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재현

Search Result 968,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Representation of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Residential Building Types by using the Dasymetric Mapping in Seoul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건축물별 주거인구밀도의 재현)

  • Lee, Sukjoon;Lee, Sang Wook;Hong, Bo Yeong;Eom, Hongmin;Shin, Hyu-Seok;Kim, Kyung-M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3
    • /
    • pp.89-9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idential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Korea more precisely through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Dasymetric mapping can be defined as a mapping method to calculate details from truncated spatial distribution of main statistical data by using ancillary data which is spatial data related to the main data. In this research, there are two types of data used for dasymetric mapping: the population data (2010) based on a output area survey in Seoul as the main data and the building footprint data including register information as ancillary spatial data. Using the binary method, it extracts residential buildings as actual areas where residents do live in. After that, the regression method is used for calculating the weights on population density by considering the building types and their gross floor areas. Finally, it can be reproduced three-dimensional density of residential population and drew a detailed dasymetric map. As a result, this allows to extract a more realistic calculating model of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raw a more accurate map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source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researches concerning regional population in the future.

Colorimetric Design of Dichroic Mirrors in 3-LCD Projection Systems (3판식 액정 프로젝션 시스템의 다이크로익 미러의 색채학적 설계)

  • Kim, Jee-H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5S no.9
    • /
    • pp.70-77
    • /
    • 1998
  • A new method is proposed for the design of the dichroic mirrors in 3-LCD projection systems for color separation/composition. Rather than simply basing the color performance criterion on luminance or chromatic saturation only, the optimum design parameters can be found by maximizing the perceived color gamut in a 3-D uniform color space. In this method, the half-power wavelengths were optimized by maximizing the volume of the reproducible color gamut in a CIELUV uniform color space for 2 typical viewing conditions, with proper colorimetric analysis of color reproduction in 3-LCD projection systems.

  • PDF

시뮬레이션을 통한 부산포 해전의 재현에 관한 연구

  • 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54-156
    • /
    • 2021
  • 임진왜란에 발생한 전투 중 부산포 해전은 이순신 장군이 일본의 근거지를 직접 공격하여 대규모의 타격을 입힌 의미 있는 해전이다. 이 연구는 임진 4차 출전 시 부산포 일대의 전투에 대하여 지금까지의 역사적 인문학적 크고 작은 성과를 종합하고 적용하여 2차원과 3차원적인 공간속에서 재현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포 해전장 주변의 고지도, 조선과 왜구의 선박, 선박의 이동과 전투 시 행해졌던 진형, 그리고 사거리 등을 적용하여 입체적으로 가시화 하였다. 특히 부산성 주변 해안에 일본의 선박이 주둔한 곳을 추정하고 가시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역사적 자료와 성과를 활용하는데 주목하였다

  • PDF

An inverse filter design for multi-channel sound field reproduction system (다채널 음장 재현시스템에서의 역필터의 설계에 관한 고찰)

  • Park Byoung-Uk;Kim Hack-Y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41-244
    • /
    • 2001
  • 다채널 음장 재현 시스템에서 공간 전달 특성을 제거하는 역필터의 설계가 불가결하다. 주파수영역에서 최소 Norm해를 이용한 설계 방법은 시간 영역 설계방법과 비교하여 볼 때, 적은 계산량과 메모리량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역필터를 필요로 하게 되고 FIR 필터로 설계 가능하다는 보장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파수 영역 처리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다 채널 음장 재현시스템을 위한 안정한 역필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Gangnam -ization and Korean Urban Ideology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 Park, Bae-Gyoon;Jang, Jin-bu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2
    • /
    • pp.287-306
    • /
    • 2016
  •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Korean urbanization,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apartment complexes and new towns, in relation to urban ideology in Korea.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impacts of the ideological processes of Gangnam-ization on the ways in which 'the urban' has been represented, imagined, aspired, and consumed by the Korean urban middle class in particular ways. For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22 urban middle class people living in three important urban centers (Gangnam, Bundang, and Haeundae).

