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icient Spatial Cue for Menu Navigation in the Small Screen

작은 화면에서 메뉴 탐색 시 효율적인 공간정보 단서연구

  • Kim, Young-Eun (Cognitive Engineering Lab.,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 Yoo, Sang (Graduate Program of Cognitive Science, Yonsei University) ;
  • Jeon, Ha-Young (Cognitive Engineering Lab.,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 Kim, Hyuk (Cognitive Engineering Lab.,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 Han, Kwang-Hee (Cognitive Engineering Lab.,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김영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공학 연구실) ;
  • 유상 (연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 ;
  • 전하영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공학 연구실) ;
  • 김혁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공학 연구실) ;
  • 한광희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인지공학 연구실)
  • Published : 2006.02.13

Abstract

최근 들어 휴대성을 강조한 휴대폰이나 PDA 같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탐색할 수 있게 되었으나 기기는 점점 작아지는 반면, 기능은 증가하고, 많은 기기들이 데스크톱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차용하여 작은 모바일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결과를 낳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각 피드백을 이용한 공간정보 단서를 제공하여 작은 기기의 사용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험 1에서는 두 가지 메뉴 구조에서 세 가지 청각 피드백의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격자메뉴와 한 줄 메뉴에서 각 청각피드백이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격자메뉴에서 수행이 좋았으나, 청각 피드백 유형별 수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각 피드백에 대한 선호도에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된 정보를 제공하는 청각적 피드백을 음 높이와 음의 개수 속성으로 세분화하여 PDA에서 메뉴 탐색 수행을 4블록으로 나누어 조사하도록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 음 높이 속성만 갖는 피드백은 블록이 진행되면서 반응 시간에 있어서 피로도가 나타난 반면, 음 개수 속성만 갖는 피드백은 블록이 진행되어도 피로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두 속성을 모두 갖는 피드백은 블록이 진행되면서 보행 속도가 유의미하게 줄어드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청각 피드백을 통해 공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휴대기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