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n Korea

한국 의료기기산업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Hwang, Inkyun (Policy Planning Agency in Gangwon Technopark Foundation)
  • 황인균 ((재)강원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 Received : 2019.03.12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device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promotion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For this aim, I suggest a research methodology that can examine the productivity of production activity and the profitability of sales activity by the government. As the government's large-scale support is localized by the 'selective support' metho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of the industry are different. In this context, the results of the review of the government's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three aspec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support did not come down to increased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Second, high productivity at the regional level did not necessarily lead to high profitability. Finally, the high market share in terms of profitability did not guarantee high prof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so that the link between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can be secured in the examination of the achievement of industrial specificity and policy support.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산업정책 추진에 따른 의료기기 산업의 공간적 특성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정부지원에 따른 생산 활동의 생산성과 판매 활동에 의한 수익성을 공간별로 살펴볼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정부의 대규모 지원이 '선별적 지원' 방식에 의해 지역별로 편재됨에 따라 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의 공간적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부의 지역산업 정책을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지원이 생산성 강화와 수익성 확보로 귀결되지 않았다. 둘째, 지역적 차원에서 높은 생산성이 반드시 높은 수익성으로 직결되지도 않았다. 마지막으로, 수익성 측면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이 높은 이윤창출을 보장하지도 않았다. 그러므로 정부는 산업 특수성과 정책 지원의 성과를 고려하여 생산성과 수익성 간 연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지역산업정책의 방향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 2016, 감사보고서: 지역산업 육성사업 추진실태.
  2. 강현수.정준호, 2004, "해외 클러스터 정책 실패유형 분석과 교훈," 과학기술정책 149, pp.118-134.
  3. 권영섭.안종천, 2006, "원주 의료기기 산업 클러스터의 혁신환경 및 발전단계," 한국도시지리학회지 9(2), pp.41-56.
  4. 김경묵.김연성 역, 2001, 경쟁론, 서울: 세종연구원 (=Poter, M., 1998, On Competi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5. 김형주, 2010, "지역 혁신과 글로벌 네트워크: 이론적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초국가적 민족 공동체의 역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2), pp.159-180. https://doi.org/10.23841/EGSK.2010.13.2.159
  6. 남기범, 2016, "선택과 집중의 종언: 포스트 클러스터 지역산업정책의 논거와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64-78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64
  7. 바이오헬스산업 정책위원회, 2018, 코리아 바이오헬스의 도전과 과제, 한국공학한림원.
  8. 박용규.정성훈, 2012,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을 위한 주요 요소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642-659.
  9. 배응환, 2015, "혁신의 제도적 접근: 지역혁신체제와 혁신 클러스터의 지식파급효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1), pp.115-135.
  10. 산업통상자원부, 각 연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 사업설명자료'.
  11. 산업통상자원부, 2018.2, 바이오.헬스산업 발전 전략.
  12. 유평준.한상일, 2007, "원주의료기기클러스터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597-614.
  13. 이우천.유왕근, 2007, "의료기기산업 클러스터 육성방안 연구: 원주의료기기산업 발달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3(2), pp.55-70.
  14. 이종호.이철우, 2008, "집적과 클러스터: 개념과 유형 그리고 관련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3), pp.302-318.
  15. 이종호.이철우, 2016,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799-8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799
  16. 이철우.박경숙, 2014, "지역산업정책의 패러다임에 대한 재검토와 대안적 정책방안 모색: 대구광역시 지역산업정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64-279.
  17. 이철우.이종호.박경숙, 2010, "새로운 지역혁신 모형으로서 트리플 힐릭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pp.335-353. https://doi.org/10.23841/EGSK.2010.13.3.335
  18. 이철우.최요섭.이종호, 2016, "국가주도형 산업집적지의 내생적 발전 가능성: 구미 IT클러스터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pp.397-410.
  19. 정성훈, 2011, "강원도 의료융합산업의 중소기업 역량과 거버넌스,"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5-19.
  20. 정성훈, 2016, "한국 지역불균등 발전의 해부: 영국과 이탈리아 부, 불균등, 지역발전 경험으로부터 교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2), pp.330-342.
  21. 정성훈.황인균, 2010, "지역 산업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제도적 역량 구축의 가능성과 한계: 춘천시 IT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pp.623-640.
  22. 정현주 역, 2015, 공간, 장소, 젠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Massey, D., 1994, Space, Place, and Ge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2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2017년 국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보고서: 지역산업기술기반구축 사업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6, 2016년 의료기기산업 분석 보고서, 자체-의료기기-2016-99.
  25.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8, 지역 혁신성장거점 기반구축 사업(가칭) 기획 추진(안), 지역혁신성장기반구축 사업 추진 토론회 자료.
  26. 통계청, 2019, http://mdis.kostat.go.kr(최종열람일: 2019. 01.24.)
  27. Asheim, B.T. and Gertler, M.S., 2005, "The Geography of Innovation," in Fagerberg, J., Mowery., D.C. and Nelson, R.R.(eds.), 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UK; Oxford University press, pp.291-317.
  28. Dunford, M. and Greco, L., 2006, After the three Italies: wealth, inequality and industrial change, Oxford: Blackwell.
  29. Hudson, R., 2005, Flow of Knowledge, Circuits of Meaning, in Hudson, R., Economic Geographies: Circuits, Flows, and Space, London: SAGE, pp.57-77.
  30. Markusen, A., 1999, Sticky places in slippery space, in Barnes, T. and Gertler, M.S.(eds.), The New Industrial Geography: Region, Regulation and Institutions, NY: Routledge, pp.98-124.
  31. Jung, S.-H., 2011, "The Korean Development Strategy: Trajectories of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1961-2010,"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4(4), pp.453-466. https://doi.org/10.23841/egsk.2011.14.4.453
  32. Martin, R. and Sunrey, P., 2003, "Deconstructing Clusters: Chaotic Concept or Policy Panacea?,"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3(1), pp.5-35. https://doi.org/10.1093/jeg/3.1.5
  33. Shin, D.-H., 2009, "Industrial Cluster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Early 2000s: The case of Daeje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12(1), pp.96-110. https://doi.org/10.23841/egsk.2009.12.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