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재현

Search Result 97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the Spatial Effect of Material and Light: Focusing on Peter Zumthor's Projects - Bruder Klaus Chapel and Kolumba Museum - (피터 줌터의 작품에 나타난 재료와 빛의 공간적 영향에 관한 연구 - 부르더 클라우스 채플과 콜룸바 뮤지움을 중심으로 -)

  • Kim, Eunice Ja-Yo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0 no.5
    • /
    • pp.87-95
    • /
    • 2011
  • 최근의 현대 건축에서는 재료의 물성과 구축성이 두드러지는 프로젝트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의 배경에는 사양한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간성(性)에 대한 근본적이고 회귀가 중요한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피터 줌터의 건축은 현란한 조형적 효과, 표현만을 위한 기술적 장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그의 건축은 장소와의 관계, 문화적 context 상에서의 맥락, 그리고 공간의 근원적인 경험을 주요한 매체로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수성은 대체적으로 빛과 재료의 고유한 적용으로 나타난다. 이는 장소와 문화의 특성을 관습적인 형태나 화려한 표현으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감'의 구현으로 구축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은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빛과 재료의 구축 방식, 그리고 공간의 경험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의 건축 구축 방식은 일견 간단해 보일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프로젝트마다 고유한 빛과 재료의 적용과 텍토닉(tectonic)이 내재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점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그러한 구축방식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공간의 경험과 관계를 하는지 고찰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인 사례는 Bruder Klaus Chapel과 Kolumba Museum으로 한정된다. 프로그램은 다르지만 빛을 사용하여 관람자의 공간경험과 공간인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다루면서 결론 맺는다.

Image Retrieval Using Color & Spatial Distribution between Pixel Layers (Pixel layer 들 간의 색상 공간 분포에 따른 공간적 분포를 이용한 영상 검색)

  • An, Jaehyun;Ha, Seong Jong;Lee, Sang Hwa;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294-29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의 검색을 위하여 영상을 색상 정보에 기반한 pixel layer (cluster)의 집합체로 모델링하고, 두 layer 간의 유사도를 각 layer 를 이루는 pixel 들의 색상 분포에 따른 공간적 분포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pixel layering 단계에서는 HSV 색 공간에서 mean-shift clustering 알고리즘을 통해 초기 layer 들을 얻고, 비슷한 색상의 layer 들은 합쳐 영상의 soft segmentation 과 유사한 결과를 얻는다. 비교할 두 영상에서 pixel layering 을 한 후, 각 layer 를 이진화된 공간분포 지도로 형성하고 그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유사도를 측정한다. 이 때, 사용하는 가중치로서 HSV 색 공간 분포의 비슷한 정도를 정의하는데, 이는 HSV 색 공간을 XYZ 의 3 차원 좌표로 설정하고, overlap 되는 pixel 수로 정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pixel layer 들 간의 색상 공간 분포에 따른 공간적 분포를 이용한 영상 검색 기법은 MPEG-7 에서 정의한 대표색상 기반의 영상 검색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Development of spatial dependence formula of FORGEX method using rainfall data in Korea (우리나라 강우 자료를 이용한 FORGEX 기법의 공간상관식 개발)

  • Kim, Sunghun;Ahn, Hyunjun;Shin, Hongjoon;Heo, Jun-Hae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12
    • /
    • pp.1007-1014
    • /
    • 2016
  • The FORGEX (Focused Rainfall Growth Extension) method was developed to estimate rainfall quantiles in the United Kingdom. This method does not need any regional grouping and can estimate rainfall quantiles with relatively long return period. The spatial dependence formula (ln $N_e$) was derived to consider the distance from growth curve of proper population to the distributed network maximum (netmax) data using the UK rainfall data. For this reason, there is an inaccurate problem in rainfall quantiles when this formula is applied in Korea. In this study, the new formula was derived in order to improve such shortcomings using rainfall data of 64 sites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 42-year period (1973~2014) was taken as the reference period from rainfall data, then the formula was derived using three parameters such as rainfall duration, number of site, area of network. Then the new formula was applied to the FORGEX method for regional rainfall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rainfall quantile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UK formula. As a result, the new formula shows more accurate results than the UK formula, in which the FORGEX method by the UK formula underestimates rainfall quantiles. Finally, the new improved formula may estimate accurate rainfall quantiles for long return period.

A Study on Reconstruction of Digital Space in Multi-layer Structure (다층적 구조에서 보여 지는 디지털 공간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 Chung, Kue-H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2
    • /
    • pp.513-520
    • /
    • 2014
  • Since the beginning of history, men have done mimesis and produced illusion and succeeded art and culture instinctually. The subject which mention above included the object which can order and space around that. Perspective which began the Renaissance age was dominant way about understanding space in western history and it made modern visual system. Direction way of space which based perspective is changed as horizontal data included multi-layer structure in digital media age. This character make us possible to represent the space more efficiently. So we must have pay attention the direction way of space based on digital media, because it has meaning to show human value beyond a methodology of visual art culture.

