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생태계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Tutoring Agent Platform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기반 지능형 튜터링 에이전트 플랫폼 설계 및 구현)

  • Hong, Seong-Yong;Yi, Mun-Yong;Yoon, Wa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22-124
    • /
    • 2012
  • 최근 지식정보화 시대의 집단지성기반 교육 패러다임 변화는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융합적 학문을 근원으로 창의성 계발과 아이디어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창조적 교육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영역에 지식전문가들과 학습자들 간에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플랫폼 공간이 제대로 제공되고 있지 못하며, 단순한 컨텐츠 제공을 목적으로 이러닝 서비스가 일부 제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지능형 튜터링 에이전트 시스템 설계를 제안하고, 새로운 에이전트(Agent) 개념을 통해 지식인들과 학습자들 간에 지식을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관리 및 유통할 수 있는 구조를 연구하였다. 또한 사용자들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와 정보들을 자동 분석하여 지능적으로 학습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튜터(Tutor)와 튜티(Tutee)간에 협력적인 학습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 스마트 학습 플랫폼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Development of a Sensor Data Service System for Telematics (텔레매틱스를 위한 센서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 개발)

  • Jeon, Sang-Hun;Hong, Dong-Suk;Kim, Dong-Oh;Kim, Joung-Joon;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41-146
    • /
    • 2005
  • 최근 들어 텔레매틱스 분야에서 자동차의 위치 및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기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활용이 크게 확장되고 있다. 기존에는 위치, 속도, 온도와 같은 이 기종 플랫폼간의 센서 데이타 수집 및 운용을 위해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러한 데이타 교환과 통합을 위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다.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Sensor Collection Service 구현 명세를 제안하였다. Sensor Collection Service 구현 명세는 센서 데이타에 대한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으며, 질의 결과로는 센서에 대한 정보 및 센서데이타를 반환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ensor Collection Service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센서로부터 획득된 위치 및 속도, 온도 등의 다양한 데이타에 웹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센서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잊 구현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센서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을 통하여 센서의 종류와 위치에 관계없이 웹 상에서 위치 및 속도,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데이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시스템간 데이타의 교환 및 통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쉴게 검색 및 분석할 수 있도록 Sensor Collection Service 표준 인터페이스 질의를 통하여 획득된 데이타를 센서의 위치와 측정 시간에 기반하여 보여주고 있다. 본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 데이타의 획득과 타 시스템과의 데이타 교환이 용이하므로 텔레매틱스, 위치 추적 시스템, 상태 감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이루어졌다 가능한 창조 모델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94,\;29.4{\pm}30.3,\;45.1{\pm}44$로 Mel 10군과 Mel 30군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p<0.05) 이들 두 군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랫트에서 복강수술 후 melatonin 10mg/kg투여가 복강 내 유착 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1}{\cdot}yr^{-1}$로서 두 생태계에 축적되었다.여한 3,5,7군에서 PUFA 함량이 증가한 반면, SFA 함량은 감소하여 P/S 비율, n-3P/n-6P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이는 간장의 인지질,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총 지질의 지방산조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X>$(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 PDF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

  • Kim, Jin-Ah;Kim, Chang-Sik;Park, Jin-Ah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128-136
    • /
    • 2011
  • To monitor and predict the change of coast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sea dyke and the development of land reclamation, we have done real-time and periodic ocean observation and numerical simulation since 2002.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data can be largely classified to marine meteorology, ocean physics and circulation, water quality, marine geology and marine ecosystem and each part of data has been generated continuously and accumulated over about 10 years. The collected coastal environmental data are huge amounts of heterogeneous dataset and have some characteristics of multi-dimension, multivariate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Thus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possible to data collection, processing, management and service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t enables the integral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and the data querying and analysis of enormous and high-complexity data through the design of intuitive and effective web user interface and scientific data visualization using statistical graphs and thematic cartography. Furthermore,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rend changed over long-term by the geo-spatial analysis with geo- processing, it's being used as a tool for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cision support in Saemangeum coast. Moreover, for the effective web-based information service, multi-level map cache, multi-layer architecture and geospatial database were implemented together.

Analysis of Geographic Network Structure by Business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of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한국 자동차산업의 기업간 거래관계에 의한 지리적 네트워크 구조 분석)

  • KIM, Hye-Lim;MOON, T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3
    • /
    • pp.58-72
    • /
    • 2021
  • In July 2021, UNCTAD classified Korea as a developed country. After the Korean War in the 1950s, economic development was promoted despite difficult conditions, resulting in epoch-making national growth. However, in order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tudy the domestic industrial ecosystem and prepare strategies for continuous change and growth. This study analyzed the industrial ecosystem of the automobile industry where it is possible to obtain transaction data between companies by applying complexity spatial network analysis. For data, 295 corporate data(node data) and 607 transaction data (link data) were use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patial distribution by geocoding the address of the company, the automobile industry-related compan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Southeastern(Dongnam) region. The node importance was measured through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and the network structure was confirmed by identifying density, distance, community detection, and assortativity and disassortivity. As a result, among the automakers, Hyundai Motor, Kia Motors, and GM Korea were included in the top 15 in 4 indicators of node centrality. In terms of company location, companie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included in the top 15. In terms of company size, most of the large companies with more than 1,000 employees were included in the top 15 for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Regarding close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most of the companies with 500 or less employees were included in the top 15, except for automakers. In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the density was 0.01390522 and the average distance was 3.422481. As a result of community detection using the fast greedy algorithm, 11 communities were finally derived.

