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성

Search Result 16,39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patial Characterization System using Density-Based Clustering (밀도 기반 클러스트링을 적용한 공간 특성화 시스템)

  • You, Jae-Hyun;Lee, Ju-Hong;Chun, Seok-Ju;Park,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01-104
    • /
    • 2005
  • 최근 GIS 시스템, 위성사진, 원격 탐사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응용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방대한 양의 공간 데이터에서 지식을 발견하는 공간 데이터 마이닝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공간 데이터마이닝에 대한 연구들은 방대한 비공간 데이터들의 지식을 효율적으로 탐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은 발견된 지식의 효과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는 대용량의 데이터들로부터 효과성을 보장하는 특성화 지식 탐사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간 특성화 지식 탐사시스템은 밀도 기반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탐사된 특성화 지식의 효과성을 높였다.

  • PDF

Simple interaction methods between overland flow and underground space for urban flood modelling (도시홍수 모델링을 위한 지상과 지하공간의 효율적인 연계해석)

  • Kim, Byunghyun;Son, Ah-long;Kim, Jong-Hae;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47
    • /
    • 2017
  •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인구, 산업시설, 교통 등의 증가를 가져왔고, 점차 부족해지는 지상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건물이 고도화되고 건물의 공간 배치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장하는 도시화에 따른 지상공간의 부족은 공간이용의 고도화를 위해 지하도로, 지하상가, 지하철, 지하공동구, 변전소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하공간 개발로 이어져 도시는 지상공간과 지하공간이 혼재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최근 기후변화와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도시 배수시스템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유효강우량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이것은 지상의 침수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에서의 침수로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시홍수 모델링 연구는 주로 지상에서의 홍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거나, 지상과 지하공간의 침수를 독립적으로 구분하거나, 두 공간의 연계를 고려하더라도 지상과 지하공간의 침수 해석을 모두 수행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해석에서 지상과 지하공간을 간단한 연계를 위한 2가지 방법 (경계조건형과 폰드형)을 제안하고, 지하공간이 도시침수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2010년 9월 21일 발생한 집중호우로 인하여 큰 침수피해가 발생한 효자배수분구의 광화문 일대에 적용하기 위해, 1차원 SWMM으로 계산된 맨홀의 월류량으로 2차원 도시침수모형에 경계조건으로 이용하였으며, 지하공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경계형, 폰드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실측된 홍수범람범위와 침수심을 실측치와 비교하여 계산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Spatial Equity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and Services (노인의료복지시설과 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 융합 연구)

  • Lee, Seong-Jin;Youn, Ki-Hyok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2
    • /
    • pp.65-72
    • /
    • 2020
  • The study aims to measure and analysis the spatial equity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and services, and, based on this, to seek the plan to secure the fairness. To this en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converging the studies of geography and regional development for the equity of social welfare studies and space arrangement on types and functions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in case of the spatial arrangement(desire-to-service),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are located in all areas of cities(Si) and counties(Gun) but mostly existing in cities. Second, in case of the equity of regional distribution of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it can say the equity in Gun is higher than Si, comparing the regions of Si and Gun. Third, in case of spatial equity of sanatorium for older persons, the spatial equity of care facilities for older person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facility, but no difference on distance. This study made variou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vergence studies grafting technologies such as AI and the Internet of Thing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framework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 프레임웍의 개발과 적용)

  • Kim, Ji sung;Jeon, Ho Seong;Hong, Il;Kim, Kyu Ho;Kim, Woo R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
    • /
    • 2017
  • 최근의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축소 또는 소실된 하천공간을 지형학적으로 되돌리기 위한 방향과 강이 가진 자연의 역동성의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하천공간 확보라는 측면에서 구하천 구역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고 대표적으로 청미천, 함평천, 황구지천 등에서 기존의 제방을 후퇴시키고 과거의 하천공간을 하천으로 되돌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구하도 또는 폐천부지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복원된 공간규모가 크지 않아 사업의 효과를 크게 장담할 수 없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홍수에 안전하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터전으로의 공간복원, 그에 따른 하천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레저와 레크레이션이 가능한 친수공간 조성 등 하천기능의 강화와 융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계획과 설계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역기반의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해법으로 하천공간 확대의 필요성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후, 하천공간 복원 및 활용과 관련된 기본방향이 설정되며 세부 복원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복원목적과 목표가 세워진 후, 복원대상지를 선정하고 공간 활용방안이 제시되면, 목표달성 여부 판단을 위한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만약, 기대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복원목표 재설정 및 복원대상지의 재선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같이 하천공간 복원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간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으로 인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리, 생물, 사회, 경제 등의 다양한 분야의 구조를 통합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임시방편 수준의 파괴된 하천복원사업에 변화를 주고 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에 대한 응집력 있는 접근법을 적용하도록 촉진하여 복원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공통의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시.공간 상관성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 연구

