이동 방향 인식)

  • Kim, Sun-Ah;Sohn, Kira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12-115
    • /
    • 2011
  • 3축 가속도 센서의 활용이 점차 다양화 되면서 3차원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에 대한 개발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기기의 동작을 바탕으로 한 3차원 공간에서의 동작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동작의 인식은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며, 3차원 공간을 14가지 방향으로 나누어서 인식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3차원 가속도 데이터를 처리하여 동작을 인식하는 여러 가지 방법만을 제안했을 뿐, 3차원 공간을 방향으로 나누어 접근한 시도는 아직까지 없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 모바일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 Study on the Efficient Spatial Cue for Menu Navigation in the Small Screen (작은 화면에서 메뉴 탐색 시 효율적인 공간정보 단서연구)

  • Kim, Young-Eun;Yoo, Sang;Jeon, Ha-Young;Kim, Hyuk;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305-1312
    • /
    • 2006
  • 최근 들어 휴대성을 강조한 휴대폰이나 PDA 같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탐색할 수 있게 되었으나 기기는 점점 작아지는 반면, 기능은 증가하고, 많은 기기들이 데스크톱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차용하여 작은 모바일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결과를 낳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공간정보 단서를 제공하여 작은 기기의 사용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험 1에서는 두 가지 메뉴 구조에서 세 가지 청각 피드백의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격자메뉴와 한 줄 메뉴에서 각 청각피드백이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격자메뉴에서 수행이 좋았으나, 청각 피드백 유형별 수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각 피드백에 대한 선호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된 정보를 제공하는 청각적 피드백을 음 높이와 음의 개수 속성으로 세분화하여 PDA에서 메뉴 탐색 수행을 4블록으로 나누어 조사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음 높이 속성만 갖는 피드백은 블록이 진행되면서 반응 시간에 있어서 피로도가 나타난 반면, 음 개수 속성만 갖는 피드백은 블록이 진행되어도 피로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두 속성을 모두 갖는 피드백은 블록이 진행되면서 보행 속도가 유의미하게 줄어드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청각 피드백을 통해 공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the Efficient Compress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DBMS (Mobile DBMS를 위한 효율적인 압축 데이터 관리 시스템)

  • Shin, Young-Jae;Hwang, Jin-Ho;Park, Jung-Up;Kim, Hak-Soo;Lee, Seung-Mi;Son,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6-11
    • /
    • 2006
  • 최근 휴대용 정보기기 사용이 보편화되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보의 디지털화로 인해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처리되어야 하는 정보가 무수히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휴대용 정보기기에서는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임베디드 DBMS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저장장치는 NAND형 플래시 메모리로 단위 공간당 비용이 기존의 하드디스크에 비해 수십배 가량 높아 저장 공간의 효율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플래시메모리를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DBMS에서 압축기법을 사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압축 기반 시스템은 저장 공간과 데이터I/O를 줄이며, 데이터I/O를 줄임으로써 DBMS의 성능향상과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