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분류체계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Utilizing GSIS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for Landform Analysis and Sight-Seeing Guidance (금오산 도립공원의 지형분석과 관광안내를 위한 GSIS와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

  • Lee, Jin-Duk;Choi, Young-Geun;Lee, Ho-Cha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56-161
    • /
    • 2002
  • 자연공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자료수집과 처리, 그리고 합리적인 분석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지형공간정보체계와 위성원격탐사를 이용하는 공원관리 및 관광안내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오산 도립공원구역을 사례연구지역으로 GSIS(Geo-Spatial Information System)기법을 도입하여 수치지형도, 주제도, 위성영상 등으로부터 도형자료 및 비도형자료를 수집 처리하였다. DEM 생성을 통하여 얻어진 경사도, 사면방향, 지형단면, 지질 분석 등 주제별 지형분석을 행하였다. Landsat TM 위성자료로부터 토지피복분류와 NDVI 식생활력도를 추출하였고, 이 자료들로부터 GS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을 포함하는 Im 해상도의 IKONOS 위성자료를 처리하여 영상지도를 작성하고 DEM과 중합하여 3D 시각화를 구현하였다. 위성영상지도 및 3차원 경관도상에 주요 등산로 벡터자료를 중첩하여 표현하고, 5개 루트의 주요 등산로를 따라 3D 경관 및 문화재, 관리시설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발과 보존의 중도를 취하는 자연공원의 적정 토지이용을 위한 사전평가 자료 및 Web 기반 관광안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도면 중첩법을 활용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 - 디지털 게임 속 가상경관을 중심으로 -

  • Kim, Ik-Hwan;Hong, Seok-Ju;Lee, J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6-18
    • /
    • 2017
  • 컴퓨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게임 속 가상경관은 보다 정교해지고 있으며, 설계 및 구현 과정에서 고려를 요구하는 요소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태 가상경관 설계를 위한 정형화된 설계 방법론도 전무한 관계로, 디자이너들은 비효율적인 설계 과정을 거치며 동시에 질적으로도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물을 구축하고 있다. Ian McHarg의 도면 중첩법은 레이어 단위로 설계 고려요소를 정리하여 설계를 진행하기에, 설계에 고려할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는 디자인의 진행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면 중첩법을 활용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가상경관의 공간적 특수성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는 분류 방법론을 문헌 조사를 통해 파악하여, 이들을 각각의 레이어로 조직하였다. 그리고 설계 영역으로서의 가상경관과 실공간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이들을 기반으로 한 가상경관 설계 방법론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토콜 분석방법론과 공간 구성요소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구축한 설계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본 설계 방법론은 디자이너들의 작업 시간을 22% 이상 줄일 수 있었으며, 동시에 작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향후 본 설계 방법론은 디지털 게임을 비롯한 가상경관 설계 및 구현의 영역에서 활발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가상경관을 조경 설계의 한 영역으로써 확장이 가능할 것임을 시사한다.

  • PDF

User Requirement Elicitation for U-City Residential Environment : Concentrated on Smart Home Service (U-City 주거 환경 서비스의 사용자 가치 분석 : 스마트 홈을 중심으로)

  • Kim, Hyang Sook;Kim, Hyo Chang;Ji, Yong Gu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1
    • /
    • pp.167-182
    • /
    • 2015
  • The concept of Smart home is receiving a huge attention as a future living environment because of its advantages for elderly and disabled to maintain their quality of life. Smart home is a place equipped with integration of technology and services and closely intertwined with occupant's lifestyle. Therefore it is critical to consider the user's actual needs for ensuring satisfaction. However despite growing researches on user values for smart hom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learly categorizing smart home service and stating user valu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service. Thu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smart home services on user's perspective, and reveal user values for each smart home services. Through the in-depth literature review, we elicited technology-related user values and service-related user values, and state classification for smart home servic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values and each smart home services were reveal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uld help to reflect user's actual needs for designing smart home services.

Decision technique for accommodation facilities of multi-utility tunnel in basic planning phase (기본 계획 단계에서의 공동구 수용시설물 결정 기법)

  • Oh, Won-Joon;Jin, Kyu-Nam;Kang, Yeong-Ku;Cho, Choong-Yeun;Sim, Young-Jo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1 no.1
    • /
    • pp.79-92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rmine whether to install the accommodation facility of the multi-utility tunnel more effectively in the basic planning phase, and to set up an evaluation system to determine the configuration and kind of accommodation facility.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98 alternatives were analyzed for 7 accommodation facility. For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index related to feasibility and economic in basic planning phase were selected. The evaluation system classified as spatial, effective, and cost evaluation was presented reflecting the selected index, and AHP analysis was performed for weight set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users including designers to shorten the tim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accommodation facility of the multi-utility tunnel in basic planning phase.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ost-Modernism Interior Design inAttri Language bute (언어성에서 본 포스트모더니즘 실내디자인의 특성연구)

  • 이춘섭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8
    • /
    • pp.15-23
    • /
    • 1996
  • Interior is composed of void spaces decided by many substances and the function of the spaces which creat its valuation. Accordingly interior space makes peculiar forms by synthesizing each interior elements and its abstractness. Therefore characteristic of the expressed word and symbolic system become interior wholenes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nterior words and the symbolic systems scientifically. The content is composed of 5 major parts. The 1st and 2nd chapter deal with Introduction and the Characterization of Interior Design. Linguistic symbol and metaphor which decide Post-Modern interior style were studied in the 3rd chapter. In the 4th chapter. this paper analysed linguistic character of interior words which need to express character of tradition. decoration, and publicity, expccially through code and metaphor. Finally Thematic I-louse library interior space designed by Charles Jencks was linguistically researched as a study model.