  • Im, Gi-Yeong;Lee, S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858-863
    • /
    • 2000
  • 동영상은 시간 및 공간적으로 많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움직임추정 방법에서 움직임의 시 공간 상관성을 이용하면 정확한 움직임 추정과 성능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한편, Zafar와 Zhang은 웨이브릿 변환 영역에서 가변 블록 (variable block-size)을 이용한 다해상도 움직임 추정(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An Essay on the Future of Metaverse as the Harmony Space Both of Homo Ludens and Homo Fabre (호모 루덴스와 호모 파베르의 융화 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미래)

  • Oh, Min Jung;Kim, Jonggy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9
    • /
    • pp.127-136
    • /
    • 2021
  • Us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hilosophy,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future metaverse will be developed into a cultural space for human beings. The redirection of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etaverse space is necessary. And,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dangers of understanding the dichotomous space of reality and virtuality, and mobilized humanistic imagination through the film Ready Player One. Ultimately, the space the future metaverse grows into will be a cultural space run by both homo fabre and homo ludens.

Applicability Evaluation of Spatial Rainfall Generator (공간강우발생모형의 국내 적용성 평가)

  • Lee, Jeong Eun;Kim, Chul Gyum;Kim, Nam Won;Kim, Hye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2-342
    • /
    • 2019
  • 수자원 분야에서 장기적인 수문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장기유출모형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수문모형의 가장 주요한 기상입력자료는 강수량이며, 일단위의 시간스케일을 요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장기적인 기후 시나리오 기반의 강수자료 생성을 위해 추계학적 기상모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유역단위의 수문모형 적용을 위해 강우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을 고려한 기상모의모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강우관측지점 간의 공간상관성을 고려하여 발생된 강우자료는 합리적인 유출해석을 위한 유역수문모형에서의 주요한 고려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강우의 분포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Agricultural Policy/Environmental eXtender(APEX) 모형 내에 개발된 Spatial Rainfall Generator(SRGEN)를 중심으로, 충주댐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국내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SLAM : An Efficient Buffer Management Strategy using Spatial Locality of Spatial Data (SLAM : 공간 데이타의 공간적 근접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버퍼관리기법)

  • An, Jae-Yong;Min, Jun-Gi;Jeong, Jin-W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9 no.5
    • /
    • pp.393-403
    • /
    • 2002
  • One of the major issues of DBMS is the buffer management. Because fetching data from the database disk is costly, the number of disk I/O's must be minimized in order to improve the DBMS performance.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buffer management strategies to minimize the disk I/O, those strategies usually focused on just the temporal locality. Since there are the spatial locality as well as the temporal locality in the spatial database, strategies using only the temporal locality cannot achieve the optimal performance in the spatial databa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buffer management strategy, the Spatial Locality Area Measure(SLAM) strategy, that considers not only the temporal locality but also the spatial locality. The SLAM buffer management strategy consists of two core structures, the SLM-tree and the M-LRU. We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trategy through experiments over various buffer sizes and reference frequencies.

A Case Study of Variability in Public Green Spaces for Environmental Adaptability (환경적응력을 위한 공공녹지공간의 가변성 사례 분석)

  • Chuan, He;Ai Ran, L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4
    • /
    • pp.207-21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velop various environmental designs to play a key roles in urban design, so that public green spaces remain vital with future changes. Variability in space, ecology, and society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of variable environmental spaces in 11 selected studies conducted locally and abroad since the 2010s. Moreover, landscape characteristics, design methods, and design strategies were analyzed accordingly for each cas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ariability in landscapes provided various possibilities for spatial change and satisfied people's functional needs for spatial use. In addition, variable environmental design greatly compensated for the defects by solving the issues associated with fixed landscapes by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use and adaptability to the environment. This study showed that variable design is applicable to public green spaces; environmental stress; and variability in architecture, the environment, and landscaping, and it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of the environment.

Analysis of Determinants of Civilian City Gas Demand Considering Spatial Correlation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한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결정 요인 분석)

  • Eunbi Park;DooHwan Wo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33 no.1
    • /
    • pp.59-86
    • /
    • 2024
  • Recently, research on city gas demand is increasing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e similarity of the social structure of the adjacent region and the density of the supply infrastructure induce spatial correlation with the clustering that has a microscopic relationship between regions. According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tial correlation after dividing the demand for city gas for civilian use into a total of 54 regions based on the jurisdiction of 34 city gas compan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spatial correlation from a global and local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demand for city gas for civilian use for 54 region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22 was composed of panel data, and the spatial pane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general panel regression analysis were compar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patial error model (SEM) was the most suitable model. This presen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confirming that the demand for city gas for civilian use in one region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djacent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