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생산

Search Result 1,45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patial Impacts of Tourism on Fishing Villages in Jeju Island (제주도 어촌의 관광지화에 따른 공간이용 변화과정)

  • 송경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1
    • /
    • pp.87-103
    • /
    • 2003
  • This study is to analyse spatial impacts of tourism on fishing villages in Jeju islan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ocation of tourist function - sea or land - has an influence on spatial use of pre-tourist and tourist function. The locational changes of tourist function are to be the indicator of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uses of 'where' to be the phases, the uses of 'where' and 'what' to be the process in the spatial impacts of tourism on fishing villages. The phases are 'time combination $\longrightarrow$spatial combination $\longrightarrow$time combination', the process is 'widened range.diversification $\longrightarrow$ range.specialization' according as the tourist function of the sea changes into the land. This is to be risk management of the tourist function.

The Restructuring of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and the Spatial Division of Labour on Production System in Daegu (대구 섬유산업의 재구조화와 생산체계의 공간분화)

  • 이철우;박양춘;김은정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207-225
    • /
    • 2000
  • 본 연구는 대구 섬유기업들이 재구조화 과정에서 생산기술, 노동력 이용, 기업간 관계에서 어떤 유연성 전략들을 추구하였으며, 이것이 공간을 통하여 어떻게 표출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대구 섬유업체는 모든 생산 공정을 통합.운영하고 있는 기업에서부터 단일공정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이러한 섬유기업들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을 맺고 있는 네트워크 생산체계로 특정지워질 수 있다. 모든 생산공정을 통합한 기업들조차도 외주생산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과거 설비하청중심에서 전문하청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생산체계는 무역기능을 가진 기업들이 가장 저비용의 생산체계로 조직화한 결과이다. 생산체계상의 공간분화의 정도는 기업규모와 외부화의 정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 PDF

선박 안전 입출항 지원을 위한 해양환경정보 제공기술 개발

  • Lee, Mun-Jin;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55-156
    • /
    • 2014
  • 선박의 안전한 입출항 지원을 위한 항만항행 환경정보로서 해양환경정보 제공기술을 개발하였다. 선박 안전 입출항을 위한 해양환경정보로는 바람, 조류, 조위, 수심 등의 정보를 고려하였으며, 각각 해역 전체의 공간분포와 항로상 변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정보를 생산하였다. 바람은 기상청의 예보자료를 활용하여 항만 공간 규모에 적합하도록 상세 공간 간격으로 최적화하여 생산하였으며, 조류와 조류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조석조류 수치모델 결과에 기반한 실시간 예측 기법을 적용하여 생산하였다. 수심은 해도에 제시된 약최저저조면의 수심에 실시간 조위 변동을 적용하여 선박에서 만나게 될 실제 수심을 생산하였다. 제공 정보 중 공간 분포는 사용자가 원하신 시간에 대해 해역 전체의 정보를 제공하며, 항로상 정보는 선박이 운항하게 될 항적 계획에 따라 공간적으로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항만 입출항 선박의 안전운항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act of Fertilizer Subsidy Program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Ghana (가나 비료 보조금 제도의 농업 생산성 증대 효과에 대한 공간적 분석)

  • KUGBADZOR, James;JEONG, Jaewon;KIM, Seung 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3 no.3
    • /
    • pp.13-20
    • /
    • 2017
  • 본 연구는 가나의 비료 보조금 정책(Fertilizer subsidy program: FSP)의 농업 생산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나의 군(district) 지역 수준의 농업 생산량 및 투입요소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여, FSP 도입 이전과 FSP 도입 이후의 농업 생산성을 계측하였다. 지역적으로 상이한 수준의 농업 생산성을 반영하기 위한 지리적가중회귀(GWR)모형을 사용하여 계측의 오류를 줄이고 공간이질성을 고려하였다. 추정 결과를 바탕으로 ArcMap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지도로 시각화 한 자료를 살펴보면, FSP 도입 이후 농업 생산성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지역을 특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변화는 FSP의 지역적 할당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의사결정 자료로 이용 가능하며, 국내 ODA 추진기관에서 농업 지도 및 지원을 위해 유용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gglomeration Areas of Advanced Producer Services in Seoul : Advertising-related Industry (서울시 고차생산자서비스업 집적지의 입지적 특성 : 광고관련산업)

  • 김대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5
    • /
    • pp.731-744
    • /
    • 2000
  • 이 논문은 서울시 광고관련산업의 집적지 형성과정과 생산네트워크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고차생산자서비스로서 광고관련산업의 서비스생산과정에서 관련업체와 생산네트워크가 중요한 기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쇄광고관련업체와 방송광고관련업체의 집적지가 각각 도심의 충무로와 영동의 신사동지역에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집적지의 형성은 광고관련산업의 전반적인 유연적 전문화 과정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관련 전문기능의 집적은 계속 강화되리라 예상된다. 광고회사는 주로 기획과 전략을 담당하고, 실제적인 제작 업무는 전무제작사들이 담당하는 공간적 분업과 생산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광고하는 서비스가 생산되고 있었다. 그리고 각 집적지의 이득을 광고회사가 공간적 거리에 상관없이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다. 결국 서울이라는 전체 공간이 함께 협력함으로써 서비스가 생산이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각 집적지내에서 관련 기능들이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이득을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집적지 외부에 있는 기능이 공간적으로는 떨어져 있으나 다시 각 집적자와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집적이득을 충분히 이용하는 국지적 집적효과가 아닌 지역적 집적효과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 PDF