  • PDF

Classification of KANSEI Vocabulary according to Visual Shape Information (시각적 형태 정보에 관한 감성어휘 분류)

  • Baek Sunk-Young;Hwang Kwang-Su;Kim Pa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76-78
    • /
    • 2006
  • 인간의 주관적이고 애매한 감성은 차세대 컴퓨팅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며. 인간의 감성을 이해하고 감성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사용자 중심의 정보 처리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해 저차원 시각정보에 대한 강성처리를 연구하고 있다. 기존의 저차원 시각정보 특징을 고려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방법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감성 요구에 적합한 결과를 검색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감성을 이해, 검색, 인식하기 위한 시각정보와 감성간의 관계 연구 중 우리의 기존 연구인 시각적 형태 정보의 감성어휘 공간에서 형태와 어휘간의 감성거리를 이용한 분류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분류된 각 영역에서의 대표 어휘를 추출하여 시각적 형태에 따른 감성어휘간의 구체적 계층 관계를 정의한다. 이는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 분야에 활용 가능한 연구이며,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에 내재된 감성정보를 해석하고 그 어휘들의 체계적인 시각적 감성관계를 정의하는 의의를 갖는다.

  • PDF

GIS Macro Evaluation System for Urban Walk - Focusing on Busan - (도심 보행을 위한 GIS 거시 평가체계 개발 - 부산을 중심으로 -)

  • Yu, Yeon seo;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4
    • /
    • pp.581-590
    • /
    • 2022
  • It is important to create a decent pedestrian space in order to realize a public space that can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guaranteeing people's right to move while also enhancing urban activ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destrian path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data construction leading to the creation of such elegant walking space. First, a basic system was established in keeping with factors and the space, and this system was used as the basic framework of the study. The trend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denoted here as: Walking safety policy, Walking focused plan, Recognition transition, Transportaion system, Activity-linked walking, Facility utilization walking, Nature and history linked walking and Content convergence walking. The macro- and micro-indices and factors mentioned in related studies were synthesized and classified, and the basis for universality and differentiation was established by integrating them. Next, according to the basic composition of the walking system, Walking potential and slope safety in the Safety category, Basic walking connectivity and Traffic linkage in the Efficiency category, Walking arrangement and Rest convenience in the Health category, and Resource connectivity and Activity abundance in the Comfortability category macro evaluation system of the eight categories were established and a corresponding measurement method was developed.

수학 퍼즐을 이용한 영재학습 자료의 개발 - 공간 감각을 중심으로 -

  • Nam, Seung-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7
    • /
    • pp.97-114
    • /
    • 2003
  • 일선 교육 현장에서 영재를 지도함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는 판별 도구와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영재를 위한 수학 프로그램을 문제 해결형, 수학 탐구형, 과제 해결형의 3가지로 분류할 경우, 퍼즐은 문제 해결형과 수학 탐구형 프로그램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유형으로 수학적 지식의 통합과 연결성. 그리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 및 수학적 원리 ${\cdot}$ 법칙을 체험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있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조작퍼즐은 기존의 대수적 표현 체계로 학습하기가 힘든 관찰력이나 공간에 대한 인식과 표현력 친 공간 추론력을 기르는 데 유용하며, 게임적인 요소가 포함된 퍼즐은 지필에 의존해 왔던 수학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수학 퍼즐의 종류 및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과 영재들의 공감 감각을 기르기 위한 프로그램의 원을 이용한 수학 퍼즐의 개요를 제시한다.

  • PDF

A Design of DMLI (Description Model for Location Information) (위치 정보를 위한 기술 모델 (DMLI) 설계)

  • Kim Jae-Won;Choi O-Ho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34-36
    • /
    • 2006
  • 본 논문은 다양한 위치 획득 시스템에 따라 다른 형식을 가지는 위치 데이터와 이에 따른 표준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DMLI(Description Model for Location Information)을 제안한다. DMLI는 다른 형식으로 표현된 위치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재정의 하지 않고, 모두의 의미를 포괄하는 메타데이터로 재분류하는 분류체계 모델이다. DMLI는 시설물(Facility), 장소(Place), 서비스(Service) 요소들로 구성된다. 시설물은 공간을 정의하는 최상위 요소로 공간 사용목적과 용도 및 기능에 따른다. 장소는 시설물을 구성하는 최하위 요소다. 서비스는 장소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말한다. 또한 위치관련 메타데이터 요소간의 정보를 정의한 사전을 이용하여 기존의 위치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DMLI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 요소로 변환이 가능하다. 사전을 이용함으로서 또 다른 형식의 위치 데이터가 입력되어도 DMLI 형식으로의 변환이 용의하다. DMLI 형식으로 재분류된 위치관련 메타데이터들은 공간 사용 목적과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명확히 표현한다. 또한 위치관련 검색, 통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다양하게 응용되어 사용된다.

  • PDF

A Study on Categories of Land Use (지목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Lee, Choon-Won;Kim, Jin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5 no.1
    • /
    • pp.31-43
    • /
    • 2015
  • In the past, the main function of land use categorization was merely used for basic data for taxation purpose, but recently land use categorization is used as important reference data in various ways, including administrative affairs, national land plan, land development, city maintenance as well as private transactions of land, in addition to the provision for assessment data. In the future, it can be expected to broaden its own functions. For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land use, we need to reconsider categories of land use from a perspective of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actually regulating land use from a perspective of demand. In order to resolve any discrepancy between actual land use and land use on official books, the ultimate method of resolution is to study the current state of actual use of land and reflect them on official books, but it is also necessary to prevent any confusion of national people by unifying various categories of land adopted by the regulatory acts related to land. In addition, if the same administrative regulations are applied to different land use under the current law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m in the land of the same category. This study proposes to establish a new category for securing systematic consistency of the current categories of land use under the integrated cadastral act with other land laws and regulations.