Image Retrieval Using Spatial Distribution of Dominant Colors (대표 색상의 공간적 분포를 이용한 영상 검색)

  • An, Jaehyun;Lee, Sang Hwa;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196-19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컬러영상의 검색을 위하여 대표색상의 통계적 특성과 그 공간적 분포를 이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대표색상은 HSV 색상공간에서 빈도수가 가장 높은 1-8개의 색상영역으로 선택되는데, 대표색상의 값과 각 대표색상이 영상에서 어떻게 분포하느냐에 따라서 검색되는 영상의 종류와 객체의 형태가 크게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을 일정한 개수의 작은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서 각 대표색상이 충분히 존재하는지를 평가하여, 각 대표색상이 영상평면에서 분포한 상태를 이진화된 공간분포 지도로 표시한다. 이로부터 영상간의 대표색상마다 이진공간분포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색상의 통계적 특성과 공간적 분포가 동시에 반영된 특징으로 영상을 검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대표색상의 공간적 분포 모델을 이용한 영상검색 기법은 MPEG-7에서 정의한 대표색상 기반의 영상 검색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이진공간분포 지도의 생성 방법 및 거리측정 파라미터에 대한 최적화가 이루어지면 영상검색 성능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웹기반의 영상검색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for searching optimal parameters for analog based downscaling method (아날로그 공간상세화 기법의 적정 매개변수 탐색 연구)

  • Kim, Seon-Ho;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66-66
    • /
    • 2022
  • 아날로그 기법은 대표적인 공간상세화 기법 중 하나로써, 과거 기상 현상이 미래 재현된다는 가정 하에 목표 시점과 가장 유사한 기상패턴을 보이는 과거 시점을 활용하여 공간상세화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상세화 목표 시점과 가장 유사한 과거 시점을 찾기 위해서는 선결되어야 하는 매개변수가 존재한다. 특히 상세화 성능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진 매개변수로는 목표 시점과 유사한 과거 시점 탐색에 활용되는 시공간 범위, 상세화 변수와 역학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종관기상변수, 상세화에 활용되는 과거 시점의 개수 등이 있다. 아날로그 기법의 매개변수를 탐색하고자 하는 시도는 국외에서 여러 차례 진행되어 왔으나, 각 매개변수는 지역의 기상특징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국내에서는 국외에서 수행한 탐색 결과를 활용하여 공간상세화를 주로 수행하여 왔지만, 보다 높은 성능의 상세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국내 지역에 맞는 매개변수를 활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역에 적합한 아날로그 공간상세화 매개변수를 탐색하고 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탐색된 매개변수는 아날로그 공간상세화 기법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간상세화 기법에 활용하능한 정보이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inematic Place Representation of Korean War Films with Emphasis (인천상륙작전 영화에 표현된 장소 재현)

  • Chang, Yoon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1
    • /
    • pp.77-9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inematic representations of places in the Korean War films on the event of 1950 'Incheon Landing', focusing on the place representations. 'Incheon Landing' of September 1950 provided a turning point for the Korean War, and the event can be interpreted totally different from the South Korean and the North Korean perspectives. Two films on the same event of the 'Incheon Landing' - a South Korean film, "Incheon Landing Operation"(1965), and a North Korea film, "Wolmido"(1982)- were selected as major sources of analysis and comparison. each director has different intentions. One film was taken from the landing army's viewpoint, whereas the other film was taken from the defender's viewpoint. As a result, one film emphasized the battle as a spectacle of glorious victory from the landing army's viewpoint, while the other film glorified those soldiers killed in the battle as heroes from the defender's viewpoint.

  • PDF

Hybrid Audio Technology Trends for Immersive Sound Service (고현장감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동향)

  • Jang, D.;Lee, Y.J.;Yoo, J.;Lee, 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81-90
    • /
    • 2016
  • 현재, 극장 사운드를 중심으로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포맷의 사운드 서비스가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는 차세대 방송용 오디오에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객체기반 오디오 기술은 콘텐츠의 제작단계에서 재생환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현장의 음향을 신호와 3차원 공간정보로 구분하여 음향공간의 정보를 그대로 표현함으로써, 재생단말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편리한 제작 및 3차원 공간정보 표현 기술이 필요하며, 청취환경에서는 객체기반 실감음향 콘텐츠를 제작자의 의도대로 렌더링할 수 있는 재생 및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객체기반 실감음향 기술이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오디오 기술의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echnology and Trend of Light Field Camera (Light Field 카메라 기술 동향)

  • Kim, T.W.;Cheong, W.S.;Hur, N.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4
    • /
    • pp.97-106
    • /
    • 2013
  • 기존 2D 카메라로 획득된 영상은 공간에 존재하는 빛에 대한 손실된 정보를 담고 있어 그 응용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빛 정보를 획득하여 가지고 있다면 그 공간을 똑같이 인위적으로 다른 장소에서 그대로 재현해 낼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근래에 이러한 빛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기술 및 장치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공간에 존재하는 빛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light field 개념을 소개하고, light field 정보 획득 카메라 기술 및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기 개발된 light field 카메라들의 특정들을 비교 분석하고, 다양한 응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 PDF

Design of Multi-Channel Sound Field Reproduction (멀티 채널 음장 재생 시스템의 설계)

  • 김영오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265-26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1채널(mono)이나 2채널(stereo)의 오디오 입력을 5채널(center, left, right, left side, right side)로 출력시키는 음장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가정의 리스닝 룸 같이 작은 공간에서 콘서트 홀 같은 커다란 공간의 음장을 재현하기 위한 멀티 채널 음장 시스템은 지연기, 초기 반사음처리기, 잔향기를 이용해 설계하였다. 초기 반사음 처리기의 지연과 이득은 실제 공간에서 측정한 암펄스 응답을 이용하여 결정하였으며, 구현된 초기 반사음을 전방 30$^{\circ}$방향에서 재생함으로써 확장감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잔향기는 자연스러운 주파수 및 감쇠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후방 60$^{\circ}$방향에서 재생되는 잔향의 상관 계수를 작게 함으로써 청취시 공간감을 느끼게 하였다. 설계된 음장 시스템은 무향실 데이터를 입력으로 시뮬레이션되었고, 그 결과로 얻어진 5개의 PCM 출력은 멀티 트랙 재생 장치에 의해 일반 리스닝 룸에서 재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