Study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Non-timber Forest Products - Focusing on Chestnut, Astringent Persimmon, and Oak Mushroom -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밤, 떫은감,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

  • KIM, Won-Kyung;LEE, Jung-Min;KWON, Soon-Duk;JEON, Jun-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2
    • /
    • pp.73-85
    • /
    • 2016
  • Systematic and efficient forestry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of the long-term low profitability of timber production and forest products. In this situation, non-timber forest products can be the solution to secure stable sources of income for workers in the forestry field.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for non-timber forest products focus on effective production and economic analysis and provide plans for increasing the income and improving the marketing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s well as quantitative concentra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regional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ion in 2001, 2007, and 2014 using the coefficient of localization(CL) and location quotient(LQ) and investigated th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 using spatial statistics. The production of chestnuts generally showed a concentrated pattern in 2014 based on the outputs of the CL and LQ, but the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indicated a decrease in the spatial concentration. In addition, astringent persimmon showed more concentration from the output of CL than oak mushroom, but Moran's I suggests the oppo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marketing system and intensify the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Urban Space and Appropriation Activity: The Case of Mullae Art Village in Seoul (도시공간의 생산과 전유에 관한 연구 -서울 문래예술공단을 사례로-)

  • Yoon, Ji-Hw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2
    • /
    • pp.233-256
    • /
    • 2011
  • This research is aimed at providing the possibility for overcoming the current people's status of exclusion and fragmented spaces of urban regions. In this context, it needs to be considered that how the social movements, which are in collusion with spatial characteristics, are proceeding in urban societies. In order to find the clue to such problems, this study is going to investigate the social practice especially based on Lefebvre's theory. Because of the abstract characteristics of Lefebvre's issue, an explicit case of that social theory must be contemplated for practical use of his concepts.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such practices, this research has been striving to analyze the case of Mullae Art Village through the method of intelviewing the artists of that place and using the statistical data. And then this research has tried to draw the clue about how to overcome the status of exclusion by considering their spatial movements.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n Korea (한국 의료기기산업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Hwang, Inky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1
    • /
    • pp.1-1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promotion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For this aim, I suggest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examine the productivity of production activity and the profitability of sales activity by the government. As the government's large-scale support is localized by the 'selective support' metho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of the industry are different. In this context,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government's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three aspec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support did not come down to increased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Second, high productivity at the regional level did not necessarily lead to high profitability. Finally, the high market share in terms of profitability did not guarantee high prof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so that the link between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can be secured in the examination of the achievement of industrial specificity and policy support.

Throughput Approximation Method for Assembly/Disassembly Production Systems with Finite Buffer (유한용량을 갖는 조립/분해 생산시스템의 산출율 근사적 방법)

  • 백천현;김호균;조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57-26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용량을 갖는 조립/분해 생산시스템의 산출율분석을 위한 근사적 방법을 제시한다. 유한용량을 갖는 조립/분해 생산시스템은 상태공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분석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근사적 방법에서는 조립/분해 생산시스템을 비교적 작은 규모의 상태공간을 갖도록 단순 조런/분해 시스템과 단일 직렬시스템을 갖는 각각의 부분시스템으로 분해한다. 각 부분시스템은 2차 모멘트가 고려된 PH/Ph/1/C 시스템으로 기술되고 수리적 방법에 의해 분석되어진다. 실험결과는 시뮬레이션과 비교되고, 제시된 근사적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PDF

Regionalization of the Lineage Group in Korea(II): Landscape Phase(16C~17C) (종족집단의 지역화과정에 관한 연구(II): 경관생산단계 - 16~17세기 계보의식의 탄생과 사회관계망의 공간적 확장 -)

  • 전종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4
    • /
    • pp.575-590
    • /
    • 2003
  • It was the landscape phase that social relations were extended by production of landscapes during the 16C~17C. Core lineage groups in study area had extended socio-spatial nexus through making of the landscape of ‘authority-ostentation’(권력-과시형 경관) and of ‘kindness-civilization’(시혜ㆍ교화형 경관). Therefore they could gain a result that their power and authority took root in community perfectly. In the case of the Kims of Kwangsan(광산김씨), the first landscape of ‘kindness-civilization’ was Jungheodang(the learning room Jungheo), and next it was built Yangsungdang(the learning room Yangsung), and Imlijung(the pavilion Imli). Through this landscape production, the consciousness of scholastic genealogy was born, and this genealogy consciousness could be deepened and extended in regional scale. One more important feature in this phase is the point that the Kims of Kwangsan in Yeonsan area and the Songs of Unjin(은진송씨) in Hoiduk area could unite socially by the landscape production of ‘kindness-civilization type’ becoming intermediation. And these social union, that is to say, it do connote enlargement of the territoriality. It tells that community of ‘regional’ scale was formed by of core lineage groups of ‘local’ uniting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