A study abou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river, downstream of damand establishing a river management plan (댐 직하류 하천조사분석 및 관리방안 수립 연구)

  • Su Yeon Kim;Kyoung Won Park;Young Ho Lee;Yong Kyu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4-514
    • /
    • 2023
  • 댐 건설은 하천의 유황, 유사량을 변화시켜 이·치수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댐 운영에 사용하고 있는 하천 기본계획은 10년마다 수립하고 있어 하천 지형 측량자료, 식생 및 수생태를 고려한 하천 관리 계획은 대부분 과거자료이다. 또한 홍수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하도식생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홍수 등 물재해에 적극적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최신의 하천 기초조사 자료 기반, '20년 댐 하류하천에 홍수가 발생한 4개 댐(대청, 합천, 용담, 섬진강댐)을 대상으로 하상변동, 식생 영향 등을 고려한 댐 직하류 하천관리방안을 마련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신 하천 기초조사 자료 확보를 위해 하천기본계획 등 문헌정보를 수집하고 댐 직하류의 수중부·육상부 측량, 유사량·하상재료 조사, 식생조사, 홍수흔적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확보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하상변동 분석 모델 및 물리적 서식처 모의 모델을 통해 이수, 치수, 생태 측면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수 분석으로 HEC-RAS의 유사이송 분석을 통해 현재부터 20년 뒤의 하상변동을 분석하였다. 치수 분석으로 HEC-RAS 2D 등의 유사이송 분석을 사용하여 한 개의 홍수기 사상 발생 시 하상변동을 분석하였으며, 식생의 유무가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생태 분석으로는 PHABSIM을 사용하여 대상어종에 대한 하상변동 및 식생 유무에 따른 환경생태영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각 대상 댐 직하류에 이수, 치수, 생태 측면의 하천관리방안을 수립하였다. 이수 분석을 통해 20년 뒤의 취양수장의 제약수위를 예측, 검토하고 취약구간 모니터링 구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침식과 퇴적이 크게 일어나는 구간을 산정하여 장·단기 하상변동 모니터링 구간을 제시하였다. 치수 분석을 통해 식생이 댐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식생 저감 구간을 선정하는 등 적정 식생 밀도 조절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상변동량이 큰 구간은 하상 안정 유지를 위한 수제 설치를 모델 결과를 통해 검토하였으며 제방 정비가 필요한 구간은 드론을 활용한 모니터링을 제안하였다. 생태 분석을 통해 대상 어종이 서식하기 가장 적합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고 댐 하류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증가방류, 유사환원 등의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시공간 정보기반 산림 생태계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Byun, Jung-Yeon;Lee, Woo-Kyun;Choi, Sung-Ho;Oh, Su-Hyun;Yoo, Seong-Jin;Kwon, Tae-Sung;Sung, Joo-Han;Woo, Jae-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8 no.1
    • /
    • pp.159-1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vulnerability of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using socio-environmental indicators and the results of two vegetation models named as 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HyTAG), and MAPSS-Century 1(MC1). The changing frequency and direction of biome types estimated by HyTAG model was used for quantifying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of forest distribution. Similarly, the variation and changing tendency of net primary production and soil carbon storage estimated by MC1 model was used for quantifying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of forest function. As socio-environmental indicators, many statistical data such as financial autonomy rate and the number of forestry officer was prepared. All indicators were standardized, and then calculated using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equation. The period of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divided into the past(1971-2000) and the future(2021-2050). To understand what policy has a priority to climate change, distribution maps of each indicators was depicted and the vulnerability results were compared among administrative districts. Evident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entire study area. These differences were mostly derived from regionalspecific adaptive capacity. The result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decision-making supporting system and policy making in forest management with respect to climate change.

Simulation of land use changes in Hanam city using an object-based cellular automata model (객체기반 셀룰러오토마타 모형을 이용한 하남시 토지이용변화 모의)

  • KIM, Il-Kwon;KWON, Hyuk-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4
    • /
    • pp.202-217
    • /
    • 2018
  • Urban land use changes by human activities affect spatial configuration of urban areas and their surrounding ecosystem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identify patterns of urban land use changes and to simulate future changes for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simulation of land use changes is still challenging due to their uncertainty and complexity. Cellular automata model is widely used to simulate urban land use changes based on cell-based approaches. However, cell-based models can not reflect features of actual land use changes and tend to simulate fragmented patterns. To solve these problems, object-based cellular automata models are developed, which simulate land use changes by land patches. This study simulate future land use changes in Hanam city using an object-based cellular automata model. Figure of merit of the model is 24.1%, which assess accuracy of the simulation results. When a baseline scenario was applied, urban decreased by 16.4% while agriculture land increased by 9.0% and grass increased by 19.3% in a simulation result of 2038 years. In an urban development scenario, urban increased by 22.4% and agriculture land decreased by 26.1% while forest and grass did not have significant changes. In a natural conservation scenario, urban decreased by 29.5% and agriculture land decreased by 8.8% while each forest and grass increased by 6% and 42.8%. The model can be useful to simulate realistic urban land use change effectively, and then, applied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spatial planning.