  • PDF

Estimation of Storm-centered Areal Reduction Factors by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Using Radar Rainfall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에 따른 레이더 강우 호우중심형 ARF의 산정)

  • Kim, Eunji;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3-163
    • /
    • 2017
  • 설계홍수량은 수공구조물의 규모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며, 국내에서는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지속시간과 재현기간에 따라 면적강우량을 추정한다. 지점강우량은 제한된 지역을 대표하는 값이므로 지점강우량을 기준면적에 대한 면적강우량으로 환산하기 위하여 면적우량환산계수(ARF, Areal Reduction Factor)를 적용한다. ARF를 산정하는 방법은 과거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는 경험적 방법(empirical method)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경험적 방법은 크게 면적고정형(Fixedarea) 방법과 호우중심형(Storm-centered) 방법으로 분류된다. 면적고정형 방법은 국내 하천설계 기준에서 적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면적강우 및 지점강우의 연 최대치를 독립적으로 빈도 해석하여 ARF를 산정하므로 실제 강우사상으로부터 산정된 값과 편차를 보인다. 반면 호우중심형 방법은 각각의 강우사상을 분석 대상 유역 중심에 공간 전이시켜 최대 강우량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레이더 강우를 활용하면 실제 강우사상의 공간분포 특성을 반영한 현실적인 ARF 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홍수기(6-9월)의 10분 단위 단일편파 전국합성 레이더 자료를 활용하여 지속시간 1, 3, 6, 12, 24시간에 대한 호우중심형 ARF를 산정하였고, 면적강우 산정 시, 강우사상의 면적을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선정하여 강우의 형상 및 방향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레이더 강우의 중심강우를 지상강우 자료로 산정된 확률강우량 기준으로 분류하여 재현기간별 호우중심형 ARF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준면적, 지속시간, 재현기간에 따른 ARF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 Hwang, Syewoon;Cho, Jeapil;Yoon, Kwang 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8
    • /
    • pp.629-642
    • /
    • 2018
  • Future variability of the spatial patterns of rainfall events is the point of water-related risks and impacts of climate change. Recent related researches are mostly conducted based on the outcomes from General Circulation Models (GCMs), especially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 GCMs which are the most advanced version of climate modeling system. GCM data have been widely used for various studies as the data utility keep getting improved. Meanwhile the model performances especially for raw GCM outputs are rarely evaluated prior to the applications although the process would essential for reasonable use of model forecasts. This study attempt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skills of 29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ies of precipitation in East Asia. We used 3 different gridded observational data as the references available over the study area and calculated correlation and errors of spatial patterns simulated by GCMs. As a result, the study presented diversity of the GCM evaluation in the performance, rank, or accuracy by different configurations, such as target area, evaluation method, and observation data. Yet, we found that Hadley-centre affiliated models comparatively performs better for the meso-scale area in East Asia and MPI_ESM_MR and CMCC family showed better performance specifically for the korean peninsula. We expect that the results and thoughts of this study would be considered in screening suitable GCMs for specific area, and finally contribute to extensive utilization of the results from climate change related researches.

Early Reflection Generation Technique in Stereo-to-Multichannel Upmix System (스테레오-멀티채널 업믹스 시스템에서의 초기 반사음 생성 기법)

  • Lee, Taegyu;Baek, Yong-Hyun;Park, Young-Cheol;Youn, Dae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8-11
    • /
    • 2013
  • 스테레오-멀티채널 업믹스(Stereo-to-Multichannel Upmix)기술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스테레오 음원을 홈시어터와 같은 멀티채널 스피커 재생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채널 포맷 변환 기술을 말한다. 수평적인 공간감뿐만 아니라 수직적인 공간감을 재현하기 위하여 10.2, 22.2채널 환경의 경우 고도 채널이 추가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채널 환경에서 수직, 수평적인 공간감을 재현하기 위하여 새로운 초기 반사음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진폭 패닝방법을 이용하여 전방의 가상 음원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리시버 위치에서의 음압을 일치시킴으로써 기존 알고리즘이 가지지 못했던 이론적인 배경을 갖는다. 청취 평가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은 음장의 수직, 수평적인 폭을 증가시키며, 좀 더 안정적인 음상 정위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Spatial-storytelling of Cinema in Digital Age (디지털 시대 영화의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 Kim, Young-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521-526
    • /
    • 2008
  • The cinema of the digital age remediates digital media not only its technology but also its storytelling, image and even its way of thinking. This paper examines the spatial storytelling of cinema in digital age. In order to analyze the remediation aspects, this research applies and reconstructs the concepts of 'spatial stories' of Michel de Ceteau.

  • PDF

Topological spatial relation based on hieraichy among physical objects (물리 객체의 계층구조를 기반으로 한 위상 공간 관계)

  • 최성혜;이정욱;조진영;이은희;박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74-276
    • /
    • 2002
  • 실세계와 유사한 가상 세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3차원 상의 물리 객체간의 공간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는 2차원 상의 공간 관계에 집중되었으며 이는 수평 관계만 제시해줄 뿐 수직관계를 제시해 주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물리 객체간의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한 계층적 위상 공간 관계 HTSR을 제안한다. 이는 4-intersention model에 적용한 것으로 16위상 관계 중 6개가 성립하고 물리 객체간의 공간관계를 더욱 다양하게 재현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