Estimation of Turbidity Relationship of Reservoir Sediment Using Band-ratio (밴드비를 이용한 저수지 토사의 탁도 관계식 추정)

  • Shin, Hyoung-Sub;Park, Jong-Hwa;Lee, Kyu-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63-1068
    • /
    • 2010
  •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의 영향 등 기후변화에 따라 호우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여 홍수피해가 확대되고 토사재해, 댐과 저수지의 퇴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농업용저수지의 경우 제체가 노후화되고 유입토사에 의한 퇴사는 심각한 수준에 있다. 또한 도심중심의 다양한 공사 등은 토지 이용과 피복을 변화시켜 많은 토사 유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노출된 토사는 탁수발생원이 되고, 토사와 부유물로 형성된 탁수환경은 수중의 태양복사에너지 전달을 방해하여 수중생태계의 먹이사슬과 저서생물의 서식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는 반폐쇄성 수역으로써 탁수환경에 노출되기 쉬우며, 수질회복에는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탁수환경의 변화는 시 공간적으로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탁수환경에 미치는 토사에 대한 연구는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토사 정보의 추출 및 분석에 RS기법의 활용은 증대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연구가 미진하여, 이에 대한 기초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1단계는 탁도계(2100P turbidimeter)를 이용하여 토사농도 변화에 따른 탁도를 측정하여 탁도 관계식을 추정하였다. 2단계는 분광복사계(LI-1800)를 이용하여 토사농도 변화에 따른 분광반사율을 측정하고, 얻어진 결과는 도함수와 적분의 수치해석 방법으로 토사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최적밴드를 구하였다. 다음으로 각 밴드간의 비를 계산하여 탁수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밴드 조합식을 구하였다. 얻어진 밴드 조합식은 1단계에서 추정한 토사농도에 따른 탁도 관계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광복사계를 이용한 탁도 관계식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6개의 탁도 관계식이 추정되었으며 결정계수 $R^2$는 0.67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of Gwangneung Forest Site Based on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EM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고도모형에 근거한 광릉 산림 관측지의 공간적 특성)

  • Moon Sang-Ki;Park Seung-Hwan;Hong Jinkyu;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1
    • /
    • pp.115-123
    • /
    • 2005
  •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ite is a prerequisite to investigate water and carbon cycles in agricultural and forest ecosystems, particularly with complex, heterogeneous landscap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related with topography, vegetation and soil in Gwangneung forest watershed are quantified in this study. To characterize topography, information on elevation, slope and aspect extracted from DEM is analyzed. For vegetation and soil, a land-cover map classified from LANDSAT TM images is used. Four satellite images are selected to represent different seasons (30 June 1999, 4 September 2000, 23 September 2001 and 14 February 2002). As a flux index for CO₂ and water vapo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is calculated from satellite images for three different grid sizes: MODIS grid (7km x 7km), intensive observation grid (3km x 3km), and unit grid (1km x 1km). Then, these data are analyzed to quantify the spatial scale of heterogeneity based on semivariogram analysis. As expected, the scale of heterogeneity decreases as the grid size decreases and are sensitive to seasonal changes in vegetation. For the two unit grids where the two 40 m flux towers are located, the spatial scale of heterogeneity ranges from 200 to 1,000m, which correspond well to the climatology of the computed tower flux footprint.

Development of GIS Based Wetland Inventory and Its Use (GIS에 기반한 습지목록의 제작과 활용)

  • Yi, Gi-Chul;Lee, Jae-Won;Kim, Y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1
    • /
    • pp.50-6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way to build a comprehensive wetland ecosystem database using the technique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Landsat TM image (taken in Oct. 30, 2002), Kompsat-2 images (Jan. 17, 2008 & Nov. 20, 2008), LiDAR(Mar. 1, 2009) were used for the primary source for the image analysi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March to August of 2009 to help image analysis and examine the results. An actual wetland vegetation map was created based on the field survey. Satellite images were analyzed by unsupervised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and finally categorized into such classes as Phragmites australis community, mixed community, sand beach, Scirpus planiculmis community and non-vegetation intertidal area. The map of wetland productivity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ductivity of Phragmites australis and the relationship to the proximity of adjacent water bodies. The developed 3 dimensional wetland map showed such several potential applications as flood inundation, birds flyway viewsheds and benthos distribut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use the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for producing wetland ecosystem spatial database and these techniques are very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wetland